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000 {{{+2 '''압하스어'''}}}[br]'''{{{-1 Аԥсуа бызшәа}}}[* [apʰswa bɨzʃʷa\]. 약칭은 Аԥсшәа [apʰsʃʷa\]이다.]{{{-1 | Абхазский язык}}}'''[br]{{{-2 Abkhaz Language}}}}}} || ||<-3> [[파일:2560px-Map_of_Abkhaz_language.svg.png|width=300]] || ||<-2> '''유형''' ||[[교착어]] || ||<-2>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http://www.kapba.de/TheAbkhazLanguage.html|출처]]] || ||<-2>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2> '''문자''' ||[[키릴 문자]][br][[아랍 문자]](과거)[br][[로마자]](과거)[br][[조지아어|조지아 문자]](과거) || ||<-2> '''주요 사용 지역''' ||[include(틀:국기, 국명=압하지야)][br][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br][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2> '''원어민''' ||약 19만여 명 || ||<-2> '''계통''' ||[[북캅카스어족]][br]압하스아바자어파[br]압하스어 || ||<|3>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fff '''ISO'''}}}]] '''639-1''' ||ab || || [[국제표준화기구|{{{#fff '''ISO'''}}}]] '''639-2''' ||abk || || [[국제표준화기구|{{{#fff '''ISO'''}}}]] '''639-3''' ||abk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B84WTs0OFEY)] || 압하스어는 [[캅카스]] 서북부 [[러시아]] 및 [[압하지야]], [[튀르키예]]에서 쓰이는 언어로 [[압하스인]]의 [[모어]]이다. [[북캅카스어족|거북캅카스어족]]의 압하스아바자어파에 속하며, 사멸한 [[우비흐어]]와도 관련이 있다. == 특징 == 매우 많은 자음과 그에 비해 현저히 적은 모음이 특징이다. 방언에 따라 다르지만 일단 표준 압하스어는 58개나 되는 자음이 존재한다.[* 캅카스 지역의 언어들은 보통 자음의 개수가 많은 편이다.] 모음은 2개에 불과하지만 앞뒤 자음에 따라 심하게 발음이 달라진다. 표준어는 아브즈와(Абжьыуа / Abƶywa) 방언에 기초하고 있다. 문법은 복잡한 편으로 명사는 주격과 부사격밖에 없어 간단하나 동사 변화가 극히 복잡하다. [[교착어]] 또는 포합어[* 보통 [[교착어]]로 본다. 교착어가 캅카스 서북부 언어의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이기 [[https://en.wikipedia.org/wiki/Abkhaz_language|때문]]이다. 출처: Chirikba, Viacheslav (2003). Abkhaz LINCOM Europa, p.22.]로 분류한다. == 음소 == === 자음 === || || [[양순음|{{{#000 '''양순''' }}}]] || [[순치음|{{{#000 '''순치'''}}}]] || [[치경음|{{{#000 '''치경'''}}}]] || [[후치경음|{{{#000 '''후치경'''}}}]] || [[권설음|{{{#000 '''권설'''}}}]] || [[치경구개음|{{{#000 '''치경구개'''}}}]] || [[이중조음 자음#NgjMr|{{{#000 '''양순경구개'''}}}]] || [[경구개음|{{{#000 '''경구개'''}}}]] || [[이중조음 자음#NgM4|{{{#000 '''양순연구개'''}}}]] || [[연구개음|{{{#000 '''연구개'''}}}]] || [[구개수음|{{{#000 '''구개수'''}}}]] || [[인두음|{{{#000 '''인두'''}}}]] || || [[비음|{{{#000 '''비'''}}}]] || m || || n || || || || || || || || || || || [[파열음|{{{#000 '''무성파열'''}}}]] || p || || t·tʷ || || || || || || || k·kʷ·kʲ || || || || [[파열음|{{{#000 '''유성파열'''}}}]] || b || || d·dʷ || || || || || || || g·gʷ·gʲ || || || || [[방출음|{{{#000 '''방출'''}}}]] || pʼ || || tʼ·tʷʼ || || || || || || || || qʼ·qʷʼ·qʲʼ || || || [[파찰음|{{{#000 '''무성파찰'''}}}]] || || || t͡s || t͡ʃ || ʈ͡͡ʂ || t͡ɕ·t͡ɕʷ || || || || || || || || [[파찰음|{{{#000 '''유성파찰'''}}}]] || || || d͡z || d͡ʒ || ɖ͡ʐ || d͡ʑ·d͡ʑʷ || || || || || || || || [[방출음|{{{#000 '''방출파찰'''}}}]] || || || t͡sʼ || t͡ʃʼ || ʈ͡ʂʼ || t͡ɕʼ·t͡ɕʷʼ || || || || || || || || [[마찰음|{{{#000 '''무성마찰'''}}}]] || || f || s || ʃ·ʃʷ || ʂ || ɕ·ɕʷ || || || || || χ·χʷ·χʲ·χˤ·χˤʷ || || || [[마찰음|{{{#000 '''유성마찰'''}}}]] || || v || z || ʒ·ʒʷ || ʐ || ʑ·ʑʷ || || || || || ʁ·ʁʷ·ʁʲ || ħ·ħʷ || || [[접근음|{{{#000 '''접근'''}}}]] || || || || || || || ɥ || j || w || || || || || [[설측음|{{{#000 '''설측접근'''}}}]] || || || l || || || || || || || || || || || [[탄음|{{{#000 '''탄'''}}}]] || || || || || || || || || || || || || || [[전동음|{{{#000 '''전동'''}}}]] || || || r || || || || || || || || || || ||<-15> 칸 안의 표기는 '''(평음·원순화음·경구개화음·인두음화음·원순인두음화)''' 이다. || === 모음 === || || [[전설모음|{{{#000 '''전설''' }}}]] || [[근전설모음|{{{#000 '''근전설'''}}}]] || [[중설모음|{{{#000 '''중설'''}}}]] || [[근후설모음|{{{#000 '''근후설'''}}}]] || [[후설모음|{{{#000 '''후설'''}}}]] || || [[고모음|{{{#000 '''고'''}}}]] || || || || || || || [[근고모음|{{{#000 '''근고'''}}}]] || || || || || || || [[중고모음|{{{#000 '''중고'''}}}]] || || || || || || || [[중모음|{{{#000 '''중'''}}}]] || || || ə || || || || [[중저모음|{{{#000 '''중저'''}}}]] || || || || || || || [[근저모음|{{{#000 '''근저'''}}}]] || || || || || || || [[저모음|{{{#000 '''저'''}}}]] || || || ä || || || ||<-6> 칸 안의 표기는 '''(평순모음·평순비모음) / (원순모음·원순비모음)''' 이다. || == 문자 == 원래 문자가 없었으나 [[1862년]] [[독일계 러시아인]] 언어학자였던 표트르 우슬라르(Пётр Услар) 남작이 [[키릴 문자]]에 여러 글자를 덧붙여 알파벳을 고안했다.[* [[http://apsnyteka.org/581-uslar_p_abkhazskiy_yazyk_1862.html|관련 글]].] [[1892년]]에 압하스인 작가였던 드르미트 굴리아(Дырмит Гәлиа)와 조지아인 콘스탄티네 마차바리아니(კონსტანტინე მაჭავარიანი)에 의해서, [[1909년]]에 압하스인 안드레이 초추아(Андреи Ҷоҷуа)에 의해 새로운 변형이 고안됐다.