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위대 역대 해상막료장)] ||<-2> '''{{{#fff {{{#ffffff 일본국 제34대 해상막료장}}} [br] {{{+1 山村 浩}}}[br]야마무라 히로시 | Hiroshi Yamamur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yamamura.jpg|width=100%]]}}} || ||<|2> '''출생''' ||[[1962년]] [[1월 30일]] || ||[[야마구치현]] || ||<|2> '''재임기간''' ||제34대 [[해상막료장]] || ||[[2019년]] [[4월 1일]] ~ [[2022년]] [[3월 30일]] || ||<-2> '''군사 경력''' || || '''임관''' ||방대 28(해사 38) || ||<|2> '''복무''' ||[[해상자위대]] || ||[[1984년]] ~ [[2022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해상막료장]] {{{-2 (해상자위대)}}} || || '''최종 보직''' || 해상막료장 || || '''주요 보직''' ||아사기리함 항해장[br]미네유키함장[br]해상막료감부 편성반장[br]해상막료감부 계획반장[br]해상막료감부 인사계획조정관[br]해상막료감부 방위과장[br][[호위함대]] 제4호위대군사령[br]해상막료감부 총무부부장[br][[호위함대]] 막료장[br][[호위함대|호위함대사령관]][br][[해군참모차장|해상막료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자위관]]. 33대 해상막료장 [[무라카와 유타카]]가 [[2019년]] [[4월 1일]]에 전역하고 나서 34대 해상막료장([[해군참모총장]])의 자리에 올랐다. [[수상함]] 출신으로, 전 육상막료장([[육군참모총장]]) [[유아사 고로]]하고 28기 동기생이다. == 경력 == * [[1984년]] [[3월]] [[방위대학교]] 28기[* [[대한민국 해군]]의 [[해군사관학교]] 38기에 해당한다. 참고로 해사 38기는 [[중장]]을 배출하지 못했다.] 졸업, [[해상자위대]] 입대 * [[1998년]] [[7월]] 2등해좌(중령) 진급 * [[1999년]] [[8월]] 호위함 [[아사기리급|아사기리]] 항해장 겸 부장 * [[2000년]] [[8월 28일]] 호위함 [[하츠유키급|미네유키]] 함장 * [[2001년]] [[8월 10일]] 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 인사계획과 근무 * [[2003년]] [[1월 1일]] 1등해좌(대령) 진급 * [[2004년]] [[8월 30일]] 해상막료감부 방위부 방위과 편성반장 * [[2006년]] [[8월 21일]] 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 인사계획과 인사계획조정관 겸 계획반장 * [[2007년]] [[7월 3일]] 해상막료감부 방위부 방위과장 * [[2009년]] [[7월 21일]] 해장보(소장) 진급 * [[12월 7일]] 제4호위대군 사령 * [[2011년]] [[4월 27일]] 해상막료감부 총무부 부부장 * [[2012년]] [[3월 30일]] [[호위함대]]사령부 막료장 * [[2013년]] [[8월 22일]] 통합막료감부 방위계획부장 * [[2015년]] [[8월 4일]] 해장(중장) 진급, 호위함대사령관 * [[2016년]] [[12월 22일]] 해상막료부장 * [[2019년]] [[4월 1일]] 해상막료장(대장) * [[2022년]] [[3월 30일]] 전역 == 생애 == [[1962년]] [[1월 30일]]에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났다. [[1981년]] [[방위대학교]] 28기([[해군사관학교]] 38기)로 입학하여 [[1984년]]에 졸업했으며, 직렬은 [[항해]](수상함)이다. 호위함 [[아사기리급|아사기리]] 항해장 겸 부장, 호위함 [[하츠유키급|미네유키]] 함장, 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 인사계획과 근무, 해상막료감부 방위부 방위과 편성반장, 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 인사계획과 인사계획조정관 겸 계획반장, 해상막료감부 방위부 방위과장, 제4호위대군 사령, 해상막료감부 총무부 부부장, [[호위함대]]사령부 막료장, 통합막료감부 방위계획부장, 해장(중장) 진급, 호위함대사령관, 해상막료부장을 거쳐 [[2019년]] [[4월 1일]]에 해상막료장으로 등극했다. [[파일:1920px-US_Navy_photo_191120-N-BB269-1046_U.S.,_U.K.,_Japan_Navies_Reaffirm_Commitment_to_Increased_Cooperation.jpg]] 2019년 11월 20일에, 영 해군참모총장 [[토니 러더킨]](가운데), 미 해군참모총장 [[마이클 길데이]](오른쪽)와 만난 자리. 2022년 3월 30일부로 전역이 결정되었다. 후임자는 [[요코스카지방대]] 총감인 [[사카이 료]]이다. [[https://www.mod.go.jp/j/press/jinji/2022/0330a.pdf|#]] 3월 30일에 이임 후 전역하였다. [[https://twitter.com/JMSDF_PAO/status/1509094385450815489|#]] == 기타 == * 그의 임기였던 2021년 2월에 해자대 소속의 잠수함인 소류가 부상 후에 홍콩의 민간상선과 충돌하는 일이 있었다. 이 일로 3명이 부상당했는데, 충돌로 통신장비가 망가져서 3시간 뒤에 휴대폰으로 보고를 했다고 한다.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10210/105369030/1|#]] * 일본 정부가 5명 이상 모임을 자제하라고 했음에도 야마무라 막료장은 이를 어기고 14명의 동료 자위관들과 회식에 참석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확진받았고 비판을 받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1530478|#]] 해당 모임엔 아베 신조의 조카인 기시 노부치요(岸信千世)[* [[기시 노부오]]의 아들이다. 성이 다른 것은 아버지가 외증조부의 성으로 바꿨기 때문이다.] 방위상 비서관이 참석했다. 기시 노부치요는 후지TV 기자로 일하다가 아버지를 따라 방위성에 들어왔고 아버지의 비서관이 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106131600073|#]] 뻔히 장차 아버지를 따라 고위 정치인이 될 인물의 회식을 일반 자위관들이 어떻게 거절하겠냐며 기시 일가를 상대로 한 비판도 있었다. [[분류:일본의 자위관]][[분류:1962년 출생]][[분류:가나가와현 출신 인물]][[분류:제독]][[분류:방위대학교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