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1 Accelerator }}} [[인큐베이터]]와 달리 [[스타트업]]에게 사무공간 뿐만아니라, 창업자금을 투자하고 멘토링을 해 주는 전문기관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국내의 액셀러레이터도 [[벤처캐피탈]]의 일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액셀러레이터는 국내에서 정립되고 통용되는 개념이다.] [[시리즈 A 라운드]] 등 이후의 투자 라운드는 [[벤처캐피탈]]에 의해 주도된다. == 업체 목록 == === [[미국]] === * [[와이콤비네이터]] * [[https://www.500.co/|500 Startups]]: 국내에도 사무실이 있다. * [[https://www.launch.co/|Launch]] === [[대한민국]] === * [[http://www.mashupangels.com/|메쉬업엔젤스]]: [[카카오(기업)|다음]] 창업자 [[이택경]]이 2013년에 설립한 ICT 전문 액셀러레이터 주요 투자처: [[오늘의집]], [[캐시워크]], [[리멤버(애플리케이션)|리멤버]], [[스타일쉐어]], [[마이리얼트립]], 잼페이스[* Z세대 뷰티 플랫폼 [[https://www.zamface.co.kr/]]], 스캐터랩[* [[이루다(인공지능)]] 개발사] * [[https://www.primer.kr/|프라이머]]: [[프라이머(기업)|프라이머]]. 국내 최초의 액셀러레이터. [[권도균(기업인)|권도균]], [[이택경]], [[장병규]] 등이 설립에 참여하였다. 주요 투자처: 스타일쉐어, 마이리얼트립, 번개장터, 데일리호텔, 아이디어스, 호갱노노 * [[http://bonangels.net/|본엔젤스]]: [[크래프톤]] [[장병규]] 의장이 설립한 액셀러레이터 주요 투자처: 마이리얼트립, [[오늘의집]], 데일리호텔, 번개장터, 스푼라디오, 펍지, 뷰노 * [[https://futureplay.co/|퓨처플레이]]: [[올라웍스]]를 창업하고 [[인텔]]에 매각한 [[류중희]]가 설립. 투자, 대기업협업, 컴퍼니빌딩, 직접사업 등 다양한 접근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초기 스타트업 탄생부터 IPO까지 장기간 다각화한 육성 시스템과 재원을 제공한다. 주요 투자처: 뷰노, 베어로보틱스, 비트센싱, [[서울로보틱스]], 이노스페이스, 핀다, 퍼블리 * [[https://bluepoint.ac/|블루포인트파트너스]]: 카이스트 출신 이용관 대표가 반도체 장비기업을 매각하고 창업했다. [[서울]]에 본사가 있는 대부분의 액셀러레이터와 달리 [[대전]]에 본사가 있다. [[블루포인트파트너스]]는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는 등 액셀러레이터 1호 상장사가 될 전망이다. 딥테크에 강점이 있고, 국내 최대 규모 데모데이를 매년 여는 등 빠르게 사세를 확장 중이다. 주요 투자처: 플라즈맵, 인벤티지랩, 고팍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스타스테크 * [[http://www.sparklabs.co.kr/|스파크랩]]: 국내 최대 [[데모데이]]를 개최하는 액셀러레이터 주요 투자처: 미미박스, 원티드, 튜터링, 센트비 * [[http://kingsley.co.kr|킹슬리벤처스]]: 영국의 VC/PE인 킹슬리캐피털파트너스가 설립한 액셀러레이터로서 21년 12월 모태펀드 기술기업첫걸음펀드에 스파크랩과 함께 선정되는 등 국내 최고 수준의 ICT/바이오 전문 액셀러레이터. 홍보는 지양하는 하우스지만 서울대 출신 이정훈 대표를 비롯한 모든 심사역이 국내외 명문대 및 유수 기관/기업 출신 및 다양한 금융계/산업계/컨설팅계 출신의 소수 정예 투자 하우스. 홍보는 아예 안 하는 하우스지만 TIPS 추천권수 기준 국내 Top5 하우스 및 모든 블라인드 펀드 Anchor가 모태 펀드일 정도로 정책(국가) 자금이 신뢰하는 하우스 주요 투자처: 티앤알바이오팹, 열매컴퍼니, 씨앤에이아이, 알티엠, 메이사, 콰라소프트, 텐, 지이모션, 오시리스시스템즈, 펫프렌즈 등 * [[http://www.neoply.com|네오플라이]]: 2008년에 [[네오위즈]]가 설립했으며, 스타트업에게 [[판교테크노밸리]]의 사무공간을 제공하고, 엔젤자금을 투자하고, 문제를 함께 고민해주는 맞춤형 멘토링을 제공한다. 