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한국 함선)] [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기뢰전함)] ||[[파일:ROKN_Yangyang-Class_MSH_2.jpg|width=100%]]|| ||[[파일:ROKN_Yangyang-Class_MSH_1.jpg|width=100%]]|| || 해남함(MSH 573)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해군]]의 '''양양급 소해함'''(MSH: Mine Sweeper Hunter)은 길이 60m, 경하 배수량 730톤급 [[소해함]](掃海艦)이다. MSH는 [[강경급 기뢰탐색함]](MHC)보다 무게는 400톤이 늘고, 선체 길이는 10m 길어졌으며, [[20mm]] [[발칸포]] 및 가변수심 음파탐지장비, 무인기뢰처리기, 자기·음향기뢰 복합소해장비 등의 기뢰처리 장비를 탑재해 소해 능력이 강화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4500464|#]]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양양·옹진·해남함이 차례로 취역했고, 이후 '소해함 2차 사업'을 통해 4번함인 남해함이 2020년 4월 진수됐다.[[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200609/1/BBSMSTR_000000100115/view.do|#]] == 동급함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순번''' || '''함종[br]선체번호''' || '''함명''' || '''진수''' || '''인수''' || '''취역''' || '''건조사''' || '''비고''' || '''동일 이름의[br]퇴역 함정''' || ||<-9> 1차 사업 || || 1 || MSH 571 || 양양 || [[1999년]] [[2월 25일]] || [[1999년]] [[12월 29일]] || [[1999년]] [[12월 31일]] || [[강남(기업)|강남조선]] || 운용 중 || - || || 2 || MSH 572 || 옹진 || [[2002년]] [[12월 28일]] || [[2003년]] [[9월 1일]] || [[2003년]] [[10월 28일]] || 강남조선 || 운용 중 || - || ||<-9><#CD3861> {{{#ffffff '''2023년 기준 함령 20년 이상'''}}} || || 3 || MSH 573 || 해남 || [[2004년]] [[2월 18일]] || [[2004년]] [[10월 30일]] || [[2004년]] [[11월 12일]] || 강남조선 || 운용 중 || - || ||<-9> 2차 사업 || || 4 || MSH 575 || 남해 || 2020년 4월 7일 || 2021년 11월 19일[[http://www.dapa.go.kr/dapa/na/ntt/selectNttInfo.do?bbsId=326&nttSn=39828&menuId=678|#]] || 2021년 11월 23일 || 강남조선 || 운용 중 || - || || 5 || MSH 576 || 홍성 || 2020년 9월 11일 || [[2022년]] [[10월 18일]] || [[2022년]] [[10월 20일]] || 강남조선 || 운용 중 || - || || 6 || MSH 577 || 고성 || 2021년 3월 4일 || [[2022년]] [[12월 26일]] || [[2023년]] [[7월 10일]] || 강남조선 || 전력화 중 || AMS 518 ||}}} *함명은 해군기지가 있었거나 해군기지에 인접한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읍명에서 따왔다[[http://www.navy.mil.kr/mbshome/mbs/navy/subview.do?id=navy_060501050000|#]](강원도 [[양양군]], 인천광역시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 전라남도 [[해남군]], 경상남도 [[남해군]], 충청남도 [[홍성군]]). 고성함(MSH 577)은 강원도 [[고성군(강원도)|고성(高城)군]]에서 함명이 유래했는데,[[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064558|#]] 1955년에 퇴역한 고성정(YMS/AMS 518)의 이름을 이었다.[* 고성정의 함명은 [[고성군(경상남도)]] 또는 [[고성군(강원도)]]에서 유래했다.] *3척 모두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제5기뢰/상륙전단]] 제52기뢰전대에 소속되어 있다. *양양함(MSH 571)은 2006년 서태평양 기뢰대항전 훈련(WP MCMEX)에 참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1301515|#]] == 사업 배경 == >대 기뢰전은 크게 기뢰의 탐색과 소해,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기뢰탐색함은 주요 항만 항로의 기뢰 탐색과 주요 전투전력의 신속한 항해와 이동 등에 운용된다. 