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AEAE8 '''앤 해서웨이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아카데미 여우조연상|{{{#e5d85c '''여우조연상'''}}}]] || || ''' 제84회 [br]([[2012년]])''' || {{{+1 → }}} || '''제85회[br]([[2013년]])''' || {{{+1 → }}} || '''[[제86회 아카데미 시상식|제86회]][br]([[2014년]])''' || || [[옥타비아 스펜서]][br]([[헬프(영화)|헬프]]) || {{{+1 → }}} || '''앤 헤서웨이[br]([[레미제라블(영화)|레미제라블]])''' || {{{+1 → }}} || [[루피타 뇽오]][br]([[노예 12년(영화)|노예 12년]]) || ||<-5>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여우조연상 - 영화'''}}} || || ''' 제69회 [br] ([[2012년]]) ''' || {{{+1 → }}} || ''' 제70회 [br] ([[2013년]]) ''' || {{{+1 → }}} || ''' 제71회 [br] ([[2014년]]) ''' || || [[옥타비아 스펜서]][br]([[헬프(영화)|헬프]]) || {{{+1 → }}} || '''앤 해서웨이[br]([[레미제라블(영화)|레미제라블]])''' || {{{+1 → }}} || [[제니퍼 로렌스]][br]([[아메리칸 허슬]]) || ||<-5> || ---- ||<-5>
{{{#e5d85c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 || ||<-5> [[파일:BAFTA 로고.svg|width=170]] || ||<-5> {{{#e5d85c ''' 여우조연상 ''' }}} || || ''' 제65회 [br] ([[2012년]]) ''' || {{{+1 → }}} || ''' 제66회 [br] ([[2013년]]) ''' || {{{+1 → }}} || ''' 제67회 [br] ([[2014년]]) ''' || || [[옥타비아 스펜서]][br]([[헬프(영화)|헬프]]) || {{{+1 → }}} || '''앤 해서웨이[br]([[레미제라블(영화)|레미제라블]]) ''' || {{{+1 → }}} || [[제니퍼 로렌스]][br]([[아메리칸 허슬]]) || ||<-5> || ---- ||<-5>
{{{+1 '''{{{#white 역대}}}''' [[미국배우조합상|[[파일:SAG-AFTRA_Logo.png|width=120]]]]}}} || ||<-5> [[파일:SAG Awards Logo.png|width=80]] || ||<-5> [[미국배우조합상/여우조연상|{{{#white '''영화부문 여우조연상'''}}}]] || || ''' 제18회[br]([[2012년]]) ''' || {{{+1 →}}} || ''' 제19회[br]([[2013년]]) ''' || {{{+1 →}}} || ''' 제20회[br]([[2014년]]) ''' || || [[옥타비아 스펜서]][br]([[헬프(영화)|헬프]]) || → || {{{#fff '''앤 해서웨이[br]([[레미제라블(영화)|{{{#fff 레미제라블}}}]])'''}}} || → || [[루피타 뇽오]][br]([[노예 12년(영화)|노예 12년]]) || ||<-5> || ---- ||<-5>
{{{#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 ||<-5>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width=70]] || ||<-5> {{{#e5d85c '''여우주연상(영화)'''}}} || || '''제13회[br]([[2008년]])''' || {{{+1 → }}} || '''제14회[br]([[2009년]])''' || {{{+1 → }}} || '''제15회[br]([[2010년]])''' || || [[줄리 크리스티]][br](어 웨이 프롬 허) || {{{+1 → }}} || {{{#eb4684 [[메릴 스트립]]}}}[br]{{{#eb4684 ([[다우트(영화)|{{{#eb4684 다우트}}}]])}}}[br]'''{{{#eb4684 앤 해서웨이}}}[br]{{{#eb4684 ([[레이첼, 결혼하다|{{{#eb4684 레이첼, 결혼하다}}}]])}}}''' || {{{+1 → }}} || [[메릴 스트립]][br]([[줄리 & 줄리아]])[br][[산드라 블록]][br]([[블라인드 사이드]]) || ||<-5> {{{#e5d85c '''여우조연상(영화)'''}}} || || '''제17회[br]([[2012년]])''' || {{{+1 → }}} || '''제18회[br]([[2013년]])''' || {{{+1 → }}} || '''제19회[br]([[2014년]])''' || || [[옥타비아 스펜서]][br]([[헬프(영화)|헬프]]) || {{{+1 → }}} || '''{{{#eb4684 앤 해서웨이}}}[br]{{{#eb4684 ([[레미제라블(영화)|{{{#eb4684 레미제라블}}}]])}}}''' || {{{+1 → }}} || [[루피타 뇽오]][br]([[노예 12년(영화)|노예 12년]]) || ||<-5>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앤 해서웨이,영어명=ANNE HATHAWAY,분야=영화,입성날짜=2019년 5월 9일,위치=6927)] }}} || ||<-2>
'''{{{+1 앤 해서웨이}}}[br]Anne Hathawa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7/Anne_Hathaway_at_the_2007_Deauville_American_Film_Festival-01A.jpg|width=100%]]}}} || || '''본명''' ||앤 재클린 해서웨이[br]Anne Jacqueline Hathaway || ||<|2> '''출생''' ||[[1982년]] [[11월 12일]] ([age(1982-11-12)]세) || ||[[뉴욕주]] [[뉴욕시]] [[브루클린]]||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73cm|| || '''직업''' ||[[배우]] || || '''데뷔''' ||1999년 [[FOX]] TV 드라마 《겟 리얼》 || || '''활동''' ||[[1999년]] - 현재 || || '''학력''' ||American Academy of Dramatic Arts {{{-2 (1993년)}}}[* 정식은 아니며 특별형식으로 입학한 것이며 당시 최연소 입학생이었다.][br]배로우 그룹 연극학교[br]Millburn High School {{{-2 (졸업) (1996년 - 2000년)}}}[br]바사 칼리지 {{{-2 ([[영문학]], [[정치학]] / 중퇴) (2000년 - 2002년)}}}[br][[뉴욕 대학교]] {{{-2 ([[영문학]], [[여성학]] / [[학사]])}}} || ||<|2> '''가족''' ||아버지 제랄드 토머스 해서웨이[br]어머니 케이트 맥콜리 해서웨이[br]오빠 마이클 해서웨이[br]남동생 토머스 해서웨이 || ||배우자 애덤 셜먼^^(2012 현재)^^[br]장남 조나단 로즈뱅크스 셜먼^^(2016년생)^^[br]차남 잭 셜먼^^(2019년생)^^ || || '''종교''' ||[[가톨릭]] → [[개신교]] {{{-2 ([[성공회]])}}}[* 꽤 독실한 가톨릭 집안이였지만 오빠가 게이임을 알게 된 가족이 오빠를 지지하기 위해 동성애 및 동성혼을 허가하고 죄로 보지 않는 성공회로 단체로 개종했다.] → 불명[* [[https://www.celebinvestigator.com/anne-hathaway/|#]], 이 외에도 현재 종교적 신념이 불분명하다는 출처가 많음.]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annehathawa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Hathawa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 활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앤_해서웨이_프린세스_다이어리.gif|width=100%]]}}} || 1999년 17세에 [[FOX]]사의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 《겟 리얼》에서 처음 배우 활동을 시작하였지만[* 여담으로 초창기 [[제시 아이젠버그]]도 나온다. 둘이 같이 데뷔했다.], 해서웨이가 처음으로 비중 있는 역할을 맡은 것은 디즈니의 가족 코미디 영화 《[[프린세스 다이어리]]》였다. 프린세스 다이어리를 통해 처음 이름을 알린 뒤 로맨틱 코미디 영화들에 출연하다 《[[브로크백 마운틴]]》에서 연기력을 인정받고,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영화)|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서 미란다([[메릴 스트립]] 분)의 비서 앤디 삭스로 출연, 영화의 흥행과 함께 널리 알려졌다. 출연한 작품이 로맨틱 코미디 계열이 많지만, 때로 너무 다작을 하는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역할 가리지 않고 다양한 역에 도전하여 호평 받아 연기폭은 아주 넓다. 2008년, [[조나단 드미]] 감독의 영화 《[[레이첼, 결혼하다]]》에서 주인공 킴을 맡아 열연했다.