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MGR-1_Honest_John_rocket.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MGR-1_Honest_John_02.jpg]] 어네스트 존의 발사 모습. [목차] == 개요 == Honest John.[* 정직한 존이라는 뜻이다. 존은 사람이름이고. 정확한 미국식 영어 발음은 어네스트가 아니라, 아니스트 존이다.] [[미국]]에서 개발한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비유도 지대지[* 지상에서 발사하여, 지상에 있는 목표물을 향해 공격하는 무기 공격방식.] [[로켓]]. 유도되지 않기 때문에 [[미사일]]은 아니다. 1950년 5월부터 개발되어 1953년에 실전배치되었다. [[유럽]]에는 1954년부터 배치되었다. == 모델 == 두 가지 모델이 개발되었는데, 다음과 같다. MGR-1A 사거리 48km, 추력 400 kN, 중량 2,720 kg, 직경 580mm, 길이 8.32m. MGR-1B 사거리 37km, 추력 382 kN, 중량 2,040 kg, 직경 760mm, 길이 7.56m.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MGR-3_Little_John_01.jpg]] MGR-3 [[리틀 존]]이라는 소형화 버전도 있다. [[http://en.wikipedia.org/wiki/MGR-3_Little_John|#]] 그러나 굉장히 다목적인 어네스트 존과 달리 1~10Kt의 위력을 내는 W45 핵탄두와 일반 고폭탄 장착만 가능했다. 사거리도 고작 19km이다. == 탄두 == 당연히 일반적인 [[고폭탄]]이 장착 가능하며 그 외에도 W-31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Demonstration_cluster_bomb.jpg]] [[1960년대]]에는 M134라는 제식명의 [[사린]]가스 탑재 [[확산탄]]이 개발되기도 했다. 이 자탄들에는 [[VX]]가스를 탑재하는 것도 검토됐으나 취소되었다. M143이라는 [[생물학 무기]] 탄두도 탑재 가능했다. 이거 한 발이면 80제곱 마일을 오염 지대로 만든다고.. 게다가 사용되는 균이 그 유명한 [[탄저균]] == 운용 == [[파일:attachment/honest20john20rocket20system_ohcw2002dyd.jpg]] 운용 인원은 랜스 미사일에 비해 2배나 더 많은 12명이며, 사거리도 랜스 미사일이 더 길다. 이런 이유로 [[1965년]]에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1973년]]에 [[MGM-52 랜스|랜스 미사일]]로 교체되었으나, 유럽의 [[나토]]군과 미국 [[주방위군]]에서는 [[1982년]]까지 사용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소련]]의 프로그 미사일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1960년대에 [[주한미군]]에서 운용이 되었으며, [[1970년대]]에 1개 [[대대]]분을 받아 운용했으며, [[1979년]]에 미군 최후의 어네스트 존 대대가 철수하였다. 이후 [[한국군]]에서 계속 운용되었다. 한국군에서 운용한 모델은 M-31을 개량한 M-50이며 위력은 줄었으나 사거리는 늘었다. 1980년대 [[현무]] 지대지 미사일을 배치하기 전까지는 [[나이키 미사일|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의 지대지 운용을 제외하면 한국군의 유일한 전략 무기였다. === [[대한민국 육군]] === 한국군에서 공식적으로는 [[1990년]] [[12월 4일]] 퇴역하였으나, [[2010년대]] 초가 되어서야 한국군 유일한 어네스트 존 대대가 드디어 해체되었으며 부대원들은 다른 곳으로 전출되고 그 자리는 다른 부대가 이용중이다. 해체 전에도 부대 내에 [[분대장]](병사) 교육시설이 있어 외부대대 인원의 출입이 간간히 있었다. 공식적으로 축약해서 부를 때는 [[제2포병여단#s-3.1|어존대대]] 혹은 '''쫀대대'''라고 불렀다. 해체를 진행하며 관련 주요 타격지점(3개 중대 각 2지점. 훈련시의 변동지점이 아닌 상시 계측장소가 있었다.)에 대해 풍향풍속만 입력하면 제원이 나오는 엑셀 수식을 각 중대 [[FDC]]들이 모여 만들었다. 수식에는 데이터북에서 자주 쓰이는 정보를 넣어 IF함수, LOOKUP함수 등을 이용해 풍향, 풍속에 해당하는 제원이 나오도록 했다. 기존에는 [[K-9 자주곡사포]]같은 프로그램이 없어서 계산병들이 일일이 [[계산기]]로 수작업 했다. 2015년에 [[군사특기]]가 개정되면서 어네스트 존 운영 특기 자체가 사라졌다. 이제 볼 일은 없다. [* 2008년 WRSA 협약 종료로 받아온 미군 탄약 목록을 보면 어네스트 존 로켓 엔진, 탄두 등을 상당히 많이 받아왔다. 아예 폐기처분했는지는 모르지만, 만약 재고가 있다면 모든 걸 쏟아 붓는 3차 세계대전 전면전시 사용 될 듯 싶다.] 국군 운영 당시 사진들이 꽤 남아있다.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pn=0&num=20473|#]] [[https://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4&pn=5&num=6247|#]] [[분류:로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