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공동주택)]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동삼익.jpg|width=100%&align=center]]}}} || ||<#022d36> {{{#FFFFFF '''아파트 전경[* 뒤에 [[KDB생명빌딩]]이 보인다.]'''}}} || ||<-2> [[파일:삼익로고.jpg|width=7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양동 삼익멘션,너비=100%)]}}}|| || {{{#white '''명칭'''}}} || '''양동 삼익맨션''' || || {{{#white '''영문 명칭'''}}} || Yang-dong SAMICK Mansion || || {{{#white '''종류'''}}} || [[아파트]] || || {{{#white '''브랜드'''}}} || [[삼익아파트]] || || [[주소|{{{#white '''주소'''}}}]]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천변좌로 282 ([[양동]]) || || {{{#white '''최초 입주'''}}} || [[1978년]] [[5월]] || || {{{#white '''동수'''}}} || 3개동 || || {{{#white '''층수'''}}} || 지상 12층 || || {{{#white '''세대수'''}}} || 216세대 || || {{{#white '''면적'''}}} || 83㎡, 113㎡ || || {{{#white '''주차대수'''}}} || 216대 (세대당 1대) || || {{{#white '''시공사'''}}} || [[삼익주택]]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양동]][* 완공 당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시]] [[서구(광주)|서구]] [[양동]]]에 위치한 아파트이다. [[광주천]]을 쭉 따라가면 나오는 12층짜리 고층아파트이다. 광주에서 10층을 넘긴 아파트로는 77년 완공된 [[금남맨션]](10층)이 최초인데, 바로 다음해인 78년도 삼익맨션이 12층 높이로 완공되면서 갱신했고[* 이후 1980년 완공된 전남대앞 삼익아파트가 14층으로 최고 높이를 갱신했다. 참고로 현재 광주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는 48층의 [[호반써밋 광주]].] 나홀로아파트인 금남맨션과 달리 3개동에 지상주차공간도 마련된 보편적인 아파트단지이기 때문에 사실상 최초로 보는 것도 타당하며 등재 가치가 있다. 또 광주에서 [[대한주택공사]]와 같은 공기업이 아닌 민간에서 지은 민영 아파트 1세대라고 볼 수 있다. 양동 삼익맨션과 함께 바로 옆 우진, 금호, [[e편한세상 봉선 셀레스티지|주월동 장미]], [[화정동 삼익맨션아파트|화정동 삼익맨션 1/2차]], 중흥동 평화맨션[* 2014년 7월 B동 지하 기둥에 균열이 발견되면서 대피령이 내려졌고 2021년 철거 후 모아미래도 에듀파크로 재건축 중이다.] 등이 있다. 구도심이 가깝고 당시 기준으로 넓은 평수가 있었던지라 의사나 교수, 법조인들이 많이 살았으며,[*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피아노과 모 교수님도 여기 살았다고 한다.] 이 아파트 이후로 광주도 ‘부촌 아파트’가 줄줄이 나왔다. 아파트의 보편적인 양식이 아직 자리잡지 않았던 시절이라 지금과는 조금 다른 모습이 눈에 띄는데, [[엘리베이터]]가 각 층에 맞게 서는게 아니라 층과 층 사이 [[계단참]]에 서서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타고나면 다시 계단을 오르고 내려가야한다는 점, 부엌에서 지하 쓰레기장으로 각종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https://youtu.be/xx0BpBlPQJw|쓰레기 굴뚝]]’이 있었다는 점(현재는 폐쇄), 천장 위로 각종 배관이 지나갈 수 있도록 층고가 높다는 점[* 80년대 중후반부터는 최대한 효율을 높히기 위해 어지간한 배관은 콘크리트 속으로 매립해버려서 천장 석고보드 위 빈 공간이 거의 없고 심지어 그마저도 아까워서 콘크리트 위에 벽지만 바른 곳도 심심치 않게 있다.(...)], 34평형의 구조가 독특하다는 점[* 복도 양쪽 맨 끝 집이 34평형인데 거실 2개 면에 창문이 뚫려서 개방감이 상당하고 화장실이 1개이지만 상당히 넓다.] 등이 있다. 바로 옆 [[KDB생명빌딩]]에 방문하려는 차량들이 주차장에 수용가능한 것보다 많기 때문에 낮시간을 이용해 외부인에게 주차요금을 받고 주차장을 개방하고 있다. 2023년 재건축안전진단을 통과했다고 한다. == 특징 및 시설 == === 상업시설 === 양동 상권 중심지와 가깝다. 하지만 이미 양동 상권이 죽어서... ~~사실상 양동시장이 단지상가이다.~~ == 주변 환경 == === 교통 === ==== 도시철도 ==== 도보 약 8분 거리에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양동시장역]]이 위치해 있어 역세권 아파트이다. === 교육 === 초등학교는 도보 15분 거리에 있는 광주양동초등학교로 배정되며, 가까운 고등학교로는 [[광주제일고등학교]]가 도보 8분 거리이다.[* 참고로 [[KDB생명빌딩]] 위치는 과거 광주중앙여고, 현재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가 북구 운암동으로 이전하기 전의 위치다.] == 재건축 == 1978년 준공하여 2023년 현재 45년차를 넘기고 있어 재건축 얘기가 10여년 전부터 나오고 있지만, 오래 거주한 주민들이 많고 부지가 협소해 미래가 매우 불투명한 상태이다. == 관련 문서 == * [[아파트]] [[분류:서구(광주)의 공동주택]][[분류:나무위키 공동주택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