[* [[http://apsnyteka.org/344-gulia_d_machavariani_abkhazskaiya_azbuka.html|관련 글 1]], [[http://apsnyteka.org/1479-chochua_abkhazskiy_yazyk_3_klass_1920.html|관련 글 2]].] [[유사언어학]]으로 유명한 니콜로즈 마리(ნიკოლოზ მარი, Николай Марр)는 [[압하지야 SSR]]의 수립 이후 라티니자치야 정책에 걸맞게 압하스어를 위해 77자의 라틴 문자 변형을 만들기도 했다.[* [[http://apsnyteka.org/2094-marr_abkhazskiy_yazyk.html|관련 글]].] 스탈린 치하에서는 [[조지아어]] 문자로 이 언어를 표기하는 게 시도됐다. 현재 사용되는 문자체계는 [[1954년]]에 드르미트 굴리아에 의해 재정립됐다.[* [[http://apsnyteka.org/2240-gulia_d_abhazsky_yazyk_1936_1940_1954.html|관련 글]].] 자음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다른 키릴 문자어권에서 찾아보기 힘든 Ӡ([[치경음#s-2.3|/d͡z/]]), Ҽ([[권설음#s-3.3|/ʈ͡ʂ/]]), Ҩ([[이중조음 자음#s-3.3.1|/ɥ/]]) 같은 문자를 사용한다. 한편, 아디게어나 아바자어 정서법에서 보이는 이 크랏코예(Й), 트뵤르디 즈나크(Ъ), 에 오보로트노예(Э), 팔로치카(Ӏ, [[성문음#s-2.1|성문 파열음]]을 나타냄.) 문자가 압하스어에는 없는 것과 키릴문자 [[Ə|슈와]](Ә)가 원순음화(◌ʷ)를 나타낼 때 쓰이는 것 또한 구별되는 점이다. 압하스어는 총 64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자음]]이 매우 많은데 반해 독립적인 [[모음]]은 А а /a/와 Ы ы /ɨ ~ ə/ 둘 뿐이다. 때문에 모음의 [[변이음]]이 다양하다. === 문자체계 === ||문자||문자 이름||라틴 문자 변환||국제음성기호|| ||А а||А||a||/ɑ/ || ||Б б||Бы||b||/b/ || ||В в||Вы||v||/v/ || ||Г г||Гы||g||/ɡ/ || ||Гь гь||Гьы||g'||/ɡʲ/ || ||Гә гә||Гәы||gw||/ɡʷ/ || ||Ӷ ӷ||Ӷы||ġ||/ʁ/ || ||Ӷь ӷь||Ӷьы||ġ'||/ʁʲ/ || ||Ӷә ӷә||Ӷәы||ġw||/ʁʷ/ || ||Д д||Ды||d||/d/ || ||Дә дә||Дәы||dw||/dʷ/ || ||Е е||Е||e||/ɛ/ || ||Ж ж||Жы||ž||/ʐ/ || ||Жь жь||Жьы||ž'||/ʒ/ || ||Жә жә||Жәы||žw||/ʒᶣ/ || ||З з||Зы||z||/z/ || ||Ӡ ӡ||Ӡы||ʒ||/d͡z/ || ||Ӡә ӡә||Ӡәы||ʒw||/d͡ʑᵛ/ || ||И и||Иы||i||/j, jɨ, ɨj, i/ || ||К к||Кы||k||/kʼ/ || ||Кь кь||Кьы||k'||/kʼʲ/ || ||Кә кә||Кәы||kw||/kʼʷ/ || ||Қ қ||Қы||ķ||/kʰ/ || ||Қь қь||Қьы||ķ'||/kʲʰ/ || ||Қә қә||Қәы||ķw||/kʷʰ/ || ||Ҟ ҟ||Ҟы||q||/qʼ/ || ||Ҟь ҟь||Ҟьы||q'||/qʼʲ/ || ||Ҟә ҟә||Ҟәы||qw||/qʼʷ/ || ||Л л||Лы||l||/l/ || ||М м||Мы||m||/m/ || ||Н н||Ны||n||/n/ || ||О о||О||o||/ɔ/ || ||П п||Пы||p||/pʼ/ || ||Ԥ ԥ||Ԥы||ph||/pʰ/ || ||Р р||Ры||r||/r/ || ||С с||Сы||s||/s/ || ||Т т||Ты||t||/tʼ/ || ||Тә тә||Тәы||tw||/t͡pʼ/ || ||Ҭ ҭ||Ҭы||ţ||/tʰ/ || ||Ҭә ҭә||Ҭәы||ţw||/t͡pʰ/ || ||У у||Уы||u||/w, wɨ, ɨw, u/ || ||Ф ф||Фы||f||/f/ || ||Х х||Хы||ch||/χ/ || ||Хь хь||Хьы||ch'||/χʲ/ || ||Хә