소해함은 기뢰의 탐색 및 소해 상륙작전, 해상교통로 소해 등에 운용되어 효과적인 대 기뢰전 수행을 위해서는 기뢰탐색함과 기뢰소해함이 복합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복합기능을 갖는 신형 소해함이 필요하여 450톤급의 기뢰탐색함에 추가 장비 탑재를 검토했으나, 자기 · 음향기뢰 소해구를 탑재하면 갑판면적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함의 크기 증가가 불가피하다고 검토되었다. > >1990년 해군본부 조함단은 새로운 소해함의 개념설계를 실시했으며, 1993년 시제업체인 [[강남(기업)|강남조선]]에서 기본설계와 상세설계를 실시하고 건조했다. 1980년대 중반 해군에 인도된 기뢰탐색함은 FRP선으로 한계 크기에 가깝다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건조되었으며 1999년 말 해군에 인도되어 전력화되었다. >---- >김효철 외, 『한국의 배』 (지성사, 2006).[[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1087&docId=2267766&categoryId=51087&expCategoryId=51087#TABLE_OF_CONTENT4|출처]] 해군은 [[강경급 기뢰탐색함]]을 보완하고, 더 깊은 바다에서 다양한 기뢰 처리를 위해 새로운 기뢰탐색소해함을 개발하기로 했다. 해군은 자체 개념설계를 완료한 뒤 강경급 기뢰탐색함을 제작한 [[강남(기업)|강남조선]]과 1993년 기본설계 계약을, 1995년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90610/1/BBSMSTR_000000010206/view.do|#]] == 제원 및 특징 == ||<-3> '''{{{#FFFFFF 양양급 소해함}}}''' || |||| '''함종''' ||[[소해함]](MSH: Mine Sweeper Hunter) || |||| '''이전 함급''' ||[[강경급]] || |||| '''후속 함급''' ||미정 || ||<|2> '''[[배수량]]''' || '''경하''' ||730톤 || || '''만재''' ||923톤 || |||| '''길이''' ||60m || |||| '''폭''' ||10.5m || |||| '''[[흘수선|흘수]]''' ||3m || ||<|4> '''추진체계''' || '''방식''' ||[[선박/추진방식#s-3.1.1|CODAD]] || ||<|2> '''기관''' ||[[MTU(기업)|MTU]] 12V 396 디젤 엔진 2기 [br] [[MTU(기업)|MTU]] 6V 396 발전기 3기 [br] 저속추진 유압모터(APHM) 2기 (1~3번함) || ||[[MTU(기업)|MTU]] 12V 396 디젤엔진 2기 [br] ISOTTA(이) V1312ME 발전기 3기 [br]저속추진 전기모터(APEM) 2기 (4~6번함) || || '''추진''' ||보이스-슈나이더 사이클로이드식 프로펠러 샤프트 2기 [br] 함수 스러스터 || |||| '''최대속력''' ||15노트 || |||| '''항속거리''' ||12노트 순항시 5,550km || |||| '''승조원''' ||승조원 56명 [br] 잠수사 5명 || || '''레이다''' || '''항법''' ||[[레이시온]] AN/SPS-64 I밴드 항법 레이다(1~3번함) [br] stx엔진 AN/SPS-100K 항법 레이다(4~6번함) || ||<-2> '''소나''' ||탈레스 type 2093형 기뢰소해용 가변 심도 소나 || ||<|2> '''무장''' || '''기관포''' ||[[대우정밀]] 20mm [[발칸포|시 벌컨]] x1 || || '''기타''' ||[[M60 기관총|M60]] 7.62mm 다목적 기관총 x2 [br] O 타입 계류[[기뢰]] ??발[* 소해함도 탑재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뢰부설임무를 뛸 수 있으나 대부분 소해훈련을 위한 모의기뢰 부설에 사용하곤 한다. 애초에 소해함에 설치된 크레인은 기뢰소해장비/MDV 진수/인양을 위해 설치된 것. [[남포급 기뢰부설함]]은 소해헬기 운용이 가능하고 소해작전에 있어 소해함들을 지휘하는 일종의 소해모함으로 활동할 수 있다.]|| ||<-2> '''소해 장비''' ||대양전기공업 무인기뢰처리기(MDV) 2기 [br]ATLAS(독일) 자기/음향 복합 기뢰 소해장비 1조 [br]미해군 기계식 소해장비 1조|| * 초초함인 양양함은 함수 장비와 발칸포 설치 모습이 동급의 함정들과 약간 다른 형상을 하고있다. * 해군이 보유한 여타 함정에 비해 작고 초라해 보일 수 있지만 소해함 중에선 큰 편에 속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097263|세계에서 가장 큰 FRP 선박이라고 한다.]]] * 특이점으로는 함수 스러스터를 달았기 때문에 제자리 선회[* 이 기능은 [[KBS]]의 [[스펀지(KBS)|스펀지]]에서도 나온적이 있다.]가 가능하며, 선체가 강철이 아닌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뢰 폭발시 충격 흡수를 위해 늑골이 없는 구조로 제작되었다. *기뢰 소해용 가변심도 소나(VDS)를 탑재하여 기뢰들을 탐지하고, 기뢰 제거 장비와 소해구를 이용하여 소해 임무를 수행한다. 이외에도 MDV[* Mine Demolition Vehicle, 무인기뢰처리기] 같은 무인 잠수정을 이용해 원격으로 소해작전을 할 수 있다. * 무장은 간단한 편으로 20mm 시 벌컨 1문과 M60 기관총뿐인데 이것도 타국 해군들에 비하면 중무장이라고 한다.[* [[미 해군]]의 어벤저급은 50구경 기관총이 전부고 [[네덜란드 해군]]의 알크마르급 같은 경우는 평시에는 아예 비무장이다.] 