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f {{{+1 '''어둠속에 벨이 울릴때''' }}} (1971) [br] ''Play Misty for Me''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lay_misty_for_me.jpg|width=100%]]}}} || || {{{#fff '''장르''' }}} ||[[스릴러]] || || {{{#fff '''감독''' }}} ||[[클린트 이스트우드]] || || {{{#fff '''각본''' }}} ||조 헤임스[br]딘 라이즈너 || || {{{#fff '''제작''' }}} ||로버트 대일리 || || {{{#fff '''촬영''' }}} ||브루스 서티스 || || {{{#fff '''편집''' }}} ||칼 핀지토어 || || {{{#fff '''음악''' }}} ||디 바튼 || || {{{#fff '''출연''' }}} ||클린트 이스트우드[br]제시카 월터[br]도너 밀스[br]존 라치 외 || || {{{#fff '''제작사''' }}} ||말파소 프로덕션 || || {{{#fff '''배급사''' }}} ||[[유니버설 픽처스|[[파일:유니버설 픽처스 로고.svg|width=20%]]]] || || {{{#fff '''수입사''' }}} ||화천 || || {{{#fff '''북미 박스오피스''' }}} ||'''$10,600,000''' || || {{{#fff '''개봉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71년]] [[10월 2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72년]] [[10월 13일]] || || {{{#fff '''상영 시간''' }}} ||102분 (1시간 42분) || || '''{{{#fff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25]] {{{#000,#ddd 청소년 관람불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일:R등급 로고.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1년 미국 영화.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연출, 주연을 맡았으며 그의 감독 데뷔작이기도 하다. [[스토커]]에 대하여 그린 영화로 대중적인 첫 영화로 평가받는다. 일본 개봉 제목은 공포의 멜로디. 어둠 속에 벨이 울릴때라는 제목은 영화 [[블랙 크리스마스]]의 일본 개봉 때 쓰였다. [[오드리 헵번]] 주연의 1967년작 스릴러 "어두워질 때까지 기다려라"(Wait Until Dark)와 일본/국내 제목이 엇비슷하기에, 이 두 작품들을 혼동하는 이들이 많다. == 예고편 == [youtube(9v-q7zr1oSY)] == 시놉시스 == 지역 방송사이지만 그럭저럭 인기를 얻은 라디오 방송에서 DJ를 맡는 데이브에게 한 여성으로부터 'Misty'란 신청곡 요청을 받는다. 이후 계속해서 이 노래를 요청하는 여성인 에블린과 만나게 되고 데이트를 즐기고 잠자리도 같이 한다. 그러나, 이 여성은 데이브에게 강한 집착을 보이기 시작하고, 점차 그녀가 뭔가 이상함을 알게된 데이브는 그녀를 외면한다. 그렇지만 그럴수록 그녀는 점차 이상해져가는데.... == 등장인물 == * [[클린트 이스트우드]] - 데이브 가버 역 * 제시카 월터 - 에블린 드레이프 역 * 도너 밀스 - 토비 윌리엄스 역 * 존 라치 - 맥칼럼 병장 역 * 잭 징 - 프랭크 역 * 아이린 허비 - 마지 역 == 흥행 == 72만 5천달러라는 저예산으로 만들어 북미에서만 106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도 크게 성공하고 평가도 좋다. 광적인 스토커를 연기한 제시카 월터[* 2021년 3월 24일 만 80세로 세상을 떠났다.]는 [[골든글로브]] 여우주연상 후보로 올랐으나 받진 못했다.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e0006522_57a2b41452295.jpg]] [[파일:external/pds21.egloos.com/e0006522_57a2b407ae17c.jpg]] 국내에는 1972년 10월 13일 [[단성사]]에서 처음 개봉해 서울 관객 14만으로 그럭저럭 흥행에 성공했다. == 사운드트랙 == [[로버타 플랙]]이 부른 노래 [[The First Time Ever I Saw Your Face]]가 주제곡으로 쓰였다. [youtube(oYEaxelb4lg)] ||<-6>
{{{#fff '''Play Misty for M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ds21.egloos.com/e0006522_57a2b41b3af8c.jpg|width=100%]]}}} || || 1970년대 국내에도 OST가 정발되었다. || == 기타 == * [[CIC#s-4|CIC]] 비디오에서 1988년에 비디오로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60903_36/jig428_14729099682023pnGq_JPEG/%BE%EE%B5%D2%BC%D3%BF%A1%BA%A7%C0%CC%BF%EF%B8%B1%B6%A7.jpg?type=w2|발매했고]], MBC [[주말의 명화]]에서 1980년 6월 7일 밤 10시 30분에 더빙 방영했으며 KBS [[토요명화]]에서 1989년 7월 8일에 재더빙해 방영했다. * 1990년대 [[MBC]] [[일밤]]에서 하던 [[시네마 천국(예능)|시네마 천국]]에 코믹화하여 패러디했으나 마무리는 암울하게 끝났다. 극중 [[윤상]]을 노리던 스토커로 [[최진실]]이 나왔는데 극중 약혼녀로 좀 비만인 여자 개그맨을 잡아다 고문하는데 묶어두고 밥을 담아 못먹게 약올린다든지 개그스럽게 나왔으나 마지막에 윤상의 뒤를 칼로 내리치는 장면에서 [[로버타 플랙]]이 부른 노래를 틀어주면서 화면이 멈춘 채로 끝난다. [[분류:미국 영화]] [[분류:스릴러 영화]] [[분류:1971년 영화]] [[분류:유니버설 픽처스]] [[분류:클린트 이스트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