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 되었으며, 작중 킴이 약물중독인지라 담배를 피우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작품은 물론 앤의 연기까지 호평을 받아 여러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10년, [[팀 버튼]] 감독의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하얀 여왕 역으로 출연했다. 원래는 앨리스 역을 제안 받았으나 본인이 거절하고 하얀 여왕 역을 맡겠다고 제안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IhpC6Nr.jpg|width=100%]]}}} || 2012년에 개봉한 영화 《[[다크 나이트 라이즈]]》의 [[셀리나 카일(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셀리나 카일]] 역을 맡았다.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에는 자신의 《프린세스 다이어리》 시리즈의 공주 배역을 풍자하는 것과 같은 공주님 풍의 쇼 호스트 '페넬로피 공주'로 출연하여 [[광대 크러스티]]의 프로그램을 밀어버리고 밥그릇을 빼앗아 크러스티의 미움을 사게 되지만 갑자기 크러스티에게 열렬한 사랑을 [[고백]]하며 [[결혼]] 직전까지 가게 되는데...끝내 결혼과 이혼을 밥 먹듯이 해왔을 뿐더러 늙고 병든 크러스티가 스스로를 돌아보고는 페넬로피 공주를 위해서 결혼을 단념하여 크게 상심하고 만다.[* S21E10 - Once Upon a Time in Springfield] 이후에도 이 캐릭터는 간간히 《심슨 가족》에 모습을 비추는 편인데, 심슨풍 그림체에도 불구하고 연기자인 앤 해서웨이의 미모 보정을 받은 듯 갈색 긴머리에 매혹적인 이목구비로 그려지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lJXiB5i_q0)]}}} || 2012년, 《[[레미제라블(영화)|레 미제라블]]》에서 [[팡틴]]역을 맡아 역을 위해 11kg을 감량하고 [[삭발]]을 감행하는 투혼을 펼치며 대호평을 받았다. 그리고 이 팡틴역으로 2013년 골든글로브 코미디 및 뮤지컬 부분의 여우조연상과 [[아카데미 시상식|아카데미]] 여우조연상 및 18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을 비롯해 제 19회 미국 배우 조합상, 제 33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 제 66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등 다수의 시상식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레미제라블(영화)|레 미제라블]]>이라는 대작이 갖고 있는 문학성, 팡틴이라는 어려운 인물을 깊이 있게 표현해냈다. 특히 [[레 미제라블(뮤지컬)/뮤지컬 넘버|I dreamed a dream]]을 부르는 부분에서는 젊은 시절 그녀가 보여줄 수 있는 가장 강렬한 장면을 보여줬다고 볼 수 있을 정도다. 사실 팡틴이라는 인물이 젊은 날 즐겁게 살다가 사생아를 임신하면서부터 인생이 심각하게 어그러진 인물로, 이런 인생은 흔하게 접할 수 없기 때문에 여간한 내공의 배우도 팡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어렵다. 작품의 제목부터가 miserable한 인간들인데, 팡틴은 [[코제트|사생아]] 때문에 창녀가 되는, 개중에서도 가장 miserable한 인물이다. 앤 헤서웨이는 을 부르는 장면에서 세상 다 산 사람 마냥 창녀가 된 팡틴의 비참한 운명을 처연하고 우아하게 표현해냈다. 팡틴의 비중이 생각보다 적은데도 아카데미를 받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2018년, 출산 이후 복귀작으로 영화 《[[오션스8]]》을 선택했다. 첫 복귀작을 성공적으로 해냄으로서 의미가 깊다고 하며, 함께 출연한 모든 배우가 절친한 사이가 되었다고 한다. 