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식홈페이지에서 등장인물 프로필 이미지 가져올 시, https://www.nhk.or.jp/ieyasu/assets/images/cast/이름.jpg 에서 '이름' 부분에 등장인물 페이지 URL 마지막 부분을 붙여넣기 하면 등장인물 프로필 이미지 다운로드 가능. ## 예시 - 이에야스 등장인물 페이지 (https://www.nhk.or.jp/ieyasu/cast/tokugawaieyasu.html) → https://www.nhk.or.jp/ieyasu/assets/images/cast/tokugawaieyasu.jpg [include(틀:일본 드라마 라인업)] [include(틀:NHK 대하드라마 시리즈/2020년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1724f -30%, #81724f)" '''[[일본방송협회|{{{#fff NHK}}}]]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fff 대하드라마}}}]]'''[br]{{{+1 '''어떡할래 이에야스'''}}} (2023)[br]どうする家康}}}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6E3MH4WgAA18gQ.jpg|width=100%]]}}} || ||<-2> '''방송 시간'''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NHK BS 프리미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ackground: #990099; border-radius: 3px; font-size: 0.8em" {{{#ffffff '''NHK BSP'''}}}}}}]]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00분[br][[NHK 종합 텔레비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ackground: #ff2800; border-radius: 3px; font-size: 0.8em" {{{#ffffff '''NHK G'''}}}}}}]] [[NHK 월드 프리미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ackground: #e60012; border-radius: 3px; font-size: 0.8em" {{{#ffffff '''NHK WP'''}}}}}}]][*WP 한국에서도 시청 가능] 매주 [[일요일]] 밤 8시 00분[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매주 [[금요일]] 밤 11시 20분[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출력= )] 매주 [[일요일]] 밤 8시 00분(동부시각) || ||<-2> '''방송 기간''' ||[include(틀:방송중 표시)]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23년]] [[1월 8일]] ~ [[2023년]] [[12월 17일]] [br][include(틀:방송중 표시)]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3년]] [[1월 27일]] ~ || ||<-2> '''방송 횟수''' ||48부작 || ||<-2> '''제작''' ||[[일본방송협회|NHK]] || ||<-2> '''채널'''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NHK 종합 텔레비전|NHK G]] | [[NHK BS 프리미엄|NHK BSP]] | [[NHK BS4K]] | [[NHK 월드 프리미엄|NHK WP]][*WP 한국에서도 시청 가능][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채널J]][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출력= )] [[TV JAPAN]] || ||<|3> '''제[br]작[br]진'''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카와카미 츠요시, 오노 미치, 카토 타쿠, 다나카 사토시, 노구치 유타 등 || || '''극본''' ||코사와 료타[* [[리갈 하이]], [[컨피던스 맨 JP]] 등의 극본을 썼다.] || || '''음악''' ||이나모토 히비키 || ||<-2> '''출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마츠모토 준]]''', [[오카다 준이치]], [[아리무라 카스미]], [[무로 츠요시]], [[노무라 만사이]], [[아베 히로시]] 등}}} || ||<-2> '''해설''' ||[[테라지마 시노부]] || ||<-2> '''스트리밍'''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nclude(틀:TVING 