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FL 홈구장)]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z209.jp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z2.jpg|width=100%]]}}}|| ||<-3> [[파일:애크리슈어 스타디움 로고.svg|height=120]] || ||<-2> '''피츠버그 스틸러스'''||'''{{{#ffffff 피츠버그 팬서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612 25%, #cec499 75%)"' '''{{{#000000 {{{+2 애크리슈어 스타디움}}}[br]Acrisure Stadium}}}'''}}} || || '''위치''' ||<-2>[[펜실베이니아|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 100 Art Rooney Avenue|| || '''기공''' ||<-2>[[1999년]] [[6월 18일]]|| || '''개장''' ||<-2>[[2001년]] [[8월 18일]]|| || '''구장명 변천''' ||<-2>하인즈 필드 (Heinz Field, 2001~2022) [br] '''{{{#ffb612 애크리슈어 스타디움}}}''' (Acrisure Stadium, 2022~) || || '''홈 구단''' ||<-2>'''[[피츠버그 스틸러스|{{{#ffb612 피츠버그 스틸러스}}}]]''' ([[내셔널 풋볼 리그|NFL]], 2001~) [br] '''[[피츠버그 대학교#s-6.1|{{{#091c44 피츠버그 팬서스}}}]]''' ([[NCAA]], 2001~)|| || '''운영''' ||<-2>[[피츠버그 스틸러스]]|| || '''잔디''' ||<-2>켄터키 블루그래스|| || '''수용인원''' ||<-2>68,400석|| || '''준공비''' ||<-2>2억 8,100만 달러||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Heinz Field, 너비=100%, 높이=225px)]}}} || [목차] [clearfix] == 개요 == [[피츠버그 스틸러스]]의 홈구장이며, [[피츠버그 대학교#s-5.1|피츠버그 대학교 미식축구팀]]도 구장을 공유하고 있다. == 역사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ree_Rivers_Stadium_aerial_view_1996.jpg|width=100%]]|| ||<:>지금은 사라진 쓰리 리버스 스타디움.[br]전형적인 [[쿠키커터]]형--극혐--[* 6~70년대에 꽤 유행한 디자인이긴 하지만 워낙 몰개성해서 미국에서도 좋은 취급을 받지 못하는 디자인이다. 뉴욕 메츠가 사용했던 셰이 스타디움이 전형적인 [[쿠키커터]]형 구장이다.] 디자인이다. || ||<:> [[파일:하인즈 필드 로고.svg|height=180]] || || '''하인즈 필드'''(Heinz Field) 로서의 로고. || 1970년부터 스틸러스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함께 미식축구와 야구 겸용 구장인 '''쓰리 리버스 스타디움'''을 사용해오고 있었으나, 파이리츠가 [[PNC 파크|야구 전용 구장]]을 지어 나가기로 결정한다. 쓰리 리버스 스타디움을 단독으로 사용하게된 스틸러스는 리노베이션보다는 새로운 [[미식축구]] 전용 경기장 건설을 원했고, 결국 쓰리 리버스 스타디움 주차장 부지에 새로운 구장을 짓는 것으로 결론이 난다. 새로운 경기장은 1999년에 공사를 시작해 2001년에 완공이 되었으며, [[케첩]]으로 상당히 유명한 [[크래프트 하인즈|하인즈]]가 20년간 5,700만 달러에 [[명명권]]을 획득하여 '''하인즈 필드'''가 되었다. 이름답게 전광판 위에 [[케첩]] 모형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 하인즈와의 네이밍은 2021년 1월 만료되었으나 2021년 연말까지는 유지하기로 하여 2022년부터는 새로운 네이밍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2022년]] [[7월 11일]] 미시간에 본사가 있는 보험 중개회사 애크리슈어(Acrisure)에서 명명권을 획득하면서 '''애크리슈어 스타디움'''(Acrisure Stadium)으로 변경되었다. 스틸러스 홈구장의 명칭이 새로운 구장으로 옮기는 것을 제외하면 바뀐적이 없는데다가 이름도 난해한지라 스틸러스 팬덤에서는 새로운 이름에 대한 [[https://www.behindthesteelcurtain.com/2022/7/11/23204119/steelers-officially-announce-acrisure-stadium-as-the-new-name-of-their-home-venue-heinz-field-news|부정적인 반응이 강하고]], 심지어는 2021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벤 로슬리스버거]]까지 명칭 변경을 디스했다.[[https://twitter.com/_BigBen7/status/1546590224612052992?cxt=HHwWgMC-8a7ny_YqAAAA|#]] [[파일:external/populous.com/HeinzField-Pittsburgh-Concourses.jpg|width=500]] 내부에는 편의시설과 더불어 스틸러스 역사관이 위치해있다. 경기장이 피츠버그의 상징인 3개의 강이 만나는 지점에 지어진데다가, 강과 마주보고 있는 남쪽 스탠드가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래서 강 [[바람]]이 많이 불고 이쪽 방향으로 차는 '''필드골 성공률이 낮은 편'''이다. [clearfix] == 기타 == * 2007년에 [[잔디]] 상태때문에 곤욕을 치룬적이 있다. 같은 주에 [[피츠버그 대학교]] 미식축구팀이 경기를 펼치고, 이 구장에서 고등학교 팀 결승전도 펼쳐진데다가 설상가상으로 날씨까지 상당히 안좋아서 '''잔디가 그야말로 황폐화되었다''' (...) 경기장측은 응급조치로 잔디를 뿌렸는데, 프라임타임 경기인 [[먼데이 나잇 풋볼]]에서 '''미식축구공 모서리 면이 잔디에 처박히는 장면'''이 나왔다. 이 때문에, 하인즈 필드의 잔디 컨디션이 큰 이슈가 되었고 경기장 측은 2009년에 잔디를 켄터키 블루그래스(천연잔디)로 교체했다. ~~이럴거면 차라리 [[링컨 파이낸셜 필드|필라델피아 이글스 경기장]]에 있는 잔디[* 데소 그래스마스터, 이 잔디는 비온후 물이 쉽게 빠지는건 기본이요, 지표가 단단해지는 장점을 가지고있는 잔디 되시겠다.]를 쓰는게...~~ [[파일:external/1.bp.blogspot.com/ward-batman.jpg|width=500]] * [[다크 나이트 라이즈]]의 경기장 폭파 장면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 순식간에 [[고담(DC 코믹스)|고담]]이 된 피츠버그~~ [[분류:NFL 경기장]][[분류:피츠버그 스틸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