인터뷰에서 동료 배우들 성대모사를 멋지게 해내기도 했다. [[https://youtu.be/RjOD3l2PwGc|영상]] 2020년 10월, 절친인 [[제시카 차스테인]]과 함께 바바라 아벨의 소설 'Derrière la Haine'을 원작으로 하는 심리스릴러 영화 《Mothers Instinct》에 출연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있었다. [[https://variety.com/2020/film/news/jessica-chastain-anne-hathaway-mothers-instinct-1234818856/|#]] 두 사람은 절친이자 이웃으로 나오며 1960년대를 배경으로 비극적인 사고가 일어나며 완벽했던 두 사람의 삶이 파괴되는 것을 그린다고 한다. 2021년 6월 21일,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서 제작하는 영화 《The Idea Of You》에 출연이 확정되었다. 동명의 로빈 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 자세한 배역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주인공인 소피를 맡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22년 2월, 영화 《Eileen》의 촬영이 종료되었다. [[토마신 맥켄지]]와 함께 주연을 맡았으며, 오테사 모쉐페그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는 스릴러 영화이다. 2022년 가을을 목표로 제작 중이다. [[https://i-d.vice.com/en_uk/article/7k8ppg/ottessa-moshfegh-interview|#]] 2022년 3월, [[자레드 레토]]와 함께 주연을 맡은 드라마 《[[우린폭망했다]]》가 [[Apple TV+]]에서 공개되었다. 공유 오피스 업체 [[WeWork]]을 창립한 애덤 뉴먼의 아내 레베카 뉴먼 역을 맡았으며 앤의 첫 드라마 출연작이다.[* 참고로 레베카 뉴먼은 배우 [[기네스 팰트로]]와 사촌 관계이다.] 2022년 5월, [[제시카 차스테인]]과 함께하는 영화 《Mothers Instinct》의 촬영이 [[뉴저지]]에서 시작되었다. [[https://www.marieclaire.com.au/mothers-instinct-release-date|#]] 영화의 시간적 배경이 1960년대이기 때문에 화려한 의상과 분장을 한 모습이 포착되었다. 2023년 개봉을 목표로 제작 중이다. == 연기력 == 앤 해서웨이는 양식적인 연기스타일을 가진 퍼모먼스형 연기자다. 자신이 연기하는 캐릭터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행동, 표정, 몸짓으로 보여주려하는 경향이 있으며, 어느 정도 정해진 틀에서 어조의 변화나 목소리 연기 또한 극단적으로 격양되게 표현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오버 액팅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나, 감정적인 면이 강하고 내면이 상처받은 우울한 캐릭터를 연기할 때는 시너지를 내서 평이 좋다. 이런 특징을 가진 <[[레이첼, 결혼하다]]>, <[[레미제라블(영화)|레미제라블]]> 같은 작품들의 배역에서 호평받았다. [[제니퍼 로렌스]]와 비슷한 스타일이며, 또는 여자판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라고 볼 수 있는 부분. 연기보다는 이미지와 스타성과 관련된 부분이지만, 앤 해서웨이는 열정 있는 커리어 우먼 이미지가 강하며, 그런 배역을 자주 맡는다.[*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영화)|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인턴(영화)|인턴]], 록트 다운 등] 물론 이런 캐릭터를 잘 소화하는 것도 있지만, 이런 배역 위주로 캐스팅 되는 경향이 짙은 편. 또한 팜므파탈 배역도 자주 맡는다.[* [[겟 스마트]], [[다크 나이트 라이즈]], 더 허슬, 세레니티 등] 주로 커리어 우먼과 팜므파탈 이미지가 강한데, 사실 가정적인 어머니, 멜로 영화 여주인공 등의 배역도 잘 소화하는 등 이미지 고착화 문제가 있을 뿐 해서웨이 본인의 연기폭이 좁지는 않다. 다만 억양에서는 비판점이 있다. <비커밍 제인>, <[[원 데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영국인을 연기하는 관계로 영국 엑센트를 썼는데, 이 발음이 시대적, 억양적으로 부자연스러워서, 부모가 한쪽은 영국인이고 한쪽은 미국인인데 이혼 후 서로 다른 시대의 가정들에 왔다갔다하며 자란것같다는 평이 있을정도였다. 앨리스 이후로는 <레미제라블>을 빼면 미국인 역만 맡고 있으며, 레미제라블은 프랑스인에다가 전부 영어로 번역해서 말하는 뮤지컬 영화라 엑센트를 쓸 필요가 없다. 시간이 흘러 <[[거울 나라의 앨리스(영화)|거울 나라의 앨리스]]>, <더 허슬>에서 영국인 엑센트를 사용했으나, 이전보다 훨씬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 출연작 == === 영화 === ||
