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DarknessApproaches-DM4-JP-VG.png]] || 한글판 명칭 ||'''어둠의 엄습'''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の[ruby(訪, ruby=おとず)]れ'''|| || 영어판 명칭 ||'''Darkness Approaches'''|| ||<-2> 마법 || ||<-2>아군이 소환한 몬스터를 전부 뒷면 상태로 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노 코스트로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뒷면 수비 표시로 하는 효과를 가진 마법 카드. 해당 시리즈에서 기동효과는 뒷면 표시에서 리버스하면 발동하기 때문에 자신의 몬스터 효과를 재활용시켜주는 강력한 효과다. 카이바 덱 버전의 경우 상대에게 4000 데미지를 주는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이 있기 때문인지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대신 [[암흑의 성]]을 유일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attachment/MR-40R.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어둠의 엄습, 일어판명칭=(やみ)(おとず)れ, 영어판명칭=Darkness Approaches, 효과1=패를 2장 버린다. 앞면 표시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 {{{#ffffff '''[[에라타|{{{#ffffff 에라타}}}]]'''}}} || ||'''誤 : [카드 텍스트]''' '''{{{#red 표시 형식은 그대로 하고 뒷면 표시}}}로 한다.'''[br]'''正 : [카드 텍스트]''' '''{{{#red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4902&request_locale=ja|참고]]|| 패 코스트가 너무 커서 안 쓰인다. 뒷면 수비 표시로 변경할 생각이면 코스트 없는 속공 마법인 [[달의 서]]를 쓰면 되니까. 하지만 이 카드는 과거 유희왕의 카드 중 전무후무한 '''뒷면 공격''' 표시로 하는 특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물론 뒷면 공격 표시로는 공격 선언할 수 없다. 이 상황에서는 앞면 공격 표시(반전 소환)나 뒷면 수비 표시(표시 형식을 변경)로 변경하는게 가능하다. 시간이 지나 '''[[링크 소환]]'''이 대두되면서 이 카드가 화두에 올랐다. 왜냐면 링크 몬스터는 '''수비 표시가 아예 없고, 표시 형식 변경도 불가능'''하기 때문. 즉 상대가 소환한 링크 몬스터에게 이 카드를 쓰면 뒷면 공격 표시가 되는데, 표시 형식 변경이 불가능하니 도로 앞면 공격 표시로 바꾸려면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카드의 효과를 써야한다. 만약 이런 카드가 덱에 없다면 엑스트라 덱 몬스터 소환 가능한 엑스트라 몬스터 존엔 몬스터가 이미 존재하니 링크 몬스터의 추가 전개가 불가능해지고, 링크 몬스터 전개가 불가능해지니 다른 엑스트라 덱 몬스터도 소환할 수 없게 된다. 컨트롤러가 치우지 않는다면 엑스트라 덱 몬스터가 봉쇄되는 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링크 소환이 추가된 마스터 룰이 적용될 때 이 카드도 함께 에라타되면서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는 효과로 바뀌었기 때문에 해당 콤보는 이론상으로만 가능했던 콤보가 되었다. 여담으로 [[유희왕 듀얼링크스]]나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경우에는 효과 자체는 상기 에라타된 효과대로이지만 텍스트는 에라타되기 전 그대로인 상태라고 한다.[* 브레인즈 월드가 추가되기 이전의 듀링의 경우엔 링크 몬스터가 없었기에 텍스트를 수정해 두는 걸 잊어버린 걸 수도 있다. 다만 현재는 링크 몬스터가 출시된 듀링과 게임 출시 직후부터 링크 몬스터가 존재했던 마듀 모두 텍스트가 그대로라는걸 생각해 보면 번역 문제일 가능성도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마법의 지배자|Magic Ruler -魔法の支配者-]] || MR-40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DUELIST LEGACY Vol.1 || DL1-029 || [[노멀]] || 일본 || 절판 || || [[마법의 지배자|Spell Ruler]] || SRL-EN04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법의 지배자]] || SRL-K04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유희왕 러시 듀얼|러시 듀얼]] === [[파일:闇の訪れ.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어둠의 엄습, 일어판명칭=(やみ)(おとず)れ, 영어판명칭=Darkness Approaches (미발매), 조건=패 2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또는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몬스터 1장을 뒷면 표시로 바꿔주긴 하지만 아무리 드로우 페이즈에 패를 5장까지 드로우하는 룰임을 고려해도 효과의 영향력에 비해 패 코스트 양이 좀 빡센 편이긴 하다. 수비 표시로 바꾸는 게 목적이라면 [[공격봉인]]을 쓰면 되고, 뒷면 수비 표시로 바꾸는 게 목적이라도 [[시에스타토레로]]라는 더 쓰기 쉬운 카드가 존재한다. 이들과의 차별점이라면 자신 필드의 몬스터나 앞면 수비 표시 몬스터도 뒷면 수비로 바꿔준다는 점. 이로서 [[마장 야메룰러]]의 효과 대책을 안정적으로 해준다는 점은 유용하겠지만, 이 카드를 발동하고 나서 최상급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하자니 패 소모가 극심하다. 전 턴에 미리 세트해놓고 다음 턴에 패를 보충하고 나면 사용하는 밑준비가 필요할지도 모른다. 패 코스트로 묘지에 두는 편이 나은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용도도 가능하겠지만, 이는 더 가벼운 패 코스트를 가진 카드로도 얼마든지 더 쉽게 가능하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아라이 아라타]]의 패에 있던 카드로 처음 등장. 직접 사용되지는 않고 세트 후 [[백격포-블리치 모터]]로 바꿔치기되었다. 이후 29화에서는 [[타자키 갤리언]]이 [[나나호시 란제 & 린노스케|란제]]와의 듀얼에서 사용. [[드릴링 맨드릴]]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란제의 화아 쿠노이치 에트랑제를 세트하는 데에 사용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초속의 러시로드!!|超速のラッシュロード!!]] || RD/KP01-JP04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최강 배틀 덱#s-2.7|最強バトルデッキ アサナ -重騎道の誇り-]] || RD/SBD7-JP025 || [[노멀]] || 일본 || || || [[초속의 러시로드!!]] || RD/KP01-KR04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최강 배틀 덱#s-2.7|최강 배틀 덱 아사나 -중기도의 긍지-]] || RD/SBD7-KR025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달의 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