표시)] [[https://www.tving.com/contents/P001742927|▶]] | [include(틀:왓챠 표시)] [[https://watcha.com/contents/tEoj6Wr|▶]] | [include(틀:wavve 표시)]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CR02_DN0000000468|▶]] || ||<-2> '''링크''' ||[[https://www.nhk.or.jp/ieyas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hk_ieyasu, 크기=20)] [[https://instagram.com/nhk_ieyasu?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공식 계정] [[https://instagram.com/jun.matsumoto_ieyasu?igshid=YWVjMmZiZj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주연 [[마츠모토 준]]이 운영하는 계정.]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cynJ47QaWNssVgvK9_ss7tuiiS5zPCV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62번째 작품 ||무로마치 시대 후기부터 에도 시대를 무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그린 드라마 || == 공개 정보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쩌지이에야스 도카이.jpg|width=100%]]}}} || || {{{#fff '''[[도카이|{{{#fff 도카이}}}]] 선행 공개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쩌지이에야스포스터.jpg|width=100%]]}}} || || {{{#fff '''1차 메인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6E3MH4WgAA18gQ.jpg|width=100%]]}}} || || {{{#fff '''2차 메인 비주얼'''}}} || == 기획의도 == ||{{{+1 지금, 가장 기대되는 각본가 중 한 사람인 코사와 료타가 새로운 시점으로, 모두가 아는 역사상의 유명인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생애를 그린다.}}} {{{#f0c420 {{{+1 한 연약한 소년이 난세를 끝낸 기적과 희망의 이야기}}}}}} 나라를 잃고,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와 떨어져 마음에 상처를 입은 외로운 소년 타케치요는, 이마가와가의 인질로서 조용히 생을 마감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카와 사무라이의 열정에 의해 약소국의 주인공으로 살아갈 운명을 받아들이고 [[오다 노부나가]], [[다케다 신겐]]이라는 괴물이 할거하는 난세에 뛰어들었다. 기다리는 건 죽느냐 사느냐 대 위기! 계산 착오의 연속! 인내의 한계! {{{#f0c420 {{{+1 어떡할래 이에야스!}}}}}} 뒷받침도 없고, 풍부한 국토도 없고, 있는 것은 개성파만 모인 가신단뿐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나다 마사유키]], [[이시다 미츠나리]]와 차례대로 나타나는 강자들 희대의 스토리텔러 코사와 료타의 손에 의한 가슴 두근두근, 속도감 넘치는 파란만장한 엔터테인먼트 ||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떡할래 이에야스/등장인물)] {{{#!wiki style="word-break:keep-al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gawaieyasu2.jpg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anobunag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yotomihideyoshi_dosuru.jpg|width=100%]]}}} || ||<:>{{{+1 [[도쿠가와 이에야스|{{{#FFFFFF ''' 도쿠가와 이에야스 ''' }}}]] }}} ||<:> {{{+1 [[오다 노부나가|{{{#FFFFFF '''오다 노부나가''' }}}]] }}} ||<:> {{{+1 {{{#FFFFFF ''' [[도요토미 히데요시|{{{#FFFFFF ''' 도요토미 히데요시 ''' }}}]] ''' }}} }}} || ||<:>[[마츠모토 준]] ||<:>[[오카다 준이치]] ||<:>[[무로 츠요시]] || ||<:> {{{-2 {{{#yellow ''' 주인공 ''' }}} }}} ||<:> {{{-2 [[틀:전국 3영걸|{{{#fff 전국 3영걸}}}]] }}} ||<:> {{{-2 [[틀:전국 3영걸|{{{#fff 전국 3영걸}}}]] }}} ||}}} == 음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mOr122dNj8, width=100%)]}}} || || {{{#white '''오프닝 테마'''}}} || == 방영 목록 및 시청률 == * '''{{{#red 빨간 글자}}}'''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하고, '''{{{#blue 파란 글자}}}'''는 '최저 시청률'을 의미한다. ||
