[include(틀:압록강의 교량)] ||<-4> {{{+2 '''조중우의교[br](압록강 철교)'''}}}[br]Sino-Korean Friendship Bridge [br]中朝友谊桥 || || {{{-2 {{{#555,#aaa 하류 방면}}}}}}[br]← [[서한만]][br]([[황해]]) ||<-2><#006fb9> '''[[압록강|{{{#fff 압록강의 교량}}}]]''' || {{{-2 {{{#555,#aaa [[상류]] 방면}}}}}}[br][[타이핑만댐]] →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조중우의교, 너비=100%, 높이=225px)]}}}|| ||<-4> '''다국어 표기''' || ||<:> [[영어]] ||<-3> {{{-2 Sino-Korean Friendship Bridge}}} || ||<:> [[중국어]] 간체 ||<-3> 中朝友谊桥 || ||<:> [[한국어]] ||<-3> 압록강철교, 조중우의교, 조중친선다리 || ||<-4> '''구조 형식''' || ||<-4> 도로 철교 겸용 [[강철교]] || ||<-2> '''시공사''' ||<-2> '''관리''' || ||<-2> - ||<-2> - || ||<-2> '''길이''' ||<-2> '''폭''' || ||<-2> 943.3m ||<-2> 11m || ||<-4> '''개통일''' || ||<-4> 1943년 5월(상류) ||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388357_STD.jpg|width=450]]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 [[평안북도]] [[신의주시]]와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를 잇는 다리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이자 [[경의선]][* 북한에서 새로 붙인 이름은 [[평의선]].] [[신의주청년역|신의주역]]과 중국 측의 [[단둥역]]을 연결하는 철도가 같이 지나간다. 압록강을 경계로 양국의 국경이 갈린다. 흔히 압록강철교라 많이 알려져 있지만 북한 측 정식 명칭은 '조중친선다리' 또는 '조중우의교'라 부르고 중국 측 정식 명칭은 '중조우의교'라 불린다. 한국 언론에서는 북한 측 정식 명칭인 조중우의교를 많이 인용하는 편이다. 구조는 꽤 특이한데 한쪽에는 철도가 있고 한쪽에는 1차로로 되어 있는 도로가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아래 역사 문단에 하술. 북한 쪽으로 넘어와서 신의주에서부터 [[1번 국도]]가 시작되며 철도도 마찬가지로 북한 쪽으로 넘어오면 [[신의주역]]에서 [[경의선]]이 시작되어 [[서울역]]에서 [[경부선]]과 직결된다. == 역사 == 압록강철교의 역사는 [[일제강점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05년 일본이 한반도에 [[경의선]]을 개통한 이후 중국으로 진출하려고 안둥(현 단둥)과 봉천(현 선양)을 잇는 안봉철도(安奉线)를 건설하여 중국 동북지방과 한반도를 잇는 계획을 세웠다, 그에 따라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의해 1911년 10월에 단선 철교로 개통었으며, 이때 개통한 압록강철교는 지금의 철교보다 하류 방면으로 60 m 아래에 위치하고,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1103071743463820476|큰 배가 지나갈 수 있게 회선교]][* 쉽게 말해 교각 일부를 [[회전문]]화 한 것으로, 배가 지나갈 시점에 해당 교각이 교량째 90도로 회전해 배가 지나갈 틈을 만들어준다.]로 건설되었다. 길이는 944.2 m고 교각은 총 12개였다. 다리를 돌릴 수 있는 회선교 장치는 4번째 교각에 있었다. 그러다 수요가 늘면서 단선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1937년 4월 새로운 철교를 착공, '''1943년 5월'''에 개통했다. 새로 건설된 압록강철교는 선로가 두 가닥 부설된 복선 철교로, 구 단선철교에 있었던 회선교는 없었다. 그러다 [[한국전쟁]] 때 중공군이 참전하자 미군은 중공의 지원을 줄이고자 폭격기 600여기를 동원, 압록강철교를 폭파했다.[* 은지원이 1박2일에서 '''당시 미국을 포함한 UN연합군이 우리나라를 지원하고 중국이 군수물품을 비롯해 식량과 생필품 등을 압록강 철교를 통해 북한을 지원했는데, 그 철교를 미군이 폭격기를 동원해 폭파시켜버렸다.'''고 언급했다. 