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양 디페르투안 아공)] [include(틀:말레이시아 관련 문서)] ---- [include(틀:군주 일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3b219 0%, #ffcd30 20%, #ffcd30 80%, #e3b219);" [[파일:Arms_of_the_Yang_di-Pertuan_Agong_of_Malaysia.svg|width=40]][br] '''{{{+1 {{{#000 양 디페르투안 아공}}}}}} [br] {{{#000 يڠدڤرتوان أݢوڠ[br]Yang di-Pertuan Ag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압둘라 아흐마드.png|width=100%]]}}} || || {{{#000 '''현직'''}}} || '''[[파항의 압둘라]]''' || || {{{#000 '''즉위일'''}}} || '''[[2019년]] [[1월 31일]]''' || || {{{#000 '''지위'''}}} || '''[[말레이시아]]의 [[국가원수]]''' || || {{{#000 '''관저'''}}} || '''이스타나 느가라''' || || {{{#000 '''임기'''}}} || '''5년 단임제'''[* 말레이시아는 선거군주제로서 군주의 임기가 정해져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양 디페르투안 아공은 [[말레이시아]]의 군주다. 양 디페르투안 아공(Yang di-Pertuan Agong)은 [[말레이어]]로 '주인이신 분'이라는 뜻이다. [[영어]]로도 이 칭호를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쓴다.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말레이시아 화교]]들이 쓰는 [[중국어]]로는 최고원수(最高元首)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편의상 언론 등에서 주로 "말레이시아 국왕"으로 칭해진다. == 역사 == 양 디페르투안 아공이라는 직책은 말레이시아가 독립한 1957년에 생겼다. 원래 말레이시아는 하나의 통합된 나라를 이루지 않고, 십여개의 나라들로 나누어져 있었다. [[영국]]은 이들 국가를 보호국으로 만들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간접통치했다. 이 보호국들이 독립하는 과정에서 [[연방제]]를 채택, 하나의 나라로 독립한 것이 현재의 말레이시아이다. 독립한 말레이시아는 영국을 모델로 한 [[입헌군주제]]를 채택했으며, 이에 따라 양 디페르투안 아공(Yang di-Pertuan Agong)이라는 직책을 만들고 그를 [[국가원수]]로 삼았다. == 임기와 승계 == 양 디페르투안 아공은 [[선거군주제|임기가 정해진 선출직인데]], 스스로의 군주가 있는 9개 주의 군주[* 7개 주는 [[술탄]]이라 칭하지만, [[느그리슴빌란]] 주의 수장은 최고지도자(Yang di-Pertuan Besar), [[프를리스]] 주의 수장은 왕(Raja)이라고 부른다.]들이 통치자회의(Majlis Raja-Raja/Conference of Rulers)[* 한때 이 회의에는 [[브루나이]]의 술탄도 참여했으나, 다른 말레이시아의 주들과 의견이 맞지 않아 참여를 그만두고 말레이시아와는 별개의 나라로 독립했다.]를 열어 자신들끼리 선출한다. 임기는 5년이며 연임은 불가능하고 중임은 가능하다. 이렇게 정해져 있기는 하나 실제로는 암묵적으로 순번이 있어 돌아가면서 한다. 왕의 임기가 5년인 데 반해 각 주의 군주는 죽을 때까지 할 수 있어 한 번 왕을 했는데 다시 순번이 돌아와서 왕을 한 번 더 한 [[압둘 할림]]의 사례도 있다. 국왕에 선출되더라도 본래 자기 지역의 군주 직책에서 퇴위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두 자리를 겸임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는 자신의 친척을 [[섭정]]으로 임명해 지역 군주로서의 권한을 대리하도록 한다. 부국왕(Timbalan Yang di-Pertuan Agong)이라는 직책도 존재하며 마찬가지로 9명의 지방 군주들 중에 선출한다. 국왕 공석시에 새 국왕이 선출될 때까지 권한을 대행한다. [[2016년]] [[12월 13일]] 왕위에 오른 [[무하맛 5세]](Muhammad V) 국왕은 [[클란탄]](Kelantan) 주 술탄인데, 2010년 아버지 [[투앙쿠 셰드 프트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당시 프트라는 살아 있었지만(2019년 사망) 조기에 양위한 이유는 건강 문제 때문이라고. [[2019년]] [[1월 4일]], 무하맛 5세의 조기 퇴위설이 퍼지자 정부는 이를 헛소문이라며 [[https://news.v.daum.net/v/20190104110241433|부정했으나]] 불과 이틀 후인 [[1월 6일]]에 국왕이 전격적으로 퇴위하면서 왕위가 공석이 [[https://news.v.daum.net/v/20190106204722628|되었다]]. 