{{{#fff '''회차'''}}} || {{{#fff '''방영일'''}}} || {{{#fff '''부제'''}}} || {{{#fff '''종합'''}}} || || {{{-2 '''제1회'''}}} || 23.01.08 || '''어떡할래 오케하자마[br](どうする桶狭間)'''[br]{{{-2 ● 연출: 카토 타쿠}}} || '''{{{#red 15.4%}}}''' || || {{{-2 '''제2회'''}}} || 23.01.15 || '''토끼와 늑대[br](兎と狼)'''[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15.3%''' || || {{{-2 '''제3회'''}}} || 23.01.22 || '''미카와 평정전[br](三河平定戦)'''[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14.8%''' || || {{{-2 '''제4회'''}}} || 23.01.29 || '''키요스에서 어떡할래![br](清須でどうする!)'''[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13.9%''' || || {{{-2 '''제5회'''}}} || 23.02.05 || '''세나 탈환 작전[br](瀬名奪還作戦)'''[br]{{{-2 ● 연출: 카토 타쿠}}} || '''12.9%''' || || {{{-2 '''제6회'''}}} || 23.02.12 || ''' 속・세나 탈환 작전[br](続・瀬名奪還作戦)'''[br]{{{-2 ● 연출: 카와카미 츠요시}}} || '''13.3%''' || || {{{-2 '''제7회'''}}} || 23.02.19 || '''우리 집[br](わしの家)'''[br]{{{-2 ● 연출: 오노 미치}}} || '''13.1%''' || || {{{-2 '''제8회'''}}} || 23.02.26 || '''미카와 봉기에서 어떡할래![br](三河一揆でどうする!)'''[br]{{{-2 ● 연출: 카와카미 츠요시}}} || '''12.1%''' || || {{{-2 '''제9회'''}}} || 23.03.05 || '''지켜야 하는 것[br](守るべきもの)'''[br]{{{-2 ● 연출: 오노 미치}}} || '''11.8%''' || || {{{-2 '''제10회'''}}} || 23.03.12 || '''측실을 어떡할래! [br](側室をどうする!)'''[br]{{{-2 ● 연출: 오노 미치}}} || '''{{{#blue 7.2%}}}'''[* [[WBC 2023]] 일본 대 호주 경기가 이날 19시부터 있었다.] || || {{{-2 '''제11회'''}}} || 23.03.19 || '''신겐과의 밀약[br](信玄との密約)'''[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10.9%''' || || {{{-2 '''제12회'''}}} || 23.03.26 || '''우지자네[br](氏真)'''[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11.0%''' || || {{{-2 '''제13회'''}}} || 23.04.02 || '''이에야스, 교토에 가다[br](家康、都へゆく)'''[br]{{{-2 ● 연출: 카와카미 츠요시}}} || ''' 11.0% ''' || || {{{-2 '''제14회'''}}} || 23.04.16 || '''카네가사키에서 어떡할래! [br](金ヶ崎でどうする!)'''[br]{{{-2 ● 연출: 카와카미 츠요시}}} || ''' 11.4%''' || || {{{-2 '''제15회'''}}} || 23.04.23 || '''아네가와에서 어떡할래! [br](姉川でどうする!)'''[br]{{{-2 ● 연출: 다나카 사토시}}} || ''' 11.1%''' || || {{{-2 '''제16회'''}}} || 23.04.30 || '''신겐을 화나게 하지 마라[br](信玄を怒らせるな)'''[br]{{{-2 ● 연출: 카토 타쿠}}} || ''' 10.7%''' || || {{{-2 '''제17회'''}}} || 23.05.07 || '''미카타가하라 전투[br](三方ヶ原合戦)'''[br]{{{-2 ● 연출: 오노 미치}}} || '''10.1%''' || || {{{-2 '''제18회'''}}} || 23.05.14 || '''진·미카타가하라 전투[br](真・三方ヶ原合戦)'''[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 '''10.9%''' || || {{{-2 '''제19회'''}}} || 23.05.21 || '''이미 손을 댔으니 어떡할래![br](お手付きしてどうする!)'''