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폴란드 국왕)] ||<-2> '''폴란드 왕국 앙주 왕조 국왕[br]{{{+1 야드비가}}}[br]Jadwig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야드비가그림.jpg|width=100%]]}}} || || '''출생''' ||1373년 10월 3일 ~ 1374년 2월 18일[br][[헝가리 왕국]] [[부다페스트|부더]] || || '''사망''' ||[[1399년]] [[7월 17일]] (25세)[br][[폴란드 왕국]] [[크라쿠프]] || ||<|2> '''재위''' ||<#E7E7E7,#424242>[[폴란드 왕국]]의 왕|| ||[[1384년]] [[10월 16일]] ~ [[1399년]] [[7월 17일]] || || '''배우자''' ||[[브와디스와프 2세]] ,,(1386년 결혼),, || || '''자녀''' ||엘주비에타 || || '''아버지''' ||[[러요시 1세]] || || '''어머니''' ||[[보스니아 왕국|보스니아]]의 엘리자베타 || || '''자매''' ||커털린, [[마리어(헝가리)|마리어]] ||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헝가리어]]: Hedvig(헤드비그) [[폴란드어]]: Jadwiga(야드비가) [[리투아니아어]]: Jadvyga(야드비가) 14세기 [[폴란드 왕국]]의 여왕.[* 여성형 칭호인 'Regina([[여왕]])'이 아닌 남성형인 'Rex(왕)'으로 대관했다. 폴란드 법에 여왕이라는 직책을 규정하고 있지 않고 있었는데 왕이 남성이어야 하는 규정은 없었고 유럽권에선 왕비와 여왕은 모두 Queen으로 표기하기에 왜인지 모르게 Queen으로 표기하면 주권 군주가 아닌 군주의 배우자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물론 군주가 본인임을 뜻하는 Regnant를 표기하면 상관없긴 하나 그래도 공주나 왕자비를 뜻하는 Princess가 아닌 소국의 여성 군주는 Princess가 아닌 Prince로 번역하는데 이와 같은 이치.] 결혼을 통해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동군연합]]으로 만들었다. == 생애 == [[헝가리 왕국]] 앙주 왕조[* [[프랑스 왕국]] [[카페 왕조]]의 방계로, [[앙주 제국]]으로 알려진 샤토됭계 앙주 가문과는 이름이 같을 뿐 관련이 없다.]의 국왕 [[러요시 1세]]의 딸이며, 폴란드 [[피아스트 왕조]]의 마지막 국왕 [[카지미에시 3세]]의 조카[* 러요시 1세의 어머니이자 야드비가에게는 할머니가 되는 폴란드의 엘즈비에타가 카지미에시 3세의 여동생이었다.] 자격으로 폴란드 왕위를 물려받았던 부왕의 뒤를 이어 9살에 폴란드 왕위를 물려받았다.[* 헝가리는 야드비가의 언니인 [[마리어(헝가리)|마리어]]가 물려받았고 마리어 사후 남편인 [[룩셈부르크 가문]]의 [[지기스문트]]가 물려받았다.] 야드비가가 즉위했을 무렵 폴란드는 [[튜튼 기사단]]이 세운 [[독일 기사단국]]과 대립하고 있었는데 귀족들은 야드비가의 배우자를 찾던 중 마찬가지로 기사단국과 대립하던 국가인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주목했다. 이 때 야드비가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공작 빌헬름과 약혼한 상태였으나 폴란드 측에서는 약혼을 파기한 후[* 이 때 빌헬름은 분노하여 폴란드로 쳐들어왔으나 소득 없이 돌아갔다.] 리투아니아 대공 [[요가일라]]에게 야드비가와의 결혼을 제의하며 1385년에 크레보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제시했다. * 요가일라와 리투아니아인들이 모두 [[발트 신화]] 종교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할 것. * 리투아니아를 폴란드에 병합할 것. * 요가일라는 야드비가와 함께 폴란드의 공동 통치자가 된다. 세 번째 조건을 제외하고 모두 리투아니아와 요가일라에게 무리한 조건이었지만, 요가일라는 폴란드에서 요구한 조건을 모두 받아들였고(크레보 조약) 가톨릭 세례를 받은 뒤 [[브와디스와프 2세]]라는 새 이름을 받고 야드비가와 결혼했다. 