'''연도''' || '''제목''' || '''감독''' || '''배역''' || ||<|2> 2001 || 천국의 맞은편 || 미치 데이비스 || 진 새빈 || || '''[[프린세스 다이어리]]''' || 게리 마샬 || '''미아 서모폴리스''' || || 2002 || 니콜라스 니클비 || 더글라스 맥글러스 || 마들린 브레이 || ||<|2> 2004 || '''[[프린세스 다이어리 2]]''' || 게리 마샬 || 미아 미니어넷 터마폴리스 || || 엘라 인챈티드 || 토미 오하버 || 엘라 || ||<|3> 2005 || 하복 || 바바라 코플 || 앨리슨 랭 || || [[브로크백 마운틴#s-3]] || [[이안(영화 감독)|이안]] || 루린 트위스트 || || [[빨간 모자의 진실 시리즈|빨간모자의 진실]][*애니메이션] || 코리 에드워즈 || 빨간 모자 || || 2006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영화)|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 데이비드 프랭클 || '''앤드리아 삭스''' || || 2007 || [[제인 오스틴#s-14.1|비커밍 제인]] || 줄리안 제롤드 || [[제인 오스틴]] || ||<|3> 2008 || [[겟 스마트]] || 피터 시걸 || 에이전트 99 || || [[패신저스(2008)|패신저스]] || 로드리고 가르시아 || 클레어 서머스 || || [[레이첼, 결혼하다]] || [[조나단 드미]] || 킴 || || 2009 || [[신부들의 전쟁]] || 게리 위닉 || 엠마 알렌 || ||<|3> 2010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팀 버튼]] || 하얀 여왕 || || [[발렌타인 데이(영화)|발렌타인 데이]] || 게리 마샬 || 리즈 커란 || || [[러브 & 드럭스]] || [[에드워드 즈윅]] || 매기 머독 || ||<|2> 2011 || [[원 데이(영화)|원 데이]] || 론 셰르피 || 엠마 몰리 || || [[리오(애니메이션)|리오]][*애니메이션] || 카를로스 샐다나 || 쥬엘 || ||<|2> 2012 || '''[[다크 나이트 라이즈]]''' || [[크리스토퍼 놀란]] || '''[[셀리나 카일(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셀리나 카일]]''' || || '''[[레미제라블(영화)|레 미제라블]]''' || [[톰 후퍼]] || '''[[팡틴]]''' || ||<|3> 2014 || 송 원[*제작 제작 참여] || 케이트 베커 플로이랜드 || 프래니 || || '''[[인터스텔라]]''' || [[크리스토퍼 놀란]] || '''[[인터스텔라/등장인물#s-2.2|아멜리아 브랜드]]''' || || [[리오 2]][*애니메이션] || 카를로스 샐다나 || 쥬엘 || || 2015 || '''[[인턴(영화)|인턴]]''' || 낸시 마이어스 || '''줄스 오스틴''' || || 2016 || [[거울 나라의 앨리스(영화)|거울 나라의 앨리스]] || [[제임스 보빈]] || 하얀 여왕 || || 2017 || [[콜로설]] || [[나초 비가론도]] || 글로리아 || || 2018 || [[오션스 8]] || 게리 로스 || 다프네 클루거 || ||<|3> 2019 || 세레니티 || 스티븐 나이트 || 카렌 자리아카스 || || 더 허슬 || 크리스 에디슨 || 조세핀 채스터필드 || || [[다크 워터스]] || [[토드 헤인즈]] || 사라 || ||<|2> 2020 || 마지막 게임[* 넷플릭스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 디 리스 || 앨레나 맥마흔 || || [[마녀를 잡아라]][*HBO [[HBO Max]] 오리지널 영화] || [[로버트 저메키스]] || 마녀 여왕 || || 2021 || 록트 다운[*HBO] || [[더그 라이먼]] || 린다 || || 2022 || [[아마겟돈 타임]] || [[제임스 그레이]] || 에스더 그래프 || || 2023 || 아일린 || 윌리엄 올드로이드 || 레베카 || ||<|3> 미정 || 쉬 케임 투 미 || 레베카 밀러 || || || Mothers Instinct || 브누아 델옴므 || || || 마더 메리 || || || === 드라마 === ||
