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SaggitheDarkClown-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 일어판 명칭 ||<-4>'''[ruby(闇, ruby=やみ)]・[ruby(道化師, ruby=どうけし)]のサギー'''|| || 영어판 명칭 ||<-4>'''Saggi the Dark Clow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3.] || 어둠 || 마법사족 || 600 || 1500 || >'''"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소환 대사 >'''"해치워라 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다크 글라이더!"''' >----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공격 대사 원작에서 [[카이바 세토]]가 사용. 작중에서는 [[어둠의 유우기]]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1화 첫 듀얼 때부터 등장한다.] 원작에서는 소환되자마자 [[어둠의 에너지(유희왕)|어둠의 에너지]][* 원작에서는 OCG 효과와는 달리 지금 기준으로 봐도 말도 안되는 강력한 카드로, 어둠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 '''3배''' 강화시켜주는 효과였다. 장착카드도 아닌 일반 마법카드라 쓰고난 다음 묘지로 보내면 그만인 주제에 효과는 영구적이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어둠의 제너레이터'라는 오리지널 카드로 대체되었다.]와의 협공으로 공격력을 강화하여 유우기의 벽 몬스터를 차례차례로 격파했으나, 이후 이 카드보다 공격력이 높은 [[암흑 기사 가이아]]에 의해 격파되었다.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유우기와 다시 싸울때도 공격 표시로 소환되었으며, 이 때의 카이바는 사기를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용도로 사용했다. 유우기가 이 카드를 쓰러뜨릴 때까지 계속 필드로 꺼내놓고 있다가 이전처럼 유우기가 [[암흑 기사 가이아]]를 소환해 전투로 파괴했고, 결국 바이러스 콤보가 작용하여 유우기는 낮은 능력치의 몬스터만으로 싸워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페가수스 J. 크로포드]]와의 듀얼에서도 소환하여 같은 전법을 시도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페가수스가 이름이 비슷한 마법 카드 '어둠 에너지'를 발동하여 사기의 공격력이 올라가는 바람에 바이러스 콤보가 무산되고 말았다. 이후 똑같이 공격력이 올라간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다크 래빗|다크 래빗]]에 의해 격파. 후반에 페가수스가 발동한 [[카피캣(유희왕)|카피캣]]에 의해 카이바의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가 복사되어 카이바의 덱에 있는 몬스터 대부분이 전멸해버리자, 카이바는 굳이 듀얼을 포기하지 않고 [[죽은 자의 소생]]으로 이 카드를 부활시켰고, 페가수스의 [[데블 박스]]에 의해 피니시를 당하며 카이바가 패배하게 된다.[* 라이프 자체는 남아있었으나 킹덤편 룰에서는 다이렉트 어택은 할 수 없는 대신 몬스터를 낼 수 없으면 자동적으로 패배로 간주한다.] 고공격력의 몬스터로 압박을 가하는 카이바의 덱에선 특이하게도 저조한 스테이터스를 가지고 있었으나 그럼에도 제법 애용한 카드.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에서부터 직접 사용하는 모습은 나오지 않았고 이 카드로 보여주던 매우 인상깊은 전법인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 콤보는 [[블러드 볼스]]같은 공격력이 높은 카드를 [[수축(유희왕)|수축]]으로 공격력을 줄여 쓰는 전법으로 바뀌었다. 사실 [[카이바 세토]]와 생각보다 인연이 깊은 몬스터로, 카이바의 전생인 신관 [[세토(유희왕)|세토]]가 아직 죄인이 아닌 자에게서 강력한 '카'를 꺼내어 강한 힘을 얻는 것을 연구하느라 수상한 자를 닥치는 대로 잡아오라 했을 때 사막으로 도망쳤던 진짜 죄인이 잡혀왔는데 이 자의 마물(카)[* 일종의 정령 정도로 보면 된다. ]가 다름아닌 이 몬스터의 모습을 하고있었다. 이 사람은 사막으로 도망친 뒤로는 죄를 짓지 않아 그리 강한 카는 되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그렇다곤 해도 언젠가는 다시 죄를 지을 수 있다며 그대로 잡아갔다. 이 자는 사막에서 '''[[푸른 눈의 백룡|하얀 용]]의 빛'''을 보고 마을을 찾아올 수 있었다고 하며, 곧 하얀 용의 저주가 있을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에서도 [[카이바 세토]]가 [[어둠의 유우기|아템]]과의 시뮬레이션 듀얼 중 [[대역의 암흑]]에 의해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등장. 공격명은 '다크 글라이드(ダーク・グライド)'. 카드명의 '사기'는 말 그대로 [[사기|사기(詐欺)]][* 일본어로도 '사기'라고 발음한다.]에서 따온 작명으로 추정. 후속 카드인 페텐의 이름을 보면 확실한 듯 하다. [[심슨 가족]] 시즌 30 8화에 패러디되어 언급된다. === 반다이판 === [[파일:SaggitheDarkClown-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ruby(闇, ruby=やみ)]・[ruby(道化師, ruby=どうけし)]のサギー'''|| || 영어판 명칭 ||<-3>'''Saggi the Dark Clow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흑마족 || 600 || 2200 || ||<-4>전투력은 낮지만, 마술을 조종한다.|| ||<-4>'''~룰 ②~'''[br]자신의 카드뭉치 위에서 5장을 뽑아, 패로 삼는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SaggitheDarkClown-DM2-JP-VG.png]]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ruby(闇, ruby=やみ)]・[ruby(道化師, ruby=どうけし)]のサギー'''||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Saggi the Dark Clown'''|| ||<-5><#F8F8A0>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흑마족 || 마법사족 || 600 || 1500 || ||<-5>어디라 할 것 없이 아무곳에나 출현하는 어릿광대. 엉뚱한 동작으로 공격에 대응한다.||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闇・道化師のサギー.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aggitheDarkClown-JP-Manga-DM-NC.png]] [br]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 5권의 81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일어판 명칭=(やみ)道化師(どうけし)のサギー, 영어판 명칭=Saggi the Dark Clown, 레벨=3,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600, 수비력=1500, 효과외1=어디라 할 것 없이 아무곳에나 출현하는 어릿광대. 엉뚱한 동작으로 공격에 대응한다.)] 레벨 3 이하 마법사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수비력이 가장 높다.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인 만큼 [[령사#빙의 해방|빙의 해방]]에 대응하지만, 다른 특수 소환 가능한 몬스터와 서포트를 공유하기는 어렵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0-01-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볼륨(유희왕)|Vol.