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앙드레 브르통'''}}}[br]{{{-1 ''André Breto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앙드레브르통.jpg|width=100%]]}}} || ||<:>'''{{{#white 본명}}}'''||'''앙드레 브르통'''[br]{{{-1 ''André Breton''}}} || ||<:>'''{{{#white 국적}}}'''||[[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프랑스]] || ||<:><|2>'''{{{#white 출생}}}'''||[[1896년]] [[2월 19일]] ||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2>'''{{{#white 사망}}}'''||[[1966년]] [[9월 28일]] (향년 70세) || ||[[프랑스 파리]] || ||<:>'''{{{#white 직업}}}'''||[[시인(문학)|시인]], [[작가]], [[소설가]], [[화가]], [[사진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앙드레 브르통은 [[20세기]]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프랑스]]의 [[시인(문학)|시인]]이자 미술 이론가이다. [[1920년대]] 초현실주의 예술 운동의 창립자 가운데 한명으로 "사람들은 동료를 찾기 위해 출판한다"라고 주장했다. == 생애 == [[1896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 [[제1차 세계대전]] 때 [[군의관]]으로 소집되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치료에 도입하여 큰 시사를 얻는다. 처음에는 [[스테판 말라르메|말라르메]]류의 시를 썼으나 현실을 일변케 하는 '검은 유머'의 실행자 자크 바세와 만난다든지 아폴리네르와의 교우와 [[다다이즘]] 운동에 자극되어 수포와 공저(共著)한 <자장(磁場)>(1919)에는 무의미하고 비논리적인 언어와 영상에 넘치는 자동필기의 최초의 범례를 보였고 이어서 <쉬르레알리즘 선언>(1924)과 <쉬르레알리즘 혁명>지(誌)를 간행하여 뛰어난 시인과 화가를 모아 그 지도적 위치에 섰다. 브르통의 의도는 유머와 일상 속에 숨은 시적 경이의 발견, [[꿈]]의 기술, [[광기]]의 모방, 우연적 오브제의 진열, 떨어진 두 [[이미지]]의 비교 등의 수단으로써 예술뿐만이 아니라 인생과 세계를 변혁하는 것이었다. 또한 '내적 경험에 대하여는 어떠한 외적 제약도 받지 않는다'는 선은 양보하지 않아 아라공 등과 인연을 끊고 <제2선언>(1930)에는 '생과 사, 현실과 초현실이 일치하는 지고점(至高點)'의 획득을 목표로 하여 나갔다. [[1937년]]부터 해외로 여행하여 [[멕시코]]에서 [[레프 트로츠키|트로츠키]][* [[레프 트로츠키]]는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의 [[볼셰비키]] 계열 정치인, 혁명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며 사상적으로 트로츠키주의를 정립한 인물이다. 경력상으로는 [[10월 혁명]]의 주역이자, [[붉은 군대]]의 창시자ㆍ지도자로서 [[소련]] 건설에 지대한 공적을 세웠다.]와 친교를 맺고 대전 중에 [[미국]]으로 망명하여 신비적인 [[에로스]]를 칭송한 <광기의 사랑>(1937)과 <비법(秘法)17>(1943)을 냈으며, 소설 <나쟈>(1928)도 광기의 여성을 둘러싸고 이야기하는 사람이 파리에서 마주치는 시적 우연과 ‘경련적인 미(美)’가 넘친 대표작이다. 전후에도 기관지 발행과 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정력적인 활약을 계속하였다. [[분류:1896년 출생]][[분류:1966년 사망]][[분류:파리 출신 인물]][[분류:프랑스의 시인]][[분류:프랑스의 화가]][[분류:프랑스의 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