'''연도''' || '''제목''' || '''배역''' || || 2022 || [[우린폭망했다]] || 레베카 뉴먼 || == 수상 ==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 2002 ||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 최고의 캐스팅 || 니콜라스 니클비 || ||<|4> 2008 || 오스틴 영화 비평가 협회상 ||<|4> 여우주연상 ||<|7> [[레이첼, 결혼하다]] || ||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 시카고 비평가 협회상 || || 댈러스 포트워스 비평가 협회상 || ||<|4> 2009 || 여성 영화 기자 협회상 || 앙상블상 || || 전미 비평가 협회상 || 여우주연상 || || 팜 스프링스 국제영화제 || Desert Palm Achievement Award || || 틴 초이스 어워즈 || 코미디 부문 여자배우상 || [[신부들의 전쟁]] || ||<|2> 2010 || [[에미상]] || 최고의 성우상 || [[심슨가족]] || || 새틀라이트 어워즈 || 영화부문 여우주연상 || [[러브 & 드럭스]] || ||<|6> 2012 ||<|2> 워싱턴 D.C. 비평가 협회상 || 여우조연상 ||<|14> [[레미제라블(영화)|레미제라블]] || || 앙상블상 || || 여성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여자배우상 || ||<|2> 새틀라이트 어워즈 || 앙상블상 || || 영화부문 여우조연상 || || 오스틴 영화 비평가 협회상 ||<|6> 여우조연상 || ||<|10> 2013 || [[아카데미상]] || || [[BAFTA]] || || [[골든 글로브]] || || [[미국배우조합상]] || ||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2> 여성 영화 기자 협회상 || Unforgettable Moment[* [[제시카 차스테인]]과 공동수상] || || 여우조연상 || || 도리안 어워즈 || 영화부문 올해의 여자배우상 || || [[새턴상]] || 여우조연상 ||<|2> [[다크 나이트 라이즈]] || || 틴 초이스 어워즈 || 액션 부문 여자배우상 || == 사생활 == 1982년 11월 12일에 뉴욕의 브루클린에서 2남 1녀중 둘째로 태어났다. 아버지 제랄드 토머스 해서웨이는 변호사이고[* 영국, 독일, 프랑스, 아일랜드인의 혈통이다.] 어머니 케이트 맥콜리 해서웨이는 배우이다.[* 아일랜드계 미국인이다.] 형제들로는 오빠 마이클과 남동생 토머스가 있다. 어릴 적 꿈은 [[수녀]]였으나 오빠 마이클이 [[게이]]인 탓에 [[동성애]]를 인정하지 않는 [[가톨릭]]에 귀의하는 대신 배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고 한다. 2004년부터 [[이탈리아]]의 사업가 라파엘로 폴리에리와 4년간 사귀었으나, 폴리에리가 사기 혐의로 체포되고 수백만 달러의 투자 음모에 가담한 죄로 4년 6개월형을 선고받아 결국 2008년에 헤어지게 되었다.[* 헤어지는 과정에서 여러 일들이 있었다. 폴리에리의 측근이 해서웨이가 FBI에 폴리에리를 넘겼다고 주장하기도 했고, FBI가 압수한 폴리에리의 컴퓨터 파일에 해서웨이의 누드가 있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왔다. 거기에 폴리에리가 사귀던 시절 해서웨이에게 선물했던 2만 5000달러 상당의 롤렉스 시계를 비롯한 여러 귀금속들도 압수당했다.] 폴리에리와 헤어지고 같은 해에 애덤 셜먼과 교제하게 되어[* 미국의 배우이자 보석 디자이너다. 셜먼이 체포된 옛 남친 폴리에리 때문에 힘들어하는 해서웨이를 많이 위로해주었다고.] 2011년에 약혼 발표를 했고, 2012년 9월에 비공개로 결혼식을 치렀다. 2016년 3월 득남했다. 2018년에 아들 조나단 로즈뱅크스 셜먼을 공개했다.[[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1805101127542331556_1|#]] 2019년 7월 인스타그램에 둘째를 임신했다는 사실을 공개했고, 같은 해 11월 출산했다. 아들이며 이름은 잭 셜먼이다. == 여담 == * 한국에서는 [[은영선]]이 주로 더빙한다. 일본에서는 [[코마츠 유카]]가 주로 더빙하며, [[소노자키 미에]]가 맡는 경우도 있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아내와 [[동명이인]]이다. * [[유당불내증]]이 있고 한때 [[골초]]였다. 지금은 담배를 끊은 상태라고 한다. * 비커밍 제인에서 [[제임스 맥어보이]]와 출연 당시 그에 대해 처음에는 잘 몰랐지만 그의 영화들을 훑어보고 연기를 너무나 잘 한다는 사실을 알고 상대역으로서 부담이 되어 [[https://www.youtube.com/watch?v=nPLGVHIbjuM|일주일이나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서 같이 연기했던 [[메릴 스트립]]과 [[프린세스 다이어리]]에 출연한 [[줄리 앤드류스]]를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이며 롤모델로 꼽고 있다. 