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1-0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E-05 | [[강철의 습격자|鋼鉄の襲撃者 - METAL RAIDERS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1-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A-10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4-007 | DUELIST LEGACY Volume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K2-005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039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C01-JP021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2-06-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066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039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0-04-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PKB-EN006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 KAIBA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B-EN088 | Speed Duel: Battle Cit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EN066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RD-K066 | '''[[강철의 습격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039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어둠의 어릿광대 페텐 === [[파일:闇・道化師のペーテ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어둠의 어릿광대 페텐, 일어판 명칭=(やみ)道化師(どうけし)のペーテン, 영어판 명칭=Peten the Dark Clown, 레벨=3,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500, 수비력=1200,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어둠의 어릿광대 페텐"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일반적인 유언계 카드. 다만 자기자신만 특소가능한게 좀 문제. [[대타출동]]이랑 좀 비슷할 수도.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와 유사하지만, 타이밍이 한정되어 있는게 난점. 임의 효과라서 타이밍을 놓칠 수 있지만 대신에 패에서도 특소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마법사족이라 [[아캐나이트 매지션]]의 싱크로 소재로 사용이 가능. 현재로선 [[엑시즈 소환]]의 등장으로 채용가치가 늘었다. 물론, 엑시즈 소재에서 효과 발동으로 제거되면 페텐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지만, 엑시즈 몬스터가 효과나 전투로 파괴되면 페텐의 효과가 발동이 가능하기에 필드가 빌 경우, 페텐이 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허공해룡 리바이엘]]과의 효율성이 높다. 또한 타이밍만 놓치지 않으면 효과를 발동할 수 있기에 '''[[어리석은 매장]]으로 묻어도 효과 발동이 가능하다.''' [[종말의 기사]], [[매스매티션]]도 사용 가능. 특히 매스매티션은 레벨도 3인지라 일소권 한번으로 3랭크 엑시즈를 뽑아낼 수 있다. 절판 상태였으나 카이바 스트럭처에서 복각. [[파일:피에_굶주린_칼날!.png]]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완전파괴-제노사이드 바이러스-]]와의 콤보로 [[매지션즈 발키리어]]의 공격에 스러질 때마다 유우기의 덱을 갈려나가게 했다.[* 사실은 발동할 수 없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 문서 참조.] 북미판에서 나온 공격명은 'Bloodlust Slash'.[* 국내 개봉판은 '''피에 굶주린 칼날.'''] 소름돋는 공격명 만큼이나 공격 스타일도 매우 강렬한데, 순식간에 상대방의 뒤로 돌아가 기분나쁘게 웃은 뒤, '''[[칼빵|단검을 꺼내 등을 찌른다!]]''' 쬐끔만 자극적이면 바로 칼날쳐버리는 4kids면서 왠지 이런 장면을 만들었다.[* 아동용으로 마케팅되어서 Y7(7세 이상 시청가)로 매겨진 DM애니와는 달리 PG등급으로 나온 극장판이라서 심의가 덜 빡셌던 듯하다.] 이름은 사기의 영향을 받아, 역시 일본어로 사기나 속임수를 의미하는 페텐(ペテン)을 중간에 장음을 넣어 외국풍 이름으로 만든 듯 하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4-08-0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7-JP005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1-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P04-JP007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06-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KS-JP019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瀬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8-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P1-EN005 | '''EXCLUSIVE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0-04-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PKB-EN019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 KAIBA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10-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KS-EN015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 : SETO KAIB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6-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16-EN017 | OTS TOURNAMENT PACK 1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2-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P1-KR005 | '''EXCLUSIVE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5-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TP04-KR007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Vo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KS-KR019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스트럭처 덱 - 카이바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어둠의 어릿광대가 된 마사히로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asahirotheDarkClown-T2-JP-UR.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리버스=, 한글판 명칭=어둠의 어릿광대가 된 마사히로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やみ)道化師(どうけし)()かしたマサヒロ, 영어판 명칭=Masahiro the Dark Clow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3,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600, 수비력=1500, 효과1=리버스: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리버스 효과 몬스터 1장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2="덱을 믿으며 포기하지 않는 것이 승리의 비결이다!!", 공식사용불가= )] 일본에서 개최된 제 2회 전국대회 우승상품으로 등장한 몬스터.[* 준우승과 3등상품은 각각 [[스컬 비숍#촉루의 사제 야스시|촉루의 사제 야스시]]와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산악의 투사 토모히로|산악의 투사 토모히로]]라는 카드로 전부 입상자들을 모티브로 만든 카드들이다.] 좌측 하단에 기재된 메시지에서 보다시피 공식 듀얼에서 사용은 불가능하다. 패러디 대상과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엄청난 레어카드인지라 2009년 1월에 옥션에 출품되어 10만 2천엔에 낙찰되었으며, 다음 해 2010년 2월 쇼핑 사이트에서 29만 8천엔에 판매되기도 했다. ||수록 시리즈 || ||<(> 2001-03-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2-01 | '''第2回全国大会 優勝賞品'''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