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코고나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f,#dddddd '''{{{+1 애프터 양}}}''' (2022)[br]''After Ya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애프터 양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SF, 드라마}}}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고나다]]}}}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고나다}}} || ||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렉산더 와인스타인 - 소설 《양에게 작별 인사를》[* Saying Goodbye to Yang.]}}}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앤드류 골드맨, 캐롤라인 카플란, 폴 메제이, 테레사 파크}}}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콜린 패럴]], 조디 터너 스미스, [[저스틴 H. 민]], 말레아 엠마 찬드로위자야, [[헤일리 루 리처드슨]]}}}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벤자민 로에브}}}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고나다}}}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르준 바신}}}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24]], 시네리치, 퍼 캐피타 프로덕션}}}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왓챠]]}}}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24]][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왓챠]]}}}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21년 7월 8일 [[파일:sundance-ff-logo.png|width=20]] 2021년 1월 21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3월 4일 [[파일:jiff_logo.png|width=20]] 2022년 4월 2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6월 1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가변적}}}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6분}}} || ||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732,224''' ^^([[2023년]] [[3월 12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8633464/?ref_=bo_se_r_1|기준]])^^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40,897명''' ^^([[2023년]] [[2월 11일]] [[https://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DailyBoxOfficeList.do|기준]])^^}}}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6월 1일 한국에서 공개된 [[코고나다]][* [[콜럼버스(영화)|콜럼버스]]로 데뷔하였으며, [[파친코(드라마)|파친코]]의 연출도 맡았다.] 감독의 SF영화. 알렉스 와인스틴의 단편소설 《양에게 작별 인사를(Saying Goodbye to Yang)》이 원작이다. == 시놉시스 == >함께 살던 안드로이드 인간 ‘양’이 어느 날 작동을 멈추자 >제이크 가족은 그를 수리할 방법을 찾는다. >그러던 중, ‘양’에게서 특별한 메모리 뱅크를 발견하고 >그의 기억을 탐험하기 시작하는데… > >무엇을 남기고 싶었어, 양? == 출연 == * 제이크 - [[콜린 패럴]] * 카이라 - 조디 터너 스미스 [* 원래 [[골쉬프테 파라하니]]가 내정되어 있었으나 스케줄 문제로 하차했다.] * 양 - [[저스틴 H. 민]][* [[엄브렐러 아카데미(드라마)|엄브렐러 아카데미]]에서 [[벤 하그리브스]] 역할을 맡은 배우.] * 미카 - 말레아 엠마 찬드로위자야 * 에이다 - [[헤일리 루 리처드슨]][* 코고나다 감독의 데뷔작인 [[콜럼버스(영화)|콜럼버스]]에서 [[존 조]]와 함께 주연을 맡은 배우.]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Z8dUINFraQ)]}}}|| || '''{{{#fff 30초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5OK4gAiTxnU)]}}}|| || '''{{{#fff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navertv(27056406)]}}}|| || '''{{{#fff 오프닝 영상}}}''' || == 삽입곡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1IwT4GpovU)]}}}|| || '''{{{#fff Glide - [[Mitski|{{{#fff Mitski}}}]] ver.}}}''' || 영화의 주요 장면과 엔딩에 등장하는 노래 'Glide'는 《[[릴리 슈슈의 모든 것]]》에 나오는 곡을 [[Mitski]]가 편곡한 버전이다. 자세한 정보는 [[呼吸#글라이드|해당 문단]] 참고.