또한 같이 연기하며 [[에밀리 블런트]]와 매우 친해졌는데 계기가 서로 다이어트가 너무 힘들다며 같이 껴안고 울었다고 한다. * 2009년 [[아카데미 시상식]]의 진행을 맡은 [[휴 잭맨]]이 앤 해서웨이를 은근슬쩍 오프닝에 [[https://www.youtube.com/watch?v=Terhj8mjPwY|엮었다]]. * 2011년에는 [[제임스 프랭코]]와 아카데미 시상식을 진행했는데 평은 [[아 망했어요]]. 둘의 진행은 '''엄청난 혹평'''을 받았다. 그래도 어떤 팬들은 그나마 프랭코 때문에 망할 수 있었던 시상식을 해서웨이가 겨우 살려냈다고한다. 또 언론도 프랭코를 집중해서 깠으니 뭐 신빙성이 있는 것 같다. [[https://www.theguardian.com/film/2011/feb/28/oscars-hosts-james-franco-anne-hathaway|#]][[http://www.hollywoodreporter.com/news/oscar-reviews-what-critics-thought-162253|#]][[http://www.indiewire.com/2015/02/5-terrible-oscar-hosts-and-their-worst-jokes-64847|#]] * 2011년 영화 [[밀레니엄 :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2011)|밀레니엄 :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의 등장인물 [[리스베트 살란데르]] 역에 거론되었던 여배우들 중 하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gedk_f-vr8)]}}} || * 골든글로브 시상식의 뒤풀이 파티에서 [[대니얼 크레이그]]와 욕배틀 [[병림픽]]을 벌인 적이 있다. 크레이그와 서로 [[뻐큐]]를 날렸는데 알고 보니 크레이그가 '''해서웨이 옆에 있는 다른 사람'''[* 《빌리엘리어트》, 《디아워스》, 《더 리더》의 감독인 [[스티븐 달드리]]]에게 날리는 것이었다고 한다. * 2019년 남편 애덤 셜먼과 [[인터스텔라]]와 [[세레니티]]에 같이 출연했던 [[매튜 매커너히]]와 연기하면서 친해져 생일 파티에 초대 받았다고 한다. 일요일이라 차가 거리에 별로 없어 오랜만에 시간 맞춰 약속장소에 도착할 거라고 생각하고 매커너히의 집에 도착했고, 매커니히는 와인병과 풍선, 선물을 들고 서있는 해서웨이 커플을 반갑게 맞이했다고 한다. 와인 병을 따고 같이 건배하는 도중 와줘서 고마워요, 그런데 생일 어제였어요.라고 해 해서웨이가 당황했다고. 전날 파티의 여파로 여전히 잠옷차림이던 매커너히는 이에 전혀 개의치 않았고 밤새 즐겁게 퍼마셨다고 한다. [[https://www.cheatsheet.com/entertainment/the-ellen-degeneres-show-matthew-mcconaughey-called-out-anne-hathaway-for-coming-to-his-birthday-party-a-day-late.html/|#]] * 2013년에 [[로보포칼립스]]에서 출연 제의가 갔다. * 이런 [[명언/결혼|결혼 관련 명언]]을 한 적이 있다. >이것을 보면 신은 사디스트인 것을 알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_hYCA-BxVw)]}}} || *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A.H.C의 모델로 발탁되었다. [[http://stylem.mt.co.kr/stylemView.php?no=2017013113291316139&type=1|앤 해서웨이, A.H.C 브랜드 모델 발탁화보 속 '매력 폭발']]. 광고촬영 때문에 내한 당시 한국의 소아암 어린이들을 위해 암병동을 방문하고 기금을 기부한 것이 뒤늦게 알려졌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625224|#]] * 2020년, 네덜란드의 Sluis painting에서 페이스 맵핑 기술을 통해 여성 부문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얼굴로 선정한 바 있다. 기준은 이목구비의 비율 조화라고 한다. * 독특한 [[컵케이크]] 먹는 방식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컵케이크를 위아래로 잡아당겨 반으로 가른 뒤, 윗부분을 뒤집어 토핑 부분이 빵 사이로 샌드되게 하는 것. 이렇게 하면 코에 [[크림]]을 묻히지 않고 먹을 수 있다고. 