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수호전의 인물, rd1=양웅(수호전))] [include(틀:한서)] [목차] == 개요 == 揚雄 [[전한]] 말기의 학자이며 문인. [[자(이름)|자]]는 자운(子雲). 생몰년도는 BC 53 ~ AD 18. == 생애 == 익주 [[쓰촨성|사천성]] [[성도#s-2.1.1|성도]]현 출신으로, 전한 성제(成帝) 때 궁정 문인이 되어 성제의 여행을 수행하며 《감천부(甘泉賦)》,《하동부(河東賦)》 등의 문장을 지었다. 역경과 노자의 이론에 바탕을 둔 철학서 《태현경(太玄經)》을 저술했다. [[왕망]]이 정권을 찬탈한 후에 그에게 협조하여 새 정권을 찬미하는 《극진미신(劇秦美新)》 등의 문장을 지으며 어용문인 노릇을 했고, 이 때문에 후대에 [[변절자]]로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말년에는 유흠의 난에 연루돼 체포당할 위기에 처해지자 투신자살을 시도했으나 미수에 그쳤다. 왕망에게 다시 신임을 받아 대부 직책에 있다가 조용히 삶을 마쳤다고 한다.[* 유흠은 [[광무제]] 유수의 아버지 유흠과는 다른 사람이며 광무제 항목에도 나오는 국사공 유수와 같은 사람이다. 전한 말기 사상가로 유명한 유향의 아들로 스스로 천자가 될 꿈을 품고 훗날 이름을 수로 고쳤으며 왕망을 암살을 꾀했으나 실패하고 자결한다.][[북송|송대]]에 이르러 정호·정이 형제와 [[주자(철학자)|주자]] 등 주로 성리학 진영의 공격을 받았다. 저서로는 [[태현경]], 법언, 방언 등이 있다.전한(前漢) 신나라 시기의 언어학 서적인 『방언(方言)』은 양웅이 27년간 수행한 학술 답사 결과를 채록한 저서이며, 세계 언어학 역사상 최초의 방언 어휘를 조사한 기록이기도 하다. 그의 책 [[방언(양웅)|방언]]에서는 당대 [[고조선]]과 북방민족 언어에 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어 관련 연구에서도 중요성이 크다. 참고로 촉왕본기도 썼지만 유실 되었다. [[분류:한나라/인물]][[분류:한나라의 유학자]][[분류:기원전 53년 출생]][[분류:18년 사망]][[분류:중국의 언어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