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ShadowSpell-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어둠의 주박''' (원작)[br]'''어둠의 저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br]'''어둠의 주술''' ([[유희왕 5D's]])|| ||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の[ruby(呪縛, ruby=じゅばく)]'''|| || 영어판 명칭 ||'''Shadow Spell'''|| ||<-2> 일반 마법 || ||<-2>어둠의 사슬은 적의 움직임을 빼앗아, 공격력을 700 DOWN시킨다.|| ||[[파일:ShadowSpell-JP-Manga-DM-NC.png|width=100%]]|| || 어둠의 저주에 구속된 [[푸른 눈의 툰 드래곤]] || >'''"[[푸른 눈의 백룡|푸른 눈]]이여…. [[툰]] 따위의 [[푸른 눈의 툰 드래곤|추악한 몰골]]에 될 바엔, [[얀데레|차라리 내가 부숴 주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 방영판에서는 "푸른 눈의 백룡이여, 그런 추한 모습으로 웃음거리가 될 바에는… 차라리 내 손으로 널 부숴주마.".] >---- >[[카이바 세토]]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카이바 세토]]가 [[카이바 모쿠바]]를 구하기 위해 [[페가수스 J. 크로포드]]와 치룬 듀얼 중 사용. [[툰]] 몬스터는 툰 이외의 공격을 전부 피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지만, 이 카드는 그 움직임 자체를 봉쇄해 전투로 파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능력이 있었다. 이 효과를 [[푸른 눈의 툰 드래곤]]에게 사용해서 공격을 회피하는 것을 막은 뒤, 두 번째로 뽑아 소환한 [[푸른 눈의 백룡]]의 공격으로 파괴해냈다.[* 사실 이 때 페가수스의 필드에 있던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다크 래빗|다크 래빗]]에게 효과를 적용해 공격했더라면 그냥 승리할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이미 다크 래빗은 [[툰|툰 월드]]에 들어가 숨은 상태였으므로 공격이 통했을지는 알 수 없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툰 월드의 안에 있는 몬스터는 일체의 공격을 받지 않는다" 라고 페가수스가 언급해 준다.) 무엇보다 당시 카이바는 푸른 눈이 페가수스에게 [[네토라레|빼앗기고 우스꽝스럽게 망가진]] 상황에 눈이 돌아가 있었다.] 사실 마인드 스캔 능력이 있는 페가수스는 이것이 툰 드래곤을 쓰러뜨릴 수 있는 유일한 카드임을 꿰뚫어보고 있었고, [[푸른 눈의 백룡]]에 대한 그의 사랑에 감탄한 페가수스는 바로 다음 턴에 [[드래곤족 봉인항아리]]를 사용해 두번째 푸른 눈마저 빼앗아가 버렸다. [[유희왕 R]]에서는 [[카드 프로페서|테드 바니어스]]가 [[텐마 겟코]]와의 듀얼에서 사용. 원작과 마찬가지로 마법 카드로 나왔으며, 겟코의 서러브레드 엘프의 공격을 봉쇄했다. [[유희왕 5D's]]에서부터는 OCG 사양으로 등장하며, 과거 회상에서 [[잭 아틀라스]]가 [[새틀라이트]]에서 살던 시절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후도 유세이]]가 [[정크 워리어]]로 공격하자 발동하여 약체화시키고 [[매드 데몬]]으로 역습을 가했다. 실제로는 불가능한 상황인데, 정크 워리어가 매드 데몬을 공격한 순간 매드 데몬은 자신의 효과로 수비 표시로 바뀌어야 하기 때문이다. 4화의 [[레드 데몬즈 드래곤]]과 [[스타더스트 드래곤]] 공존 현상도 있고 5D's 초반에는 몬스터 효과들이 정립되지 않았던 모양. 잭은 후에 [[데먼즈 체인]]이라는 상호 호환 카드도 사용한다. 이후 [[후도 유세이]]가 [[타카스]]와의 듀얼을 위해 죄수들에게 카드를 빌려 구축한 덱에 있던 카드로도 등장하지만, 듀얼 중에는 [[C(체인)|체인]] 덱의 콤보로 사용되지 못하고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다. [[점프 포스]]에서는 [[카이바 세토]]의 구속기로 구현되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ShadowSpell-DM2-JP-VG.png]] || 한글판 명칭 ||'''어둠의 저주'''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の[ruby(呪縛, ruby=じゅばく)]'''|| || 영어판 명칭 ||'''Shadow Spell'''|| ||<-2> 마법 || ||<-2>상대가 소환하고 있는 몬스터 전부를 2레벨 다운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2>적의 필드에 있는 몬스터 전부를, 2레벨 다운시킨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1000 포인트 내리는 효과를 가진 마법으로, [[육망성의 저주]]의 상위호환이기도 하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1852_1.jpg]] || 한글판 명칭 ||'''어둠의 저주'''|| ||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の[ruby(呪縛, ruby=じゅばく)]'''|| || 영어판 명칭 ||'''Shadow Spell'''|| ||<-2> 지속 함정 || ||<-2>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700 내리고, 공격할 수 없으며, 표시 형식의 변경도 할 수 없다. 그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상대 몬스터에게 공격력 약화, 공격 봉쇄, 표시 형식 봉쇄를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 지속 함정. 공격력을 낮추기 때문에 데미지 스텝에도 체인이 가능한 카드. 이 경우에는 해당 전투는 그대로 진행된다. 다만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만 적용되기 때문에 [[육망성의 저주]]처럼 뒷면 표시 몬스터는 지정할 수 없다. 또한 공격력을 낮추는 용도로 사용하겠다면 [[돌진(유희왕)|돌진]]이나 [[수축(유희왕)|수축]]을 쓰는 것이 훨씬 이득이라 잘 사용되지 않는다. 카드의 효과 자체는 [[육망성의 저주]]의 원작 효과와 유사하다. 이 때문인지 [[구속해방파]]의 카드 일러스트에서 문제가 된 [[육망성의 저주]]가 삭제되고 해당 카드로 대체되었다. == 관련 카드 == === [[육망성의 저주]] === === [[고문 바퀴(유희왕)|고문 바퀴]] === === [[데먼즈 체인]]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어둠의 저주, version=37)] [[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