[br]{{{-2 ● 연출: 카토 타쿠}}} || '''11.5% ''' || || {{{-2 '''제20회'''}}} || 23.05.28 || '''오카자키 쿠데타 [br](岡崎クーデター)'''[br]{{{-2 ● 연출: 노구치 유타}}} || '''10.4%''' || || {{{-2 '''제21회'''}}} || 23.06.04 || '''나가시노를 구하라! [br](長篠を救え!)'''[br]{{{-2 ● 연출: 카와카미 츠요시}}} || '''10.8%''' || || {{{-2 '''제22회'''}}} || 23.06.11 || '''시타라가하라 전투 [br](設楽原の戦い)'''[br]{{{-2 ● 연출: 다나카 사토시}}} || '''10.8%''' || || {{{-2 '''제23회'''}}} || 23.06.18 || '''세나, 각성 [br](瀬名、覚醒)'''[br]{{{-2 ● 연출:오노 미치 }}} || '''10.2%''' || || {{{-2 '''제24회'''}}} || 23.06.25 || '''츠키야마로 모여라! [br](築山へ集え!)'''[br]{{{-2 ● 연출: 카토 타쿠 }}} || '''10.0%''' || || {{{-2 '''제25회'''}}} || 23.07.02 || '''아득한 꿈 [br](はるかに遠い夢)'''[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 '''10.6%''' || || {{{-2 '''제26회'''}}} || 23.07.09 || '''훌쩍 떠나는 후지 유람[br](ぶらり富士遊覧)'''[br]{{{-2 ● 연출: 카와카미 츠요시}}} || '''10.7%''' || || {{{-2 '''제27회'''}}} || 23.07.16 || '''아즈치 성의 결투 [br](安土城の決闘)'''[br]{{{-2 ● 연출: 카토 타쿠 }}} || '''10.0%''' || || {{{-2 '''제28회'''}}} || 23.07.23 || ''' 혼노지의 변[br](本能寺の変)'''[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 '''12.7%''' || || {{{-2 '''제29회'''}}} || 23.07.30 || '''이가를 넘어라! [br](伊賀を越えろ!)'''[br]{{{-2 ● 연출: 카와카미 츠요시}}} || '''11.5%''' || || {{{-2 '''제30회'''}}} || 23.08.06 || '''새로운 패자 [br](新たなる覇者)'''[br]{{{-2 ● 연출: 노구치 유타 }}} || '''9.4%''' || || {{{-2 '''제31회'''}}} || 23.08.13 || '''사상 최대의 결전 [br](史上最大の決戦)'''[br]{{{-2 ● 연출: 다나카 사토시 }}} || '''10.1%''' || || {{{-2 '''제32회'''}}} || 23.08.20 || '''고마키 나가쿠테 격투 [br](小牧長久手の激闘)'''[br]{{{-2 ● 연출: 카토 타쿠 }}} || '''10.2%''' || || {{{-2 '''제33회'''}}} || 23.08.27 || '''배신자 [br](裏切り者)'''[br]{{{-2 ● 연출: 카토 타쿠 }}} || '''10.1%''' || || {{{-2 '''제34회'''}}} || 23.09.03 || '''도요토미 가문의 신부[br](豊臣の花嫁)'''[br]{{{-2 ● 연출: 오노 미치 }}} || '''11.7%''' || || {{{-2 '''제35회'''}}} || 23.09.17 [* 2023 프랑스 럭비월드컵 일본VS칠레전으로 인한 10일 결방] || '''욕망의 괴물 [br](欲望の怪物)'''[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 '''10.1%''' || || {{{-2 '''제36회'''}}} || 23.09.24 || '''오아이의 일기 [br](於愛日記)'''[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 '''9.9%''' || || {{{-2 '''제37회'''}}} || 23.10.01 || '''작별을 고한다, 미카와 가신단 [br](さらば三河家臣団)'''[br]{{{-2 ● 연출: 카와카미 츠요시 }}} || ''' 10.1%''' || || {{{-2 '''제38회'''}}} || 23.10.08 || '''명 입성[* 일본어 제목은 당 입성인데 채널 j 방송은 명나라 표기, 당 입성은 당시 일본에서 중국은 [[당나라|당]], 한국은 [[고려]]라고 자주 불렀다. 