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장착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종족 장착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마법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cbe8e9db.jpg]] || 한글판 명칭 ||'''어둠의 에너지'''|| ||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エネルギー'''|| || 영어판 명칭 ||'''Dark Energy'''|| ||<-2> 일반 마법 || ||<-2>「어둠」 속성의 몬스터에 한해 {{{#red '''공격력을 3배로 늘려준다.'''}}}|| 원작 코믹스 5권 37화에서 'DEATH-T' 편의 최종전인 [[어둠의 유우기]]vs[[카이바 세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의 1화 내용에 해당한다.]의 듀얼에서 카이바가 사용. 여기서는 '''어둠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을 3배'''로 강화시켜주는 경이로운 효과를 자랑했다. 이를 벽 몬스터로 꺼냈던 [[어둠의 어릿광대 사기]]에게 발동하여 공격력을 1800으로 끌어낸 뒤 유우기의 몬스터 대다수를 간단히 쓸어버렸으나, 공격력이 더 앞서는 [[암흑 기사 가이아]]에게 파괴되었다. 만일 별다른 제약이 없다면 카이바의 하급 몬스터인 [[램프의 요정 라 진]]이나 [[블러드 볼스]]에 사용하면 공격력 5000이 넘어가고 [[F·G·D]]의 공격력을 15000으로 만드는 정신 나간 효과가 되지만, 작중에서는 고작 공격력 600짜리에게 적용시켰기에 카드 낭비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작중 [[무토우 스고로쿠]]도 '마법 카드를 쓰는 방식에 다소 난점이 있다'라 지적할 정도. [[유희왕(TVA)|토에이판 유희왕]]에서도 그대로 등장하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이미 OCG 후에 등장한 터라 같은 효과를 가진 '어둠의 제너레이터'라는 오리지널 카드로 대체되었다. 이후 [[듀얼리스트 킹덤]]에서는 [[페가수스 J. 크로포드]]가 이름이 유사한 '어둠 에너지(闇・エナジー)'라는 카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온다. 필드의 모든 어둠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을 두 배로 하는 효과로 카이바의 어둠의 어릿광대 사기와 자신의 다크 래빗의 공격력을 뻥튀기해 카이바의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를 무력화시켰다. 카드 일러스트의 구도는 [[매직 더 개더링]]의 어둠 전용 아티팩트 카드인 'Reflecting Mirror'를 빼다 박았다. === 반다이판 === [[파일:DarkEnergy-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어둠의 에너지'''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エネルギー'''|| || 영어판 명칭 ||'''Dark Energy'''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2> 마법 카드 || ||<-2>흑마족 몬스터에게만, 공격력에 플러스 800 할 수 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DarkEnergy-DM2-JP-VG.png]] ||<#A0F818> {{{#000 한글판 명칭}}} ||'''어둠의 에너지''' (비공식 번역명)|| ||<#A0F818> {{{#000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エネルギー'''|| ||<#A0F818> {{{#000 영어판 명칭}}} ||'''Dark Energy'''|| ||<-2><#A0F818> {{{#000 마법}}} || ||<-2>악마 등 어둠의 몬스터는 60 퍼센트 파워업 한다!|| DM1에서부터 등장. 1, 2편에서 모든 강화 마법은 공격력 / 수비력을 60% 상승시키는 카드였기에 이 카드도 '60퍼센트 파워 업'이라는 텍스트로 쓰여있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능력 상승치 500이 되어 텍스트도 '500 포인트 파워 업'으로 변경되었다. 악마족이나 언데드족 대부분에 마법사족이나 기계족도 장착할 수 있을 정도로 웬만한 몬스터를 커버할 수 있는 범용성 높은 장착 마법이었으나, 왠지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2#토모사우루스|토모사우루스]]나 [[회색곰 마더]] 같은 몬스터까지 장착 대상에 포함되어있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종족 필드 마법|어둠]] 2장을 융합시키면 이 카드가 되며, 진 듀얼몬스터즈 2에서는 이 카드를 슬롯에 채우면 [[블랙홀(유희왕)|블랙홀]]을 입수할 수 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闇・エネルギー(KC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어둠의 에너지, 일어판 명칭=(やみ)・エネルギー, 영어판 명칭=Dark Energy, 효과외1=악마족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1=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300 올린다.)] 악마족 전용 [[종족 장착 마법]]. 초창기 장착 마법이라 강화 수치는 쥐꼬리만하니, 악마족을 강화시키고 싶다면 더 좋은 다른 카드를 사용하면 된다. 등장 초기에 악마족은 어둠 속성이 대부분이라 [[속성 장착 마법#어둠의 파신검|어둠의 파신검]]과 대상 범위가 겹쳤다. 현재는 악마족도 여러 속성이 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어둠 속성 비율이 높아 문제없이 장착할 수 있다. 악마족 전용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OCG상으로는 마법사족인 [[어둠의 어릿광대 사기]]에게 장착할 수 없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1999-03-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볼륨(유희왕)|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1999-12-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E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0-08-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G-27 | 幻の召喚神 - Phantom God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0-09-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2-17 | [[부스터(유희왕)|Booster R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0-1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67 | EX-R [ 二人対戦用構築済みデッキセット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8-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2-057 | DUELIST LEGACY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C01-JP051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2-03-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B-088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3-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K-020 | [[스타터 덱|STARTER DECK KAIB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B-EN088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OB-K088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K-K020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카이바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타 === [[게임큐브]]로 발매된 '폴스바운드 킹덤'에서는 '다크 에너지(ダーク・エナジー)'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어둠족 공격력을 올리는 아이템으로 7번 사용할 수 있다. == 관련 카드 ==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어둠의 제너레이터 ==== [[파일:NegativeEnergyGenerator-JP-Anime-DM.png|width=5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어둠의 제너레이터, 일어판 명칭=(やみ)ジェネレーター, 영어판 명칭=Negative Energy Generator, 효과1=[어둠] 속성의 몬스터에 한해 공격력을 3배로 올려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 원작의 어둠의 에너지를 대체해 등장한 카드. ==== 어둠 에너지 ==== [[파일:NegativeEnergy-JP-Anime-DM.png]] || 한글판 명칭 ||'''어둠의 에너지'''|| ||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エナジー'''|| || 영어판 명칭 ||'''Negative Energy'''|| ||<-2> 일반 마법 || ||<-2>필드의 모든 "어둠 속성"의 몬스터의 공격력을 2배로 한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페가수스 J. 크로포드]]가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 카이바가 [[어둠의 어릿광대 사기]]로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 콤보를 활용하려 한다는 것을 꿰뚫어보고는, 이 카드를 발동해 공격력을 배가시켜서 바이러스의 발동 대상이 되지 못하게 하여 간단히 콤보를 깨뜨려버렸다. 이후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다크 래빗|다크 래빗]]을 소환한 후 마찬가지로 이 카드의 효과로 공격력을 배가시킨 뒤 사기를 격파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종족 장착 마법, version=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