хә||Хәы||chw||/χʷ/ || ||Ҳ ҳ||Ҳы||h||/ħ/ || ||Ҳә ҳә||Ҳәы||hw||/ħᶣ/ || ||Ц ц||Цы||c||/t͡sʰ/ || ||Цә цә||Цәы||cw||/t͡ɕᵛʰ/ || ||Ҵ ҵ||Ҵы||ċ||/t͡sʼ/ || ||Ҵә ҵә||Ҵәы||ċw||/t͡ɕʼᵛ/ || ||Ч ч||Чы||č||/t͡ʃʰ/ || ||Ҷ ҷ||Ҷы||ć||/t͡ʃʼ/ || ||Ҽ ҽ||Ҽы||ĉ||/t͡ʂʰ/ || ||Ҿ ҿ||Ҿы||ç||/t͡ʂʼ/ || ||Ш ш||Шы||š||/ʂ/ || ||Шь шь||Шьы||š'||/ʃ/ || ||Шә шә||Шәы||šw||/ʃᶣ/ || ||Ы ы||Ы||y||/ɨ/ || ||Ҩ ҩ||Ҩы||õ||/ɥ ~ ɥˤ/(< */ʕᶣ/)|| ||Џ џ||Џы||ǧ||/d͡ʐ/ || ||Џь џь||Џьы||ǧ'||/d͡ʒ/ || ||Ь ь||||j||/ʲ/ || ||Ә ә||||w||/ʷ,ᶣ,ᵛ/ || Ӷ와 Ԥ는 본래 Ҕ와 Ҧ라는 다른 문자를 사용했는데, Ӷ와 Ԥ가 2009년에 나온 [[유니코드]] 5.2에야 추가되었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Ҕ나 Ҧ가 사용된 자료들이 있다. == 언어별 명칭 == ||<-2> '''언어별 명칭''' || ||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압하스어(Abkhaz語) || || {{{#373a3c,#ddd '''압하스어'''}}} ||Аԥсуа бызшәа(Аҧсуа бызшәа) || || [[러시아어|{{{#373a3c,#ddd '''러시아어'''}}}]] ||Абхазский язык || || [[영어|{{{#373a3c,#ddd '''영어'''}}}]] ||Abkhaz Language || || [[우크라이나어|{{{#373a3c,#ddd '''우크라이나어'''}}}]] ||Абхазька мова || || [[조지아어|{{{#373a3c,#ddd '''조지아어'''}}}]] ||აფხაზური ენა || || [[튀르키예어|{{{#373a3c,#ddd '''튀르키예어'''}}}]] ||Abhazca || == 기타 == [[https://ab.wikipedia.org/wiki/Ихадоу_адаҟьа|압하스어 위키백과]]가 존재한다. 매우 생소한 언어지만 [[대한민국|한국]]에 소개된 압하스어 표현 하나가 있다. [[1980년대]] [[hy|한국야쿠르트]]의 떠먹는 [[요구르트]] '슈퍼100'의 [[https://youtu.be/oLYUIf567mQ|광고]]에서 "이브지옵프"로 등장한 표현인 '이브지오우프'([[https://en.wiktionary.org/wiki/%D0%B0%D0%B1%D0%B7%D0%B8%D0%B0%D0%B7%D0%B0%D0%B0%D1%80%D0%B0|ibziouṗ]], '좋다.')가 있다. 해당 표현은 주로 '아주 좋다.'는 뜻의 "Даара ибзиоуп."[* Даара(매우) и(3인칭 비인간 단수 또는 3인칭 복수 접사)-бзио(좋다; 원형은 бзиа)-у(현재 접사)-п(비동작 접사) 로 분석할 수 있다.]로 쓰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Даара ибзиахоит."로 쓸 수 있다. 다만 한국에서는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11&aid=0000348876|스위스]]나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544018|불가리아]]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박명수]]가 [[무한도전 시크릿 바캉스]] 편에서 "이브지옵프"라고 언급해서 더 유명해졌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무한도전 시크릿 바캉스, version=133)] [[분류:개별 언어]][[분류:압하지야]][[분류:러시아의 언어]][[분류:튀르키예의 언어]][[분류:조지아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