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앱 스토어)] [목차] == 개요 == 사실 좀 이해불가한 스토어들인데 이 스토어는 특정 제조사의 기기를 쓰지 않으면 이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삼성 갤럭시 기기를 쓰던 시절에 삼성 앱스에서 유료 앱을 여럿 질렀다가 LG 폰으로 바꾸면 그동안 구입한 앱들은 못쓰는 것이다. 사용시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제조사 차원에서 타 제조사 디바이스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풀어버리는 경우도 많다. == 목록 == === 한국 === ==== [[LG전자|LG]] 스마트월드[* 구 LG App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SmartWorld)] ==== 팬택 AppsPlay[* 구 앱라이크] ==== [[파일:external/file.bodnara.co.kr/logo7.html?image=%2Fhttp%3A%2F%2Ffile.bodnara.co.kr%2Fwebedit%2Fhardward%2Fsmartphone%2Fpantech_vega_r3%2Fmarket_vega.jpg]] [[팬택]]의 제품군(베가 시리즈)에서만 사용 가능했으나 2015년 서비스 종료되었다. ==== 삼성전자 ==== ===== [[Galaxy Store]](구 Galaxy App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alaxy Store)] ===== [[삼성 KNOX|삼성 Knox]] Apps ===== [[파일:external/media02.hongkiat.com/knox-app-store-2.jpg]] 삼성전자의 보안 솔루션인 Knox에 탑재되는 앱 스토어. 이는 보안성이 의심되는 난잡한 애플리케이션을 걸러내기 위해 애플의 앱스토어처럼 삼성전자가 직접 Knox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선별한다고 한다. 초기에는 약 80여개의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거래가 이루어졌다. 이후, Knox 2.0를 런칭하면서 전용 클라우드 기반 앱스토어인 'Knox 마켓 플레이스'를 론칭했다. 이로 인해 Knox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대폭 증가하게 되었다고 한다. 결제 시스템 역시 외부와 분리되어 있어서 Knox 내부에서 사용할 것들만 결제를 해주면 된다고 한다. 그리고 Knox Apps는 중국판이라도 삼성이 직접 경영한다. 삼성전자의 중국 내 파트너인 시나가 운영 주체인 형태의 갤럭시 앱스와는 다르게 보안 솔루션 관리는 삼성이 직접 검수. 운영하기 때문. 중국정부에서도 업무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만을 올리는 구조상 중국 정부과 그 관련 부서들, 중국 공기업, 중국 공산당 및 각 지방 관공서의 모바일 전자정부업무에 사용하기 위한 수천만대의 단말기 납품을 전제조건으로 예외적으로 [[삼성전자]]에게 특별 라이센스를 허가해서 직접 경영을 승인했다. 굉장히 까다롭게 선별하기 때문에 앱이 얼마 없는게 특징(...). 그리고 녹스 단계가 세분화 되면서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최하 단계인 보안폴더와는 다르게 중소기업을 타켓으로 한 익스프레스부터 프리미엄.워크스페이스까지 세분화되면서 익스프레스부터 내장되어 있다. === 중국 === 중국 제조사의 경우에는 중국 내부에서만 서비스 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 내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정식 발매품의 경우에는 중국 정부의 규제로 구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는 구조라 기기의 제조사들이 직접 경영하는 앱 스토어를 단말기에 내장하기 때문이다. ==== [[화웨이]] [[AppGallery|Huawei App Gallery(华为应用商店)]]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ppGallery)] 중국 내에서만 서비스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는 '앱갤러리'라는 이름으로 운영한다. [[http://a.vmall.com/|#]] ==== [[샤오미]] 샤오미 Get Apps (小米应用商店) ==== [[파일:external/img.yxzoo.com/1-140616205J0.jpg]] 중국 샤오미 독자 앱 마켓이다. [[http://m.app.mi.com/|공식 사이트 주소]] ==== [[ZTE]] ZTE Apps(中兴应用商店) ==== || [[파일:external/f720e27bb381b542401c217a85cafda71dd6afe4b9dfa4eb4bbe1c1bb72c06aa.jpg|width=100%]] || [[파일:external/c9d63787b7e7bf5dd2f247260a045f7e4c0758a3d7c3d869027bdeb9a5356652.jpg|width=100%]] || [[http://apps.ztems.com/|공식 사이트]] [[ZTE]]에서 경영하는 앱 스토어. 