주요 투자처: * [[http://www.bigbangangels.com|빅뱅엔젤스]]: [[레진코믹스]]와 집닥을 초기 투자하여 유명한 액셀러레이터. 엔젤클럽으로 시작하여 액셀러레이터까지 성공한 케이스 주요 투자처: 레진코믹스, 집닥, 크라우드웍스, GSIL, 퍼밋, 고퀄(헤이홈) * [[http://www.kickstart.asia|킥스타트아시아]]: 어도비 킥스타트에서 유래된 초기 액셀러레이터. 영국 액셀러레이터 협력 프로그램을 주로 제공한다. 주요 투자처: 비트스톡스, 시티맵퍼스 등 * [[http://www.fast-track.asia|패스트트랙아시아]]: 컴퍼니빌더를 표상하는 액셀러레이터로 직접 자체 사업을 투자하고 육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투자처: 패스트파이브, 푸드플라이, 헬로네이처 등 * [[https://linkbricks.vc/|링크브릭스벤처스]]: 2021년에 머신러닝 기반 빅데이터 분석 기업 링크브릭스가 설립했으며, 2022년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공식 액셀러레이터 인가를 받았다. 반도체 및 데이터 플랫폼등 ICT 중심 액셀러레이터로 투자하고 육성하고 있다. 주요 투자처: 라이팩 등 * [[https://ynarcher.com/|와이앤아처]]: 서울,대구,광주,제주 등에서 스타트업 발굴 육성 투자를 하고 있는 국내 액셀러레이터로 문화예술 컨텐츠 스포츠 관광 등의 딜라이트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와 태국에 인력을 배치하여 해외 스타트업 육성 및 투자를 위한 전초기지를 마련하였으며 매년 에이스트림이라는 글로벌 컨퍼런스를 제주와 해외에서 개최하고 있음. 극초기 스타트업 투자를 중심으로 하고 있고 팁스/시트팁스/대구형팁스/서울형팁스 등을 운영함.서울/대구/제주/광주/전주/판교 등에 사무소 및 운영 육성지점을 두고 있음 주요투자처 : 휴런,이랑텍,글로랑,잇더컴퍼니,닥터케이헬스케어,달라라네트워크,브이에스팜텍, 인포마이닝,아프지마, 먹스킹 등 * [[https://theilab.kr/|더인벤션랩]]: 2014년 로아인벤션랩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해 누적 투자금액 260억 원, 25개 이상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엑셀러레이터. 극초기 단계의 Service & Tech [[플랫폼]] 스타트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초기투자기관으로 TIPS 운영사이다. 특화 프로그램으로 PoC 및 베트남 진출을 통한 시장검증 및 육성을 지원한다. OI(Open Innovation), DX(Digital Transformation)에 강점이 있다. 주요 투자처: 웨인힐스벤처스(Pre IPO), 코아칩스(Pre IPO), 펫닥, 얌테이블, 지구인컴퍼니, 자란다, 고투조이(베트남), 고미(베트남) == 둘러보기 == * [[스타트업]] [[분류:스타트업]] [[분류:업종별 기업]] [[분류:벤처캐피털]] == 기타 == -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에서는 공식적으로 활동하는 AC 리스트를 매년 공유하고 있다. 2023년 기준 등록된 AC는 439개. 벤처투자종합포털 및 엔젤투자지원센터에도 공식적으로 활동하는 AC, VC를 공유하고 있다. 창업을 해도 도움되는 기관 정보를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 이러한 창업 실무 정보를 [[https://bizbegin.me|스타트업커뮤니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공기관 정보가 많아 창업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