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만화·애니메이션]] [include(틀:오덕갤)] [목차] == 개요 == >구대륙의 유럽 애니메이션과 신대륙의 유럽 이민자 애니메이션을 다루는 갤러리입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euca|갤러리 바로가기]] 2018년 4월 23일 디시인사이드에 개설된 마이너 갤러리로, 표면상 유럽 애니메이션에 대해 다루는 갤러리이나 실제로는 미국 애니메이션이 주요 주제. [[애니-미국 갤러리]]의 뒤를 잇는 대피소격인 갤러리이기 때문이다. 애니-미국 갤러리의 실제 명칭이 미국 애니메이션 갤러리였으며 유저들이 줄여서 '미애갤'이라고 불렀던 것과 달리, 이쪽은 '애유갤' / '앢갤'이라고 불린다. == 상세 == 성향은 애미갤 시절과 비슷하며 활동하는 갤러들 역시 대부분 같다. 2021년에는 [[앰피비아]], [[아울 하우스]], [[울프워커스]], [[Infinity Train]], [[틴 타이탄즈 고]], [[인빈시블]], [[Summer Camp Island]] 등이 유행했으며 픽사 디즈니 영화도 언급되었다. 이후 [[래커데이지]], [[Murder Drones|머더 드론]] 정도를 빼면 부족한 공급과 [[해즈빈 호텔]]의 부진 등으로 불황기에 빠져 있었지만, 2023년 하반기에는 [[판테온(애니메이션)|판테온]]과 [[The Amazing Digital Circus]], [[스콧 필그림, 날아오르다!]] 등 기대작들의 출현으로 조금이나마 생기를 되찾았다. 미국 애니와 관계없는 수다, 일상글도 자주 오고가지만 정말 문제가 되지 않는 한 대부분은 신경쓰지 않는다. 일부 게시글은 갤주들이 삭제시킬 때도 있으니 케이스 바이 케이스. 단, 선례가 된 분탕 때문에 [[스카톨로지]]는 ~~'''[[게이]], [[보추]], [[후타]], [[퍼리]]'''라는 애유갤 4대 이상성욕을 비롯해 갤러리에 난무하는 온갖 이상성욕과 달리~~ 이유를 불문하고 바로 삭제되며, 개인 SNS 및 사이트를 대놓고 홍보[* 대신 특정 애니메이션/만화 번역이 사진 30장 제한에 걸리거나 영상 업로드가 마땅찮아 개인 SNS/사이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삭제되지 않는다.] 역시 마찬가지. 또한 그림을 그려왔다고 하면 열에 아홉은 개념글에 올라갈 정도로 실력에 상관없이 그림에 대해 매우 관대[* 최소 미국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사진을 1장 이상 포함해야 하며, 특정 작품은 추천을 짜게 주는 경우가 있다. 주로 유저들의 선호에 안 맞거나 분탕이 언급하여 낙인이 찍힌 작품.]하다. 최근에는 독재를 일삼던 완장이 물갈이되고 개념글을 내리는 기준이 널널해져 미애니와 크게 관련이 없어도 주작만 아니면 대부분 념글에 남는 편이다. === 뻘글과 유사미애니 === 미애니 자체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자연스레 이전보다 사람들이 더 줄어들었고, 결과적으로 유동이 거의 없고 대부분 고닉만 존재하는 고인물 갤러리가 되었다. 친목질 방지도 유명무실한 상황이라고 하니, 전신인 애니-미국 갤러리의 말년과 비슷한 모습이 된 셈. 그래도 장르의 광범위함에 힘입어 어디선가 갤러들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긴 하다. "유사미애니"라는 떡밥이 상시 존재하여, [[애니-미국 갤러리]]때 부터 '''그냥 일본 애니메이션'''까지 하고 싶은 작품 이야기를 하면서 "이 작품은 이런 측면 때문에 미국 애니메이션과 비슷하므로 유사미애니다"라고 우기고는 한다. 이는 미국 애니메이션의 방송 체계나 근래 애니메이션계의 침체에 기인한 떡밥으로, 미애니 자체가 한국에서는 매우 마이너하며 그마저도 유아용 만화가 대부분이라 성인용 애니메이션은 소수이다. [[인빈시블(만화)|인빈시블]]처럼 유저들의 호평을 받는 성인용 애니메이션이 없는 것은 아니나 TV의 침체 때문에 대부분 [[OTT]]에서 시즌제로, 즉 '''공개일에 시즌 전체 에피소드가''' 스트리밍되는 까닭에 과거[* 과거 TV에서 방영되던 미국 애니메이션은 일정 분기동안 '''매 주마다''' 신규 에피소드를 전부 송출하는 일본 애니메이션과 달리 긴 기간을 두고 신규 에피소드 제작이 완료될 때마다 TV에 송출했다. 