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팔]][[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levator scapulae'' '''}}}[br]{{{#ffffff ''' ''(어깨올림근, 견갑거근)'' '''}}} || |||| [[파일:어깨올림근.jpg|width=100%]] || || 이는 곳[br](origin) || 첫째목뼈에서 넷째목뼈까지의 가로돌기[br](C1~C4 transverse processes) || || 닿는 곳[br](insertion) || 어깨뼈의 안쪽모서리 위쪽[br](superior part of medial border of scapula) || || 동맥[br](artery) || 등쪽어깨동맥[br](dorsal scapular artery) || || 신경[br](nerve) || 등쪽어깨신경과 셋째, 넷째목신경[br](dorsal scapular nerve, C3, C4) || || 기능[br](action) || 어깨뼈를 올림[br](elevation of scapula) || [목차] [clearfix] == 개요 ==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 muscle)은 등뼈에서 일어나 어깨뼈에 닿는 긴 띠 모양의 근육으로, 어깨뼈를 올리는 작용을 하는 등 얕은층(superficial group)의 근육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견갑거근([[肩]][[胛]][[擧]][[筋]])[* [[어깨 견]], [[어깨뼈 갑]], [[들 거]], [[힘줄 근]].]. == 구조 == || [[파일:어깨올림근주변.jpg|width=100%]] || [[파일:어깨올림근뒤쪽.jpg|width=100%]][* 왼쪽은 왼쪽 [[등세모근]](trapezius m.)을 제거하여 깊은쪽의 어깨올림근과 마름근들을 관찰할 수 있게 한 그림이다. 오른쪽에서는 어깨올림근과 마름근들이 등세모근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 || 가쪽에서 본 그림 || 뒤쪽에서 본 그림 || 어깨올림근을 등의 근육으로 생각하면, 닿는곳이 등이 아니라 팔이음부위인 어깨뼈이므로 바깥기원근육(extrinsic mm.)[* 이는곳과 닿는곳 둘 중 하나가 등이 아닌 경우. 등의 얕은층과 중간층이 이에 속한다.]에 속하고, 그 중에서도 [[등세모근]](trapezius m.), [[넓은등근]](latissimus dorsi m.), [[큰마름근]](rhomboid major m.), [[작은마름근]](rhomboid minor m.)과 함께 얕은층 근육에 속한다. 반면 팔의 근육 기준에서는 역시 이는곳이 팔이 아닌 등이므로 바깥기원근육이고, 그 중에서는 깊은쪽이라 마름근들과 함께 깊은뒤팔이음근육(deep posterior thoracoappendicular mm.)에 속한다. 밑쪽 어깨올림근은 겉쪽에 있는 등세모근에, 위쪽 어깨올림근은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에 덮여서 잘 보이지 않는다. 어깨올림근은 네갈래로 C1~C4 가로돌기에서 일어난 후, 하나로 합쳐져 어깨뼈 위각 근처의 안쪽모서리에 닿는다. 이 근육은 뒤목삼각(posterior triangle of neck)의 바닥을 [[머리널판근]](splenius capitis m.), [[중간목갈비근]](middle scalene m.), [[뒤목갈비근]](posterior scalene m.) 등과 함께 이룬다. 이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가지 중 하나인 [[등쪽어깨신경]](dorsal scapular n.)은 C5의 가지로, 어깨올림근 깊은쪽을 지나간다.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등쪽어깨동맥]](dorsal scapular a.)이다. == 기능 == 이름 그대로 [[어깨뼈]]를 올리는 작용이 주가 된다. 이 작용에서의 [[대항근]]은 어깨뼈를 내리는 등세모근 오름부분이고, 협동근은 어깨뼈를 같이 올리는 등세모근 내림부분 등이 된다. 어깨뼈를 돌려 어깨뼈 가쪽각에 위치한 접시오목(glenoid cavity)[* 위팔뼈 머리와 함께 어깨관절을 이루는 곳이다.]을 아래로 기울이는 작용도 하는데, 이 작용을 통해 목뼈를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마름근들이나 [[작은가슴근]]과는 [[협동근]]이 된다. == 관련 질환 == 근육 이상이 생길 시 항강증, 혹은 경부 강직으로 불리는 stiff neck(=neck stiffness)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목이나 등에 가서 붙는 다른 근육들처럼 적절한 [[스트레칭]]을 통해 긴장을 풀어주는 게 중요하다. == 사진 == || [[파일:등판3.jpg|width=100%]] || || '''등 뒤쪽 깊은곳의 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