애초 소해함의 무장은 수면 위로 부상한 기뢰를 폭파시키려는 목적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Youtube(0shGgUmBKDA)]|| || 양양급의 3D 공정 영상 || === 무인기뢰처리기-Ⅱ === 2020년 12월 29일 방위사업청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무인기뢰처리기-II의 전력화를 해군이 완료했다고 밝혔다. 방위사업청은 2018년 7월 대양전기공업과 양산 계약을 맺었다. 무인기뢰처리기(MDV: Mine Disposal Vehicle)는 소해함이 음탐기로 기뢰를 탐색한 후 투입돼, 원격조종으로 이동해 기뢰를 식별하고, 기뢰제거용 폭약을 설치해 기뢰를 처리한다. 해외에서 도입한 기존의 무인기뢰처리기는 장기간 운용으로 노후화돼, 소해함 2차사업 추진에 맞춰 함정 탑재용 무인기뢰처리기-II를 국내에서 개발해 확보했다.[[https://www.dapa.go.kr/dapa/na/ntt/selectNttInfo.do?bbsId=326&nttSn=34904&menuId=678|#]] == 소해함 2차 사업 == >소해함 2차 사업 추진 경과 >---- > -2008년 8월 9일: 중기계획 전환(제232차 합동참모회의) > -2010년 4월 19일: 건조계획 심의(제75회 사업관리분과위) > -2010년 11월 4일: 건조 계약체결([[강남(기업)|강남조선]]) > -2014년 12월: 가변심도음탐기 계약해제 > -2015년 9월: 소해장비 계약해제 > -2015년 9월: 건조계획 수정 심의(제186회 사업관리분과위) > -2017년 6월 27일: 기계식소해장비 계약체결 > -2017년 11월 28일: 가변심도음탐기 계약체결 > -2017년 12월 29일: 후속함 건조 수정계약(함 개조 및 보전활동) > -2018년 2월 27일: 복합소해장비 계약체결 > -2019년 5월 7일: 후속함 건조 수정계약(납기변경) > -2020년 3월 24일: 후속함 건조 수정계약(납기변경) > -2020년 4월 7일: 4번함(남해) 진수 > -2020년 4월 14일: 5번함 shop-out(공장 출고) > -2020년 4월~11월: 4번함 시운전 > -2020년 6월 5일: 5번함 함명(홍성) 및 선체번호 제정 > -2020년 6월 17일: 후속함 건조 수정계약 > -2021년 11월 19일: 2차 사업 선도함(남해) 인도 소해함 2차 사업은 1차 사업 완료(2004년 8월) 후, 후속함 건조계획에 따라 주요항만, 해상교통로, 상륙해역 기뢰 탐색 및 제거, 해저환경 정보수집 및 침몰 선박 등 탐색 지원이 가능한 소해함을 국내 건조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후속함들은 국내에서 개발된 수중탐색음탐기, 무인기뢰처리기와 성능이 향상된 기뢰탐색음탐기 및 복합소해장비 등을 탑재해, 기존 소해함보다 강화된 기뢰 탐색 및 제거 능력을 갖추었다. == 논란 == 수입중개상의 부실 장비 납품으로 2차 사업의 전력화 시기가 늦춰졌다.[[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19/10/806168/|#]] 당초 한국 해군에서는 양양급을 8척가량 보유할 계획이었으나 2004년 3번함 진수 이후 건조를 중단하였다. 이후 양양급 3척을 추가 건조 한 뒤 차기 소해함을 건조하여 전력화 할 계획이었으나 [[천안함 피격 사건]] 당시 투입이 늦어져 어선이 먼저 천안함의 잔해를 찾아내어 어선보다 못한 군함이란 논란이 일었던 일에 대한 비난여론이 일어났고 더불어 [[통영급 수상함 구조함]]과 함께 각종 비리 의혹에 휘말렸다. 다만 양양급은 그 이후에도 해군에서도 큰 말 없이 쓰이고 있고, 천안함 사건 수습 도중에 발생한 어선 침몰 사고에도 투입되어 2시간 안에 침몰한 선체를 찾아내었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097263|기사]] 결국 모항 진해에서 해당 해역[* 750km에 가까운 거리를 가려면 12노트로 36시간동안 쉬지않고 항해 해야한다. 진해에서 아침에 출발하면 다음날 밤에 해당 해역에 도착한다.]으로 이동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 것인데, 대부분의 소해함들은 속력이 20노트를 넘지 못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위의 비난은 적절치 못하다고 봐야 한다. == 기타 == [[강남(기업)|강남조선]] 홈페이지에 소해함 후속함(4번, 5번)에 대한 기술용역 공고가 나온 것으로 볼 때 건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홈페이지의 추가 정보에 따르면 2010년에 양양급의 개량형인 920톤급 소해함을 발주 받아 기술 연구와 설계 단계를 거치고 있는 듯 하다. == 관련 영상 == [youtube(q2pfah8n0ec)] [youtube(haeWWO-1oB0)] [youtube(fobUbgmqV4k)] [youtube(SqAdOv12zfU)] [youtube(0TUONzayK9c)] == 관련 문서 == * [[기뢰]] * [[소해함]] [[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대한민국 국군/군함]][[분류:1999년 출시]][[분류:2023년 단종]][[분류:소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