구글 플레이 대신 중국 내에서 출시하는 ZTE의 중국 내수용 스마트폰에 기본 내장이 되며, 중국 외 국가에서는 서비스 되지 않았으나 점차 타 ZTE 스마트폰에서도 지원하기 시작하더니 다른 제조사의 스마트폰에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물론 애플리케이션을 별도로 다운로드를 받아야 한다.] 회원 가입 제도를 폐지하고 전 세계 모든 디바이스 제조사 스마트폰들을 상대로 서비스 하고 있다. 물론 기본적으로 중국어로 설정되어 있으나 영어도 지원하며 타 언어도 지원한다. ==== [[레노버]] 레노버 LE Store ==== [[파일:external/image.cetizen.com/130201_510a903c5daf9.jpg]] [[파일:external/image.cetizen.com/130201_510a90ad0f778.jpg]] 레노버의 독자 마켓. 중국 내부용 마켓이다. 원래는 미국에서도 서비스를 했었으나 2012년 경에 미국에서는 문을 닫았다. 중국 내수용 단말기에 들어가는 것도 망했으나 중국 내수용 한정으로만 레노버 LE Store라는 이름으로 다시 운영한다.[[http://app.lenovo.com|#]] ==== OPPO OPPO应用商店 ==== [[https://www.google.co.kr/search?biw=1185&bih=751&tbm=isch&sa=1&ei=jrxrW5SHFsj6-QaBlZOYCQ&q=oppo%E5%BA%94%E7%94%A8%E5%95%86%E5%BA%97&oq=oppo%E5%BA%94%E7%94%A8%E5%95%86%E5%BA%97&gs_l=img.3...50682.53344.0.53960.11.9.2.0.0.0.174.841.8j1.9.0....0...1c.1j4.64.img..0.2.103...0i24k1.0.OF82-GLLuUw#imgrc=8XqqEdbGMlO-_M:&spf=1533787333252|#]] [[OPPO]]의 독자 앱 스토어로 중국 내부에서만 서비스 한다. ==== 쿨패드 Coolpad Store(酷派应用商店) ==== [[파일:external/img.xiazaizhijia.com/f5de830ec171647d52b09b9596954da9.png]] 쿨패드의 독자 앱 스토어로 중국 내부에서만 서비스 한다. [[http://www.coolmart.net.cn/]] - 공식 사이트 ==== 메이쥬 메이쥬 应用商店 ==== [[http://www.qiruiwangluo.com/images/image/2017071013450290290.png|#]] 메이쥬 독자 앱 스토어로 중국 내부에서만 서비스 한다. ==== Vivo Vivo应用商店 ==== * [[https://info.appstore.vivo.com.cn/detail/51699?from=singlemessage&source=2|#]] Vivo 독자 앱 스토어로 중국 내부에서만 서비스 한다. ==== Realme Realme Store ==== 리얼미의 독자 앱 스토어로 중국 내부에서만 서비스 했었으나 글로벌 버전은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대만 === ==== [[HTC]] HTC Enterprise App Store ==== [[파일:external/ncc.phinf.naver.net/004.jpg]] [[HTC]]가 운영하는 안드로이드 마켓이며 디자인이 진저브레드 시절 구버전의 구글 플레이와 유사하다. 현재는 서비스 종료. 이전에는 Htc Market place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했었으나 HTC Enterprise App Store로 바뀌었다. === 일본 === ==== [[샤프전자]] SH SHOW ==== [[파일:external/galapagossquare.com/shshow_thumb_1.jpg]] 샤프전자가 운영중인 앱 스토어로 일본 내부에서만 서비스 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샤프전자 단말기에서만 적용되는 앱들과 그렇지 않은 앱들이 있다. 다운로드는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pp Store, version=209)] [[분류:앱 스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