이후 부국왕 권한대행 체제가 이어지다가 각 주의 술탄들이 모여 회의를 거듭하고 투표한 결과 [[1월 24일]] [[파항]] 주 술탄 [[파항의 압둘라]]가 새 국왕으로 [[https://news.v.daum.net/v/20190124180027405|선출되었다]]. 추가로 부국왕도 [[페락]] 주 술탄으로 새로 뽑았다. == 권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국가로서 국왕의 권한은 매우 약해서 없는 거나 다름없다. 명목상으로는 [[말레이시아 총리|총리]]와 장관을 임명하고, 의회에서 통과된 법에 대한 재가 권한이나 [[말레이시아군]] 통수권, 연방대법원 판사 임명권, 상원의원 임명권, 지역 군주가 없는 [[사라왁]]과 [[사바(말레이시아)|사바]], [[페낭]], [[믈라카]]의 수장(Yang di-pertuan Negeri/Governor) 임명권[* 1963년과 1965년 사이에는 [[싱가포르]]도 말레이시아의 한 주였는데 싱가포르에는 군주가 없으므로 양 디페르투안 아공이 지역 수장(Yang di-pertuan Negeri)을 임명했다. 이 직위는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에서 추방당하면서 [[싱가포르 대통령]]으로 개편되었다. [[유솝 빈 이샥]]이 이 시기의 싱가포르 지역 수장이었다.]이 있으나 이런 권한은 총리와 내각의 권고에 따라서만 행사된다. 1994년 개헌 이후 국왕의 권한은 더 축소되었다. == 국왕 목록 == || 대수 || 이름 || 지역 || 임기 || 비고 || || 1대 || [[투앙쿠 압둘 라만]] || [[느그리슴빌란]]의 얌투안 || [[1957년]] [[8월 31일]] ~ [[1960년]] [[4월 1일]] || 재위 중 사망 || || 2대 || [[히사무딘 알람 샤]] || [[슬랑오르]]의 [[술탄]] || [[1960년]] [[4월 14일]] ~ [[1960년]] [[9월 1일]] || 재위 중 사망 || || 3대 || [[투앙쿠 셰드 푸트라]] || [[프를리스]]의 [[라자]] || [[1960년]] [[9월 21일]] ~ [[1965년]] [[9월 20일]] || || || 4대 || [[이스마일 나시루딘]] || [[트렝가누]]의 [[술탄]] || [[1965년]] [[9월 21일]] ~ [[1970년]] [[9월 20일]] || || || 5대 || [[압둘 할림]] || [[크다]]의 [[술탄]] || [[1970년]] [[9월 21일]] ~ [[1975년]] [[9월 20일]] || || || 6대 || [[아흐야 프트라]] || [[클란탄]]의 [[술탄]] || [[1975년]] [[9월 21일]] ~ [[1979년]] [[3월 29일]] || 재위 중 사망 || || 7대 || [[아흐맛 샤]] || [[파항]]의 [[술탄]] || [[1979년]] [[4월 26일]] ~ [[1984년]] [[4월 25일]] || || || 8대 || [[조호르의 이스칸다르|이스칸다르]] || [[조호르]]의 [[술탄]] || [[1984년]] [[4월 26일]] ~ [[1989년]] [[4월 25일]] || || || 9대 || [[아즐란 무히부딘 샤]] || [[페락]]의 [[술탄]] || [[1989년]] [[4월 26일]] ~ [[1994년]] [[4월 25일]] || || || 10대 || [[투앙쿠 자파르]] || [[느그리슴빌란]]의 얌투안 || [[1994년]] [[4월 26일]] ~ [[1999년]] [[4월 25일]] || || || 11대 || [[살라후딘 압둘 아지즈 샤]] || [[슬랑오르]]의 [[술탄]] || [[1999년]] [[4월 26일]] ~ [[2001년]] [[11월 21일]] || 재위 중 사망 || || 12대 || [[투앙쿠 셰드 시라주딘]] || [[프를리스]]의 [[라자]] || [[2001년]] [[12월 13일]] ~ [[2006년]] [[12월 12일]] || || || 13대 || [[미잔 자이날 아비딘]] || [[트렝가누]]의 [[술탄]] || [[2006년]] [[12월 13일]] ~ [[2011년]] [[12월 12일]] || || || 14대 || [[압둘 할림]] || [[크다]]의 [[술탄]] || [[2011년]] [[12월 13일]] ~ [[2016년]] [[12월 12일]] || || || 15대 || [[무하맛 5세]] || [[클란탄]]의 [[술탄]] || [[2016년]] [[12월 13일]] ~ [[2019년]] [[1월 6일]] || 중도 퇴위 || || 16대 || [[파항의 압둘라]] || [[파항]]의 [[술탄]] || [[2019년]] [[1월 31일]] ~ 재위 중 || || || 17대 || [[이브라힘 알마훔 이스칸다르]] || [[조호르]]의 [[술탄]] || [[2024년]] [[1월 31일]] ~ 예정 || || [[분류:양 디페르투안 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