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보헤미아 국왕)] [include(틀:역대 룩셈부르크 백작)] [[파일:Bust_of_John_the_Blind.jpg]] * [[독일어]]: Johann der Blinde * [[체코어]]: Jan Lucemburský * [[룩셈부르크어]]: Jang de Blannen 생몰년도: [[1296년]] [[8월 10일]] ~ [[1346년]] [[8월 26일]] [목차] [clearfix] == 개요 == [[룩셈부르크 왕조]]의 첫 [[보헤미아 왕국]] 국왕. == 생애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7세]]와 브라반트의 마르가레타(Margaretha van Brabant 1276-1311)의 외아들로 [[룩셈부르크]]에서 태어나 [[프랑스/문화|프랑스식]] 교육을 받고 자랐다. 1310년 하인리히 7세는 [[보헤미아 왕국]]의 내전으로 도망쳐 망명한 [[프르셰미슬 왕조]]의 마지막 혈손 엘리슈카 공주(Eliška Přemyslovna 1292~1330)와 아들의 결혼을 주선해 [[슈파이어]]에서 결혼을 치렀다. 엘리슈카의 형부였던 [[인드르지흐|케른텐의 하인리히]]를 몰아내고 1311년 보헤미아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러나 그는 인드르지흐처럼 보헤미아 귀족들에게는 외국인 군주에 불과해 귀족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게다가 [[신성 로마 제국]]에서도 1313년 사망한 부친의 뒤를 이어 바이에른 공작이었던 [[비텔스바흐 가문]]의 [[루트비히 4세(신성 로마 제국)|루트비히]]가 [[독일왕]]으로 선출되면서 정치적인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부인과도 사이가 별로여서[* 둘의 정치적인 견해가 달라 사이가 최악이었다고 하며 얀은 [[카를 4세|아들]]을 엘리슈카로부터 떼어내 [[프랑스 왕국|프랑스]]로 보내버렸고, 부인을 보헤미아에서 쫓아내 바이에른에서 망명생활을 하게 만들었다. 엘리슈카는 나중에 보헤미아로 돌아왔지만 남편으로부터 박대당한 여파로 [[결핵]]에 걸려 사망했다.] 그는 통치를 포기하고 룩셈부르크로 돌아가 [[슐레지엔|슬레스코]], [[폴란드 왕국|폴란드]], [[리투아니아 대공국|리투아니아]], [[티롤]], [[이탈리아 반도]] 북부, [[아비뇽]] 등을 여행하는 유유자적한 삶을 살았다. 보헤미아 국왕으로서는 별 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했으나 외교에는 재능이 있어서 [[마이센(독일)|마이센]] [[변경백]]이었던 [[베틴 가문]]을 압박하여 보헤미아에 유리한 국경을 만들었으며, 1355년 [[헝가리 왕국]]의 [[비셰그라드(헝가리)|비셰그라드]]에서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3세]]와 만나 폴란드 왕위를 포기하는 대가로 막대한 보상을 받아내기도 했다.[* 여담으로 이때 비셰그라드에서의 만남이 오늘날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의 [[비셰그라드 그룹]]의 기원이 되었다.] 또한 바이에른 공작 루트비히와 [[합스부르크 가문]]의 프리드리히[* [[독일왕]] [[알브레히트 1세]]의 차남.]의 [[독일왕]] 선거에서 루트비히를 지원한 대가로 슐레지엔, [[헤프|에거란트]]에 대한 주권을 확립했으며, 1319년 [[브란덴부르크]]의 [[아스카니아 가문]]이 절손되자 바우첸과 [[괴를리츠]]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다. 1336년 리투아니아 십자군에 나선 도중부터 시력을 잃기 시작했다. 1337년 [[백년 전쟁]]이 발발하자 [[발루아 왕조]]의 [[필리프 6세]]와 손잡고 참전했으나 [[크레시 전투]]에서 전사했다. 보헤미아 왕위는 아들 [[카를 4세|카렐]]이 승계했다. [[분류:보헤미아 국왕]][[분류:모라비아 변경백]][[분류:룩셈부르크 백작]][[분류:룩셈부르크 가문]][[분류:1296년 출생]][[분류:1346년 사망]][[분류:룩셈부르크 출신 인물]][[분류:전쟁 사망자]][[분류:백년전쟁/인물]][[분류:노트르담 성당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