그렇다 보니 일본 애니메이션과 달리 한 작품으로 떡밥이 지속되는 기간이 길었다.]보다 떡밥 지속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심지어 다수의 OTT가 생겨난 2020년대부터는 특정 계층에 수요를 집중시키려는 OTT 회사들의 의도와 OTT 업계의 연이은 적자로 인해, '''가장 먼저 애니메이션 측에 투자된 예산이 삭감되고 후속 시즌 제작이 취소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어 덩달아 애유갤도 난항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웹코믹, 유튜브 단편 애니메이션, 미애니풍 분위기의 게임같이 '미국풍 창작물 전체'로 떡밥의 범위가 확장된 편. 그러나 이러한 떡밥 확장에 모두가 동의하는 것 역시 아니기 때문에 "'유사미애니'를 미애니로 인정해야 하는가", "미애니가 아닌 작품을 [[억지 밈|억지]] 떡밥으로 조성하는 것을 놔 둬야 하느냐" 등 갑론을박이 오가고 있다. === 정치적 올바름 관련 === 상술한 애미갤 특유의 이상성욕 성향도 그대로 존재하며, 2021년에는 게이갤로 분류될 정도로 게이와 보추떡밥이 항상 있다. 미애니 자체가 PC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있고, 워낙 동성애 떡밥이 잦다 보니 성소수자에게 호의적인 유저들이 애유갤의 주류가 되었다. [[소수자 권리]]를 긍정하는 갤러는 물론, [[캐주얼 호모|게이 컨셉을 잡다가]] 점차 컨셉이 현실을 잡아먹은 나머지 실제로 커밍아웃한 갤러들이 등장하기도. 미애니 캐릭터들을 엮어서 동성 커플링을 억지로 만드는 부녀자다운 일이 발생하기도 하며, 멀쩡한 캐릭터를 보추로 타락시키기도 한다. [[우주의 전사 쉬라]]같이 PC를 잘 묘사한 작품은 호평하나 [[스티븐 유니버스]]같이 대놓고 PC를 내세운 애니는 싫어하는데, 예전만 해도 PC에 매우 부정적이었지만 미국 애니메이션 업계의 특성상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euca&no=1386032|이젠 PC 없이는 미애니를 논하기 힘든 상황이 오다 보니]] 어쩔 수 없이 PC를 받아들인 케이스, 또는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euca&no=1391144|PC 떡밥에 왈가왈부하는 것조차 지쳐버린 케이스]]라고 보면 된다. 물론 ''''다른 디시 유저들에 비하면'''' 호의적일 뿐인 지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euca&no=1405499|친PC 성향의 갤러들이 갤러리 전체의 여론을 뒤엎지는 못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산 창작물의 과도한 [[정치적 올바름]] 반영이 심해지면서 관련 이슈[* 디즈니가 애니메이션 회사인 만큼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 [[인어공주(2023)|2023년 인어공주]] 등의 PC 논란이 자주 도마에 오른다.]뿐만 아니라 [[칼아츠 스타일#SJW의 영향?|사회적 소수자 출신 제작자들]]의 [[자기 투영]][* 이러한 기조를 형성했던 [[스티븐 유니버스]]의 [[레베카 슈거]]가 가장 유명하고, [[신비한 개구리 나라 앰피비아]]의 [[맷 브랠리]], [[애슐리 버치]]가 주인공을 맡은 [[몰리 맥기와 유령]] 역시 언급된다. 특히 후자 작품들은 마침 주인공이 둘 다 태국계 미국인이라 같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역시 자주 비판의 대상에 오른다. == 관련 갤러리 == * [[미국 애니메이션 갤러리]] * [[미국 만화 마이너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