다시 말해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원을 막으려고 미국군이 다리를 폭격시킨 것이다.] 이때 나란히 있던 두 철교가 모두 끊어졌다. 그러나 1.4 후퇴 이후 전선이 다시 38선 이남으로 밀려나자 미군은 이 철교를 더 이상 신경쓸 수 없었고, 결국 중공군은 1943년 개통한 복선철교를 200여명을 동원하여 수리해 물자를 계속 수송했으나 단선철교는 부서진 그대로 놔두었다. 전쟁이 끝난 이후 복구한 철교는 선로 한 가닥을 걷어내 도로로 바꾼 형태가 되었다. 부서진 단선철교는 중국 측 4개 교각만 그대로 남고, 나머지는 상판이 없어지고 교각만 남았는데, 중국 단둥시에서 1993년에 자국 측 철교를 그대로 보전해 동년 6월 관광지로 만들었다. '압록강단교'로 불리우는데 이름은 2000년 10월 국방부장 [[츠하오톈]]이 지었다. 1988년에는 단둥시에서 압록강철교를 시 문화재 보호단위로 지정하였다. 2017년 11월, 북한에서 교량 상판 수리를 이유로 잠시 폐쇄되었었다. == 특징 == * 북한의 생명길이나 다름없다. 이곳은 오로지 [[단둥 통상구]](丹东口岸)를 거쳐서만 오갈 수 있는데, 주로 북한에 들어가는 차량에는 북한에 들어갈 생필품들이 주로 많이 실려있기 때문이고, 오히려 북한에서 나오는 차량이 텅텅 빈 경우가 많다 한다. 보이는 차량도 대부분 북한 차량이다. * [[단둥 통상구]]의 보안이 매우 세다. 최근 들어 마약 유통을 막기 위해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인민경찰]]이나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인원도 늘리고 보안도 대폭 강화, 마약탐지견까지 들여와서 삼엄한 경비를 유지 중이다. 중국은 [[아편전쟁]]의 트라우마로 마약의 단속과 처벌이 매우 강력한것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데, 북한의 경우 고난의 행군 이후 [[메스암페타민]](소위 뽕)이 횡행해 사회 문제가 될 정도고 따라서 이들과의 교역이 늘수록 마약도 유입될 가능성도 높아지기에 중국 측 신경이 곤두설 수밖에 없다. * 옆에 부서져 있는 교량은 처음 건설된 압록강철교로 일제강점기 당시 쓰이던 것이다. 지금 쓰는 교량은 1943년에 개통한 것. 이 철교는 중국에서 관광지로 조성해 놓았기 때문에 둘러볼 수 있다. 끊어진 중간 부분까지만 공개되어 있고, 다리를 돌리던 회선교 장치도 볼 수 있다. * 이 철교를 대체할 목적으로 남쪽에 "[[신압록강대교]]"가 공사중이다. 사장교로 건설된 외관이 멋진 교량이다. 완공은 2014년 10월에 되었지만 북한 쪽이 도로 연결을 하지 않아 개통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만약 신 압록강대교가 개통된다면 압록강철교는 예전처럼 복선철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견해가 많으나, 오토바이 및 자전거 통행 문제로 인해 그냥 일반도로로 놔둘 수도 있다는 의견 또한 있다. 아마 통일이 되거나 해서 [[신의주시]]가 우리나라 행정구역이 되면 이 다리 관련된 이야기가 더 나올수도 있겠다. == 대한민국 국민 유의 사항 == 대한민국 국민의 경우 여기를 구경왔을 때 각별히 주의해야 된다. 주로 인근 관광지인 압록강단교를 보러 가다가 접근하는데 북한 공작원에 의한 [[납북]] 위험[* 중국에 있는 탈북민들을 납치하는 건데 '''심지어는 대한민국 국민도 납치해가는 사례도 있다!''']도 있으며 [[월북]] 문제 발생 우려도 있어어 절대로 북한 쪽으로 넘어가서는 안 된다. 언제 납치될지 모르기 때문에 북중 국경 근처에 접근할 경우에는 신변에 꽤나 주의해야만 하며 관광지 밖으로는 가지 않는 것이 좋다. == 기타 == [[1박 2일]] 시즌1 백두산 특집에서 [[강호동]]과 그 일행들이 끊어진 구 철교를 탐방한 적이 있다.[* [[은지원]]이 1박2일에서 언급한 것처럼 앞서 서술한 6.25전쟁 당시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원을 막고자 미국군의 폭격으로 인해 부서진 철교의 흔적을 떨어진 폭탄과 함께 볼 수 있었다. 참고로 은지원의 어머니는 평양 출신의 실향민이다.] [include(틀:표절, version=3, source=한국어 위키백과)] [[분류:압록강의 교량]][[분류:중국의 교량]][[분류: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분류:단둥시]][[분류:신의주시]][[분류:북중관계]][[분류:외국의 여행금지 지역]][[분류:1943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