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육군편제단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rmy_Nato.png|width=200]] || ||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공용 군사 지도 표기 규약인 [br] APP-6A에 따른 아군 보병 야전군 표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1 '''야전군'''([[野]][[戰]][[軍]] / Field Army)}}} [[군대]]에서 [[군단]]보다 크고, [[집단군]]보다 작은 부대 편성 단위. 200,000 ~ 400,000명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상황때 주로 저렇게 구성되어있고, 보통은 80,000 ~ 200,000명 정도로 구성되어있다.] 그냥 '''군'''이라고도 부른다. 야전군은 사령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보통 다수의 [[사단(군대)|사단]] 혹 [[여단]]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군단]]을 1개 이상 통제하기도 한다. 야전군 수준에서 전투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전쟁의 결정적 지점에 적군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군단에서 군단으로 사단이나 증원군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야전군사령관]]은 [[대장(계급)|대장]]이나 [[중장]]이 보임된다. == 특징 == 특정한 야전군은 일반적으로 지상군과 구별하기 위해 이름이나 숫자가 붙여지기도 한다. 예를 들면, 첫 번째 [[미군]] 또는 북버지니아군 등이 있다. 영국군과 미군은 야전군에 서수를 적는 것이 보통(예, First field army)인 반면, 군단은 로마 숫자(예, III corps)를 사용하고, 더 낮은 편제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예, '2nd infantry division'). 야전군(뿐만 아니라 집단군, 총군 포함)이란 부대 단위는 규모, 구성, 책임의 범위 등에서 나라마다 상당히 다양한 대규모 편제. [[공군]] 야전군은 몇몇 공군에서 동등한 편제이다. 냉전기의 구 [[소련군]]에서 야전군은 전시에 편성되는 군집단 규모 전선군의 하위 단위인데, 실제로는 NATO의 군단에 대응하는 편제였다. 소련의 야전군은 제병협동군(Combined Arms Army)와 전차군(Tank Army)로 나뉘었으며, 차량화소총병사단과 전차사단 3-4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개 제병협동군은 3개의 차량화소총사단과 1개의 전차사단을, 전차군은 3개의 전차사단과 1개의 차량화소총사단을 거느렸지만 부대에 따라 구성이 상이한 경우도 많았다. 평시에 야전군은 보통 군관구(軍管區)의 하위 편제이다. [[냉전]] 종식 이후 대규모 군비축소와 함께 거의 사라진 편제이다. 국가간 대규모 병력 간 총력전보다는 소규모 병력(혹은 특수부대) 간의 내전 혹은 저강도 분쟁에 대비해서 군 체계가 기동성을 갖추고 소수-정예화되는 흐름이 대세이다. 최근 국방개혁으로 대한민국에서는 명목상으로는 없어진 편제 단위지만 지상작전사령부와 제2작전사령부가 야전군 역할을 실질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각각 전방과 후방을 맡고 있으며, 물리적으로 이어진 전선이지만 평지와 산지, 도시와 야지 등 전장환경이 상이한 환경이므로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약 40만의 육군 규모를 볼 때 [[대한민국 육군]] 전체를 한개의 야전군이라고 볼 수도 있다. 물론 국가총동원 사태가 되어 예비군이 전부 징집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한국군은 평상시에도 '동원사단'이나 '지역방위사단'이 이미 편제되어 있으며, 총동원 상태에서는 야전군이 아니라 [[집단군]] 수준의 대군으로 늘어난다. 일반적으로 1개 야전군은 다른 제대와 연계없이 야전군 단독으로 보병부대에 의한 통상적인 교전과 특공, 야지 돌파, 포대에 기반한 화력지원, 기갑자산을 이용한 작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적들의 항공/기갑 전력에 대해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비전투 분야에서는 보급물자 수송, 전상자에 대한 의무활동, 그리고 담당 전역의 치안 유지가 가능하다. 냉전 이후에는 잘 쓰이지 않는 편제다. 미국에서도 야전군은 거의 폐지했지만 한국 육군이 야전군으로 운용되는 탓에 [[주한미군]]은 여전히 야전군 군사교리를 유지한다. [[제8군]]도 주한미군 규모가 2만 5000명 수준임에도 야전군 편제를 따르고 있다. 이는 유사시 69만에 이를 정도로 대규모의 병력증원이 되는 [[주한미군]] 특유의 편제 때문이다. 총 70만에 달하는 미군 전체가 [[유엔군사령부]] 휘하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주한 미 육군의 인적 규모는 크지 않지만 지휘체계는 야전군급으로 편제된 것이다. == 기타 == * [[제1야전군사령부]] * [[제3야전군사령부]] * [[제8군]] * [[군집단]] [[분류:군사 편제]][[분류:부대 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