당 입성은 임진왜란을 일컫는 단어이기도 하다.] [br](唐入り)'''[br]{{{-2 ● 연출: 카지와라 토키}}} || '''7.4%'''[* 2023 프랑스 럭비월드컵 일본VS아르헨티나전과 겹쳤다.] || || {{{-2 '''제39회'''}}} || 23.10.15 || '''타이코, 꼴까닥하다. [br](太閤、くたばる)'''[br]{{{-2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 || '''10.4%''' || || {{{-2 '''제40회'''}}} || 23.10.22 || '''천하인 이에야스 [br](天下人家康)'''[br]{{{-2 ● 연출: 노구치 유타 }}} || '''11.1% ''' || || {{{-2 '''제41회'''}}} || 23.10.29 || '''미츠나리의 역습 [br](逆襲の三成)'''[br]{{{-2 ● 연출: 다나카 사토시 }}} || '''10.1%''' || || {{{-2 '''제42회'''}}} || 23.11.05 || '''천하의 갈림길[br](天下分け目)'''[br]{{{-2 ● 연출: 카와가미 츠요시 }}} || '''10.0% ''' || || {{{-2 '''제43회'''}}} || 23.11.12 || '''세키가하라 전투 [br](関ヶ原の戦い)'''[br]{{{-2 ● 연출: 카지와라 토키 }}} || '''11.9% ''' || || {{{-2 '''제44회'''}}} || 23.11.19 || '''도쿠가와 막부 탄생[br](徳川幕府誕生)'''[br]{{{-2 ● 연출:무리하시 나오키 }}} || '''11.0%''' || || {{{-2 '''제45회'''}}} || 23.11.26 || '''두 명의 왕자[br](二人のプリンス)'''[br]{{{-2 ● 연출: 다나카 사토시 }}} || '''11.6% ''' || || {{{-2 '''제46회'''}}} || 23.12.03 || '''오사카의 진 [br](大阪の陣)'''[br]{{{-2 ● 연출:나카무라 쥬유}}} || '''11.6%''' || || {{{-2 '''제47회'''}}} || 23.12.10 || '''난세의 망령 [br](乱世の亡霊)'''[br]{{{-2 ● 연출: }}} || ''' ''' || || {{{-2 '''최종회'''}}} || 23.12.17 || ''' [br]( )'''[br]{{{-2 ● 연출: }}} || ''' ''' || ||<-3> {{{+1 {{{#fff '''전체 평균 시청률'''}}}}}} || {{{#fff '''''-%'''''}}} || ||<-4> {{{#fff '''해당 자료는 [[일본|{{{#fff 일본}}}]] [[간토|{{{#fff 간토}}}]] 지방 기준입니다.'''}}} [[https://ja.wikipedia.org/wiki/%E3%81%A9%E3%81%86%E3%81%99%E3%82%8B%E5%AE%B6%E5%BA%B7|#]] || * 첫회 시청률이 15.4%를 기록했는데, 이 시청률은 역대 NHK 대하드라마 최저 첫회 시청률 공동 2위에 해당한다.[* 또 다른 2위는 2018년작 [[세고돈]]. 1위는 1989년작 카스가노츠보네(14.3%).] * 시청률 추이가 좋지 않다. 이런 추이가 계속되면 그래도 시청률이 좋은 편인 전국시대를 다룬 대하드라마 중에선 평균 시청률 최저 1위를 기록할 수도 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16274666, user=5.7)] [include(틀:평가/Filmarks(드라마), code=10160/14247, user=3.3)]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oj6Wr, user=3.6)]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136778, user=77)]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686433-dousuru-ieyasu, user=7.8)] 1화부터 기존 NHK 대하드라마보다 CG를 많이 쓴다. 특히 대형 LED 스크린을 처음 이용해서 종전 NHK 대하 실내촬영의 답답함을 벗어던지고 큰 스케일로 극을 묘사할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다. 다만 'CG로 너무 떡칠했다. 아직은 CG 품질이 약간 어색하다.'라는 평가는 듣고 있다. 중반 시점까지의 평가는 [[다케다 신겐]] 역의 [[아베 히로시]]와 [[오다 노부나가]] 역의 [[오카다 준이치]]가 매우 준수한 연기를 펼치는지라 이에야스 역의 마츠모토 준이 밀려보인다는 평가가 있다. 더군다나 [[혼노지의 변]]이 극 중반부가 지난 28화에야 일어나기 때문에 남은 20화 동안 혼노지의 변 이후 이에야스 후반기 30여년 인생을 다루기엔 시간이 촉박하지 않느냐는 평가도 있다. 혼노지의 변이 방송된 28화는 전투 장면은 거의 없이 대부분 노부나가의 어린 시절을 회상으로 보여준다거나 노부나가가 이에야스만을 애타게 찾는 장면을 넣어 답답하고 질질 끄는 전개를 보여줬기에 NHK 대하드라마 역사상 최악의 혼노지였다는 비판도 크다. 역대 NHK 대하드라마 혼노지의 변 장면은 전투씬이 꽤 큰 규모로 묘사되었는데 반해, 길이도 짧고 전투 규모도 소박해졌다. 또한 이전 회차까지 노부나가를 