이 때 요가일라의 나이는 35세[* 요가일라의 출생년도에 대해서는 [[1352년]]생이라는 설과 [[1362년]]생이라는 설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35세는 [[1352년]]생 설을 기준으로 한 나이다.]였고 야드비가는 13세였다. 크레보 조약에서 첫 번째 조건과 세 번째 조건은 빨리 지켜졌으나 두 번째 조건은 리투아니아 독립파를 이끌던 요가일라의 사촌 [[비타우타스]]가 만만찮은 세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곧바로 지켜지지 않았고 야드비가, 요가일라, 비타우타스가 모두 죽고 [[야기에우워 왕조]][* 요가일라를 폴란드어로 읽으면 야기에우워이다.]가 끝난 뒤인 1572년에 [[폴란드-리투아니아|귀족 공화국 체제]]가 수립되면서 지켜졌다. 이후 야드비가는 성년이 된 뒤 리투아니아에 가톨릭을 전파하면서 빈민들의 복지에 힘쓰는 등 통치에 힘쓰며 지내다가, 1399년 6월에 딸 엘즈비에타를 낳았으나 엘즈비타는 생후 1달만에 사망했고 야드비가도 산후병으로 인해 고작 만 25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야드비가는 유언으로 자신이 소유한 보석들을 매각해서 [[카지미에시 3세]] 시절 건설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를 재건해달라는 유언을 남겼고 브와디스와프 2세는 유언대로 1400년 대학을 다시 열었다. 브와디스와프 2세 본인은 문맹이었지만 야드비가의 부탁을 생각해서 이후로도 예술과 학문에 많은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한다. 야드비가는 사후 약 600여년 뒤인 1986년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복자]]가 된 뒤 1997년에 [[성인#s-2.1|성인]]이 되었다. 가톨릭 성인으로서의 축일은 7월 17일이다. == 기타 == [[파일:Jadwiga_Civ6_Splash.jpg]] [[문명 6]]에서 DLC로 추가된 폴란드 문명의 [[문명 6/등장 문명/폴란드|지도자]]로 등장했다. 같은 DLC에 동봉된 시나리오 야드비가의 유산(Jadwiga's legacy)에선 폴란드, 리투아니아, 볼히니아를 고를 수 있는데, 이 시나리오에서 야드비가는 등장하지 않으나 시나리오의 시작 년도인 1385년은 야드비가와 요가일라의 결혼으로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동군연합이 세워진 해다. 위 사진처럼 헝가리 앙주 왕조의 문장을 상징하는 의복을 입은 것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잦다. 푸른 바탕에 백합은 [[카페 왕조]]의 문장이고 붉은색은 헝가리의 문장이다. 가톨릭굿뉴스에서 검색할 수 있는 [[http://info.catholic.or.kr/saint/|성인 정보]]에서 "야드비가"라고 검색하면 찾을 수 없고, 신분 항목에서 여왕으로 검색하거나 항목에서 찾으면 "성녀 헤드비지스"가 나오는데 헤드비지스(Hedvigis)는 야드비가를 라틴어로 표기한 이름이다. [[신을 죽이는 방법]]에서 등장하는 성녀의 모티프란 추측이 있다. 2021년 8월 11일 발매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의 2번째 확장팩 군주들의 여명에서 그녀가 주인공인 캠페인이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캠페인 공략/야드비가|등장한다.]] 특이하게 선교사 영웅으로 등장하며, 선교사를 기반으로 했기에 아군 치료 및 적군 전향이 가능하다. 남편인 요가일라와 마찬가지로 전투시 능력치가 증가하는 트리거가 존재하기에 전투에 오래 굴림과 동시에 오래 생존시키는 것이 좋다. 끝까지 키우면 힐량이 엄청나게 좋아진다. 전반적인 스토리는 요가일라와 결혼 후 신성 로마 제국에 맞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기틀을 마련하기까지의 이야기이다. [각주] [[분류:폴란드 여왕]][[분류:헝가리의 공주]][[분류:앙주헝가리 가문]][[분류:시성된 가톨릭교도 군주]][[분류:가톨릭 성인]][[분류:1399년 사망]][[분류:부다페스트 출신 인물]][[분류:바벨 대성당 안장자]][[분류:출산 중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