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후량(육조) 황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A380 0%, #00C499 20%, #00C499 80%, #03A380); color: #ece5b6" '''후량 제3대 황제[br]{{{+1 공종 정황제 | 恭宗 靖皇帝}}}'''}}} || ||<|2> '''출생''' ||[[558년]] || ||[[후량(남북조시대)|후량]] [[후베이성|남군]] [[징저우시|강릉현]][br](現 [[후베이성]] [[징저우시]]) || ||<|2> '''즉위''' ||[[585년]] [[5월]] || ||[[후량(남북조시대)|후량]] [[후베이성|남군]] [[징저우시|강릉현]][br](現 [[후베이성]] [[징저우시]]) || ||<|2> '''사망''' ||[[607년]] (향년 49세) || ||[[수나라|수]] [[시안시|대흥]][br](現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시안시]]) || || '''능묘''' ||[[현릉]](顯陵) || ||<|4> '''재위기간''' ||'''{{{#ece5b6 후량 황태자}}}''' || ||미상 ~ [[585년]] [[5월]] || ||'''{{{#ece5b6 제3대 황제}}}''' || ||[[585년]] [[5월]] ~ [[587년]] [[8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소(성씨)|난릉 소씨]] || || '''휘''' ||종(琮) || || '''부모''' ||부황 [[양명제|세종]][br]모후 효명황후 || || '''형제자매''' ||7남 4녀 중 장남 || || '''배우자''' ||황후 채씨 || || '''자녀''' ||2남 || || '''자''' ||온문(溫文) || || '''작호''' ||동양왕(東陽王) → 거국공(莒國公) || || '''묘호''' ||'''[[공종]](恭宗)'''[*A 수나라 말기 저항 세력인 [[소선(당나라)|소선]](蕭銑)이 추존.] || || '''시호''' ||효정황제(孝靖皇帝)[*A] || || '''제호''' ||후주(後主) || || '''연호''' ||광운(廣運, [[586년]] ~ [[587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남북조시대]] [[후량(남북조시대)|후량]](後梁)의 제3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 원래 묘호와 시호가 없었지만, 수나라 말기의 군벌인 [[소선(당나라)|소선]](蕭銑)이 묘호를 공종(恭宗), 시호를 효정황제(孝靖皇帝)로 추존하였다. == 생애 == 소종은 명제 소규와 황후 장씨(張氏)의 [[장남]]으로 [[자(이름)|자]]는 온문(溫文)이었다. 585년 소규가 사망하자 황제가 되었으며, 일찍이 동양왕(東陽王)으로 봉해진 후 황태자로 세워졌다. 소종은 박학하고 재능이 있었으며, 활과 말을 다루는데 소질이 있었고 개성은 호방하였으며 구속됨이 없었다. 586년 [[연호]]를 광운(廣運)으로 고쳤는데 소종이 즉위한 이후에 천하통일을 노리던 [[수문제]] [[양견]]은 [[북주]] 무제 [[우문옹]]이 없앴던 강릉총관(江陵總管)을 설립하고, [[형주|강릉]]에 [[수나라]] 군대를 수둔시켜 소종의 행동을 감시하였다. 587년 양견은 소종을 징소하여 수나라 조정에 입조하게 하였는데 이후 곧바로 후량을 멸망시키고, 소종은 [[수도(행정구역)|수도]] [[시안(도시)|장안]]으로 끌고 와 거국공(莒國公)에 봉했다. 이 때 소종의 숙부인 안평왕 소암(蕭巖) 등 다른 사람들은 일부 거민들을 이끌고 [[진(육조)|진나라]]로 달아났다. 소종은 수나라에 있을 때도 변함없이 신임을 얻었고, [[수양제]] [[양광]]은 즉위 후 소종을 양공(梁公)•내사령(內史令)에 봉했다. 소종의 친족들은 조정에 발탁돼 들어가 관리가 된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그러자 당시의 아이들이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 [[양(육조)|소씨여, 소씨여]] 또 다시 [[왕정복고|일어나는구나!]] 결국 이는 양광이 소종을 시기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마침내 소종은 면직되고 말았고 오래 지나지 않아 여생을 집 안에 있으면서 보내게 되었다. 소종이 언제 죽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죽은 뒤 좌광록대부(左光祿大夫)로 추증되었다. 수나라 말기의 할거 세력 중 하나인 소선(蕭銑)은 소종의 당질이었으며 칭제한 뒤에 소종을 공종(恭宗) 효정황제(孝靖皇帝)로 추존했다. 황후 채씨(蔡氏)는 639년 죽었으며 아들 소현(蕭鉉)은 양성통수(襄城通守), 손자 소의(蕭儀)는 태자복(太子僕)을 지냈으며 증손자 소조(蕭慥)도 [[당나라]] 때 중용되는 등 대를 이어 중용받았다. 현손녀인 소씨(蕭氏)[* 이름은 소패랑(蕭貝娘).]는 당나라 낙주(洛州) 합궁현(合宫縣)의 승(丞)인 위승휴(魏承休)의 아내가 되었으며 708년 사망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소종,version=53)] [[분류:후량(남북조시대) 황제]][[분류:난릉 소씨]][[분류:558년 출생]][[분류:60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