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유럽의 문화]] [목차] == 개요 == * [[덴마크어]]: Janteloven * [[스웨덴어]]: Jantelagen * [[아이슬란드어]]: Jantelögin * [[영어]]: Law of Jante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가에 존재하는 생활 규범. 한국의 "연장자에게 높임말을 사용해야 한다."와 비슷한 수준으로 생활 기저에 깔리는 열 가지 규칙으로, 요약하자면 '겸손의 법칙' 정도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북유럽의 [[평등주의]]적 성격을 잘 나타내는 예시 중 하나이며, 간섭을 거부하는 개인주의를 위하여 우월감의 표출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회적 태도를 가리킨다. 명칭은 [[노르웨이]]의 작가인 악셀 산데모세(Aksel Sandemose)의 소설 《도망자는 자신의 발자국을 넘어간다 (En flyktning krysser sitt spor)》(1933)에 등장하는 얀테의 법칙에서 유래됐으나 실제로는 좀 더 오래됐다. == 10가지 규칙 == * [[한국어]] >1. 당신이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2. 당신이 남들보다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마라. >3. 당신이 남들보다 똑똑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4. 당신이 남들보다 낫다고 생각하지 마라. >5. 당신이 남들보다 많이 안다고 생각하지 마라. >6. 당신이 남들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7. 당신이 모든 일을 잘한다고 생각하지 마라. >8. 남들을 비웃지 마라. >9. 누군가 당신을 걱정하리라 생각하지 마라. >10. 남들에게 무엇이든 가르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 마라. * [[스웨덴어]] >1. Du skall inte tro att du är något. >2. Du skall inte tro att du är lika god som vi. >3. Du skall inte tro att du är klokare än vi. >4. Du skall inte inbilla dig att du är bättre än vi. >5. Du skall inte tro att du vet mer än vi. >6. Du skall inte tro att du är förmer än vi. >7. Du skall inte tro att du duger till något. >8. Du skall inte skratta åt oss. >9. Du skall inte tro att någon bryr sig om dig. >10. Du skall inte tro att du kan lära oss något. 요약하면 당신 스스로를 남들보다 더 뛰어나거나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또한 누군가를 당신보다 더 뛰어나거나 특별하다고 생각하지도 마라. 이러한 사회적 암묵적 규칙은 스칸디나비아인들의 사고방식을 강력히 통제한다. 사회적으로 성공하거나 명예를 얻어도 부끄러운 마음이 들게 한다. 미국에서 에미상을 수상한 스웨덴 배우 [[알렉산더 스카스가드]]도 트로피를 친구 집에 몇 달 맡겼다가 찾아온 후 캐리어 깊숙한 곳에 숨겨놨을 정도. 이 법칙이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을 평등사회, 복지 선진국이 되게끔 했다는 긍정적 평가가 있다. 스웨덴 사회의 안정성 그 자체를 상징하는 키워드라고 볼 수 있다. 반면 "개인의 개성을 말살한다" 거나 "지나치게 눈치를 강요한다"는 부정적 평가도 있는데 이러한 비판을 받는 점은 [[일본]]의 [[메이와쿠]] 문화와 비슷하다.[* 다만 세세하게 따지자면 완전히 다른데, 얀테의 법칙은 "[[잘난 척]] 하지 마라"에 가깝고 메이와쿠 문화는 "자기 [[주제#s-2|주제]]에 맞게 행동해라"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