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워크래프트 3/유닛]][[분류:워크래프트 시리즈/기술]][[분류:주술사(워크래프트 시리즈)]] [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야수 정령/Feral Spirit.jpg|align=center]] Feral Spirit. [[워크래프트 시리즈]]에서 [[주술사(워크래프트 시리즈)|주술사]]들이 사용하는 기술. == [[워크래프트 3]] == [include(틀:워크래프트 3/오크 호드)]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선견자, 문단=2.3.3)] 야수 정령의 시작, 오크 선견자가 쓰는 기술로 두 마리의 늑대 정령(늑대 정령 - 광포한 늑대 - 그림자 늑대)을 소환한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
{{{#!wiki style="margin:-3px -6px;" [[파일:spell_shaman_feralspirit.jpg|width=100%]]}}} ||'''야수 정령 (Feral Spirit)''' {{{-1 ^^1등급^^}}} 즉시 시전{{{#!wiki style="float:right;" 2분 후 재사용 가능}}}{{{#!wiki style="clear:right;" }}} || ||<-2>늑대 정령 2마리를 소환하여 15초 동안 전투를 돕게 합니다. 정령은 이동 방해 효과에 면역입니다.|| ||
{{{#!wiki style="margin:-3px -6px;" [[파일:spell_shaman_feralspirit.jpg|width=100%]]}}} ||'''야수 정령 (Feral Spirit)''' {{{-1 ^^2등급^^}}} 지속효과|| ||<-2>야수 정령이 공격할 때마다 5의 소용돌이가 생성됩니다.|| [[주술사(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주술사]]의 [[주술사(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고양|고양]] 특성 전용 기술.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리치 왕의 분노|리치 왕의 분노]]에서 고양 31포인트 특성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판다리아의 안개 이후로는 60레벨에 습득하는 기본 기술이 되었다. 두 마리 [[늑대]] [[정령]]을 소환한다. 늑대 정령은 사냥꾼의 펫처럼 조종이 가능하며, 세 가지 기술을 사용한다. 스턴, 도발, 공격시 늑대와 주술사의 체력 회복이 그것. 다만 스턴의 쿨다운은 늑대의 지속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사실상 일회성이라고 보면 된다. 늑대가 두 마리 나오지만 두 적을 따로 공격하거나 여러 적에게 기술을 사용하지도 않는다. 한때는 정령의 걸음이라는 이동속도 60% 상승 기술도 있었으나, 판다리아 이후 아예 분리되어 따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PvP에서는 고술의 빈약한 유틸성을 보완하며 생존도 도와주는 기술로 활용되며, PvE에서는 딜링 보강이나 힐업 지원용으로 사용한다. 다만 늑대의 딜이 높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딜 지원으로는 애매한 편. 전체적으로 공격용이라기보다 생존용, 혹은 유틸 보강에 더 적합한 기술이다. 늑대 정령은 푸른 빛이 나는 반투명 늑대 모습이다. 게임 내에서도 이런 외관을 한 야수는 흔하지 않다. 사냥꾼이 비슷한 외모의 야수를 길들인다고 해도 야수 정령쪽이 덩치가 더 크고 그래서 더 옹골차 보인다. [[흑마법사(월드 오브 워크래프트)|흑마법사]]나 [[드루이드(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드루이드]], 냉기 [[마법사(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마법사]], [[죽음의 기사(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죽음의 기사]] 등에 비하면 그래도 특이한 룩의 소환수인 셈. 가끔 사냥꾼의 [[희귀 야수]]와 구분을 못하는 유저도 있다. 어딘가에서 반투명한 늑대가 달려와 물길래 주술사인 줄 알았는데 화살이 날아온다든가, 야수 사냥꾼인 줄 알고 애써 반투명 늑대를 공격했는데, 주술사의 야수 정령이었다든가… 특히 필드 야수 정령인 카로마(Karoma)는 늑대 정령보다 조금 작을 뿐 똑같이 생겨서 난전 중에 보면 정말 구분이 안 된다. 물론 카로마는 야수고 늑대 정령은 정령으로 분류부터가 다르긴 하지만. 두 마리를 양 옆에 대동하면 꽤 멋있기 때문에 따로 스크린샷을 찍어서 인장으로 쓰거나 아바타 그림으로 쓰기에도 적절하다. 게다가 유명한 오크 NPC들([[드렉타르]] 등)이 양쪽에 늑대를 대동하는 습관이 있어서 그런 NPC와 스크린샷을 찍으면 구도가 조화롭게 나온다. 다만, 주술사 본인이 늑대로 변신하면 오히려 소환수보다 덜 떨어져 보인다. 모든 종족의 주술사들이 늑대를 소환하는데, 오크의 경우 드렉타르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늑대 사랑이 매우 각별하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고, 타우렌이나 트롤이야 같은 진영인 오크 주술사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치면 늑대 소환이 어색하지 않다. 하지만 늑대와 큰 연관이 없는 [[얼라이언스(워크래프트 시리즈)|얼라이언스]] 주술사가 왜 늑대를 부르는지는 의문. 드레나이야 오크에게서 주술신앙을 받아들였다고 쳐도[* 공식 소설 '노분도 이야기'에 보면 어둠의 힘에 타락해 주술신앙을 버린 오크들과 드레나이들과의 전쟁 이후, 뒤틀린 드레나이가 되어 드레나이 유민 집단에서 쫓겨난 [[노분도]]가 좌절하여 [[아웃랜드]]를 떠돌다 우연히 정령들과 교감하게 되고, 그가 최초의 드레나이 주술사가 되어 드레나이 유민 집단에 금의환향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때 일반 드레나이들은 '그거 오크꺼 아니었슴요?'하면서 처음에는 다소 주저하지만, 곧 주술 신앙의 힘을 확신하게 되면서 주술신앙을 받아들인다.] 와일드해머 드워프는 산악 지대에 살아 나름대로 자연친화적이긴 한데, 늑대보다는 [[그리폰]]과 더 친하다. 이들이 야수 정령을 부른다면 늑대 말고 다른 동물을 부르는 것이 설정에 더 적합할 듯한데, 블리자드는 이에 관해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다. 참고로 워크래프트 3에 나왔던 늑대 정령 스킨은 아직 와우에서 구현된 바 없다. 늑대 정령이라고 해도 일반 늑대와 똑같으며, 반투명할 뿐이다. 사냥꾼이 테이밍할 수 있는 소환수의 종류 중에도 야수 정령이 존재한다. 특이 야수로, 야수 사냥꾼만 길들이고 소환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사냥꾼(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소환수#s-5.2.8|링크된 문서]] 참조. == [[하스스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술사(하스스톤)/카드일람, 문단=3.4)] ||<-3>
|| ||<:> '''한글명''' ||<:> 야수 정령 ||<|8><:>[[파일:야수 정령(고전).png|width=230]] || ||<:> '''영문명''' ||<:> Feral Spirit || ||<:> '''카드 세트''' ||<:> 고전 || ||<:> '''카드 종류''' ||<:> 주문 || ||<:> '''등급''' ||<:>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주술사}}}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148/137/214.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3 || ||<:> '''효과''' ||||'''도발''' 능력이 있는 2/3 늑대 정령을 둘 소환합니다. '''과부하''': (1) || ||<:> '''플레이버 텍스트''' ||||늑대 정령들은 일반 늑대와 유사하지만 발바닥이 더 보들보들하다고 합니다. ''(Spirit wolves are like regular wolves with pom-poms.)'' ||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랄(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문단=4.3)] 스랄의 W 기술로, 이름은 같으나 사실상 별개의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