여담이지만 이게 한창 진행 중인 [[파티]]를 잠시 멈출 정도로 주변인들에게는 충격적이었다고 한다. === 가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OdYRiDbWDg)]}}} || [[레 미제라블]] 영화판에 팡틴 역으로 캐스팅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노래 실력이 좋은 편이다. 이외에도 립싱크로 [[마일리 사이러스]]의 Wrecking Ball을 공연한 적이 있는데 상당한 싱크로율을 자랑하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https://youtu.be/tjqxq1HTkB0|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nzrbywIpWQ)]}}} || 랩 실력도 상당한 편이다. [[코난 오브라이언|코난쇼]]에 출연해서 [[파파라치]]에게 감시당하는 기분을 재치있게 랩으로 표현했는데 본인말로는 [[릴 웨인]] 스타일이라고. 전문래퍼 저리가라 할 정도로 재치와 재능이 있다. 특히 가사를 들어보면 상당히 직설적으로 말하고 있다. 많은 이들이 [[나탈리 포트먼]]과 랩배틀 붙으면 되겠다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SNL]]에서 걸쭉한 욕설이 범벅된 정통 갱스터 랩을 선보였었다.][* 여담이지만 SNL에서 [[홈랜드]]에 나온 클레어 데인즈의 우는 연기를 패러디한 적 있다. 단, 딱히 잘 표현하진 못했다. 구글에서 'claire danes crying face' 검색하면 줄줄이 나온다. 마음의 준비하고 찾아보길.] 한마디로 [[힙합 음악|힙합]]과 개그를 사랑하고 일상을 코미디 영화처럼 살고 있는 명랑한 성격이다. === 안티 === 2013년 스타매거진이 발표한 [[미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스타 9위에 랭크되었다. 순위 발표 이전에도 해서웨이의 안티들에 대한 이야기는 계속적으로 나오고 있기는 했다. 얼마나 심한지 미국내에서는 해서헤이터(Hatha-hater)라는 해서웨이의 안티들을 가리키는 신조어까지 나왔고, 그녀의 안티들에 대한 기사까지 등장했을 정도다. 그러니까, 앤 해서웨이 이미지가 미국에서 상당히 비호감이었던 것은 팩트다. 대표적인 이유로는 "가식적이다", "착한 척 한다", "나댄다", "너무 잘난 척(올바른 척) 한다", "[[노출증]]이 있는 것 같다", "자신을 낮추는 척을 하면서 남을 깐다" 등의 이유가 있다. 가식적인 것이 미국에서 특히 싫어하는 인간상이기 때문이 큰데[* 이는 미국만의 특이한 현상이 아니다. 한국에서 예능에서 비호감으로 비춰졌다는 이유로 안티가 극심했던 연예인들이 얼마나 많았는지 생각해보면 된다.], 관련 일화들의 말투 등의 뉘앙스를 외국인이 파악하기도 어렵고, 연예인이 모범적인 것을 좋게 여기는 한국인으로서는 더욱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다. 그녀가 2013 여우주연상을 받은 골든 글로브 어워드에서 가슴 모양이 도드라진 드레스(일명 니플 드레스)를 입은 때가 비난의 절정이었는데, 이후 이 논란에 대해 아만다 사이프리드가 자신과 똑같은 드레스를 입어서 자신이 바꿔입어야 했다고 해명한 발언도 한몫했다. 자신에 관한 논란을 자신의 동료들이 저지른 잘못을 자신이 대신 수습하다가 어쩔 수 없이 생긴 것이라는 뉘앙스로 해명을 했다고 욕먹었다. 하지만 이 역시도 아만다가 직접 해명에 나섰다. 2015년 [[인턴(영화)|인턴]] 개봉 후에는 한 식당에서 계란 프라이의 상태가 마음에 안 들어서 세번, 거기다가 마지막으로는 갑자기 삶은 달걀이 먹고 싶다면서 주문을 네 번이나 물리는 기행을 선보였다고 하여 욕을 먹었지만 루머로 밝혀졌다. 반려견 유기 등도 루머이다.(이것은 한국에서만 불거진 루머다) 모든 안티가 증가한 셀럽들이 그렇듯, 사실 까일 것도 아닌데 까이거나 거짓 사실로 까이는 것도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안티가 많은 배우라는 것도 옛말이 됐다. 이제는 유튜브에 올라오는 앤 해서웨이가 출연한 토크쇼 영상 등에도 "왜 앤을 싫어하는 사람이 많았던 건지 모르겠어" 식의 댓글이 주로 달린다. [[분류:뉴욕 대학교 출신]][[분류:미국 여배우]][[분류:미국의 영화 배우]][[분류:1982년 출생]][[분류:브루클린 출신 인물]][[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1999년 데뷔]][[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프랑스계 미국인]][[분류: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