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IFMshWwS_0)]}}}|| || '''{{{#fff Memory Bank - [[|{{{#fff [[Ryuichi Sakamoto]]}}}]]}}}''' || 또한 [[사카모토 류이치]]가 메인 테마 'Memory Bank'를 작곡했다. == 영화제 == * 2021년 [[제74회 칸 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 부분에 초청되었다. * 2022년 제38회 [[선댄스 영화제]]에서 Alfred P. Sloan Foundation 장편 영화상을 수상하였다. * 2022년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개막작으로 상영되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after-yang, critic=78, user=7.1)]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after_yang, tomato=90, popcorn=69)] [include(틀:평가/IMDb, code=tt8633464, user=6.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after-yang, user=3.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261977, user=6.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72144, presse=3.2, spectateurs=2.8)]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428nl, user=4.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98748, light=91.67, star=3.8)]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51102, user=7.4)] [include(틀:평가/CGV, code=85884, egg=90)]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22026400, user=8.3)] >'''인간과 로봇 사이, 영화라는 기억 장치''' >---- >- [[김소미]] ([[씨네21]]) | ★★★★ >'''찍고 기억하고 사랑하는, 카메라의 존재론''' >---- >- [[송경원]] ([[씨네21]]) | ★★★★ >'''이번에도 반해버렸다'''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씨네21]]) | ★★★★ >'''목적과 용도 너머에서 숭고함은 어떻게 찾아오는가''' >---- >- [[이동진]] ([[왓챠]]) | ★★★★☆ 평단과 관객에게 고른 호평을 받았다. == 여담 == * 일반적인 다른 영화들과 다르게 [[가변 화면비|화면비가 가변적]]이다. 총 3가지 화면비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화면비의 변화에는 단순히 더 좋은 영상미를 제공하려는 목적뿐만 아니라, [[미장센|영화적 장치]]로 기능하게 하고, 복선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엿보인다. 게다가 이 영화는 대대수의 관객이 알아채지도 못하게 무작정 화면비를 바꾼 뒤에 이를 알아차린 소수의 매니아들에 의해 '그랬다더라!' 하는 입소문이 돌아서 이를 확인하기 위한 관객들의 재관람을 유도하거나 하는 것도 아니고, 감독이 친절하게 "이 작품은 가변 화면비에 주목하세요"라고 관객들에게 말하듯이 초반에 이러한 화면비의 변화를 누구나 쉽게 체감할 수 있게끔 하는 장면을 집어넣음으로써[* 1.33:1로 거의 네모진 화면이라 누구나 쉽게 알아챌 수 있는 초반 영상 통화 장면이 그것이다.] 보다 많은 사람이 가변 화면비의 감동을 느낄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릴리 슈슈의 모든 것]]》의 영어 제목에서 따온 'Lily Chou Chou(릴리슈슈)'가 쓰인 티셔츠가 중요 소품으로 등장한다. 일종의 [[오마주]]인 셈이다. * 영화의 OST 'Glide'는 《[[릴리 슈슈의 모든 것]]》의 동명의 곡을 리메이크했다. * 주인공 가족은 백인 남편-흑인 아내 부부, 입양된 중국계 딸, 중국인으로 프로그래밍된 로봇 등 다양한 문화 정체성을 가진다. 이에 대해 코고나다 감독은 "아시아인에 대한 미국인의 고정관념에 맞서 아시아인의 의미를 묻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31936?sid=104|#]] * [[2022년]] 5월 27일 롯데시네마 월드타워에서 영화평론가 [[이동진]]이 [[GV#s-1]]를 진행했다. == 같이 보기 == * 코고나다 감독의 인터뷰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00308|'애프터 양' 코고나다 감독, "그게 무엇이든, 세상의 일부가 되어"]] * 주연배우 [[저스틴 H. 민]]의 인터뷰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00094|저스틴 H. 민의 기억 장치에 저장된 '애프터 양'의 조각들]] * [[김소미]] 평론가의 리뷰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00252|인간과 로봇 사이, 영화라는 기억 장치 '애프터 양']] *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전주국제영화제(JIFF)]] 개막작 소개 기사 [[https://biz.chosun.com/entertainment/movie/2022/04/29/ZHBFPYMQ7VVJHTCTGBFXAGDV4M/|'애프터 양', 인간은 누구일까…'파친코' 감독이 던지는 질문]] * 이동진 해설[[https://youtu.be/bFPN6Lvxypw|#]] == 둘러보기 == [include(틀:아티스트 굿즈)] [[분류:2022년 영화]][[분류:미국의 SF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A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