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함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 한글판 명칭 ||'''야생의 포효'''|| || 일어판 명칭 ||'''[ruby(野生, ruby=やせい)]の[ruby(咆哮, ruby=ほうこう)]'''|| || 영어판 명칭 ||'''Howl of the Wild'''|| ||<-2> 일반 함정 || ||<-2>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야수족 몬스터가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를 전투에 의해 파괴했을 경우,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야수족 몬스터의 수 × 300 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 96화에서 [[팀 유니콘|안드레]]가 [[후도 유세이]]와의 1차전 듀얼 중 사용. [[나츄르 가오드레이크]]가 [[실드 윙]]을 전투로 파괴했을 때 발동했는데, 당시 필드 위에 나츄르 가오드레이크, [[숲의 파수꾼 그린 바분]], [[백수왕 베히모스]]의 3장이 존재했기에 유세이에게 900 데미지를 주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HowloftheWild-DREV-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야생의 포효'''|| || 일어판 명칭 ||'''[ruby(野生, ruby=やせい)]の[ruby(咆哮, ruby=ほうこう)]'''|| || 영어판 명칭 ||'''Howl of the Wild'''|| ||<-2> 지속 함정 || ||<-2>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때,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야수족 몬스터 1장당 상대 라이프에 3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원작과는 달리 지속 함정이 된데다 발동 조건이 야수족 제한에서 벗어나면서 어느 정도 상향되었다. 발동 조건이 되는 몬스터에 따로 지정이 없는데다 반격시 전투 데미지를 통해서도 효과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야수족의 중요한 소생 카드인 [[에어즈록 선라이즈]]와 상성이 좋다는 것이 적지 않은 장점으로, 야수족 몬스터를 늘려주는데다 약체화 효과를 통해 전투 파괴를 노리기도 더 쉬워진다. 다만 1장당 300 데미지는 높은 수치가 아닌데다, 몇 장이나 되는 야수족을 계속 필드에 전개시키기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묘지로 보내야 하므로 토큰을 파괴해도 데미지는 못 준다. [[재빠른 날다람쥐]]를 비롯한 [[재빠른]] 야수족 몬스터를 이용해서 자신 / 상대 필드에 몬스터를 늘리고 데미지를 불리는 전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 [[마수의 회유]]는 야수족을 단숨에 3장 전개시켜주니 데미지 양을 늘리기 쉽다. 여기에 [[No.64 늙은 너구리 삼태부]]를 엑시즈 소환하고 그림자무사 너구리 토큰을 특수 소환하면 야수족 수를 유지하면서 전투 파괴도 노릴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 DREV-JP06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 DREV-EN06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Speed Duel: Battle City Box || SBCB-EN060 || [[노멀]] || 미국 || || || [[듀얼리스트의 혁명]] || DREV-KR06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포이즌 팽]]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포이즌 팽, version=11)] [[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