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야미나 로고.svg|width=200]] || ||<-2> {{{#fff '''ימינה'''}}} || || {{{#fff '''한글명칭'''}}} ||야미나[* 가끔 "예미나"라고도 하지만, 잘 사용되는 명칭은 아니다.]||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A6A9;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청록색 {{{-2 (#00A6A9)}}}}}}}}} || || {{{#fff '''대표'''}}} ||아예렛 샤케드|| || {{{#fff '''창당일'''}}} ||[[2019년]]|| || {{{#fff '''이념'''}}} ||이스라엘 [[내셔널리즘]][br][[국민보수주의]][br][[우익대중주의]][br][[경제적 자유주의]][br][[시오니즘]] ---- '''내부 계파 :''' • [[종교시오니즘]] • [[세속주의]] ||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우파|우익]] ~ [[극우]][* [[https://www.reuters.com/world/middle-east/naftali-bennett-right-wing-millionaire-who-may-end-netanyahu-era-2021-05-30/|"Naftali Bennett: The right-wing millionaire who may end Netanyahu era"]]. ''Reuters''. 2 June 2021. "Bennett, who leads the far-right Yamina party, said a fifth vote would be a national calamity".]|| || {{{#fff '''당사'''}}} ||[[텔아비브]]|| || {{{#fff '''정당 목록'''}}} ||뉴라이트 || || {{{#fff '''크네세트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6A9 calc(0*100%/120), #ddd 0%)" {{{#000 '''0석 / 120석'''}}}}}} || || {{{#fff '''웹사이트'''}}} ||[[https://yemina.co.i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9년 7월 29일 창당한 이스라엘의 [[보수]] 성향 [[시오니즘]] '''정당 연합'''이다. '''이름인 "야미나"부터가 "우파"를 의미한다.''' 원래 2019년, [[뉴라이트(이스라엘)|뉴라이트]], [[유대인의 집]] 등으로 결성된 정당 연합체였으나, 현재는 뉴라이트만이 유일한 구성원으로 남아 있어 단일 정당으로 간주된다.[* 본래 [[이스라엘 회복당]]과 [[예쉬 아티드]], [[텔렘]]의 정당연합이었지만 현재 이스라엘 회복당만 남은 [[청백동맹]]과 같은 상황이다.] == 역사 == === [[나프탈리 베네트]] 총리 시절 === [[제24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2021년 총선]]에서 친네타냐후-반네타냐후 세력 중 어느 한쪽 편에도 서지 않고 중립적으로 선거를 임하면서 7석을 획득하는데 성공하였다. 2021년 총선거에서 반 네타냐후 세력이 57석을 얻고 친 네타냐후 세력이 52석을 얻게 되면서 [[베냐민 네타냐후|네타냐후]] 총리는 본인에게 부여된 기한 동안 내각 구성에 실패하고 만다. 야미나 역시 네타냐후로부터 교대 정부 제안을 받았지만, 이를 거부했다. 다음 지명을 받은 [[예쉬 아티드]]의 [[야이르 라피드]] 대표에게 내각 구성권이 넘어갔는데, 라피드 대표는 필요한 과반 의석을 위해 중립 진영이던 [[연합아랍명단]], 야미나 진영에게도 손을 뻗게 된다. 야미나 대표였던 [[나프탈리 베네트]]는 라피드 대표와 협상해 이스라엘 총리직을 2023년 9월까지 보장해주겠다는 협약을 체결하면서 '''베네트-라피드 내각'''이 탄생하게 되었다. 라피드 대표는 2023년 9월까지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으로 있다가 2023년 9월 자리를 바꿔 총리 자리에 오르게 되고, 베네트 총리는 자리를 바꿔 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이 되게 된다. 베네트-라피드 내각은 [[보수]], [[중도주의|중도]], [[진보]] 성향 정당이 모두 참여한 [[거국내각]]으로 총 8개 정당[* [[예쉬 아티드]], [[청백동맹]], [[야미나]], [[이스라엘 노동당|노동당]],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새로운 희망(정당)|새로운 희망]], [[메레츠]], [[연합아랍명단]]]이 내각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대 [[팔레스타인]] 정책 등을 두고 연립 정당 간의 갈등이 표출되면서 1년 만에 베네트 내각이 무너지고 조기 총선이 예정되었다. 연정 붕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나프탈리 베네트]] 총리가 대표직에서도 사임하고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내각에 참여했던 아예렛 샤케드 내무장관이 대표가 되었다. [[분류:이스라엘의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유대교 정당]][[분류:국민보수주의 정당]][[분류:우익대중주의 정당]][[분류:빅 텐트 정당]][[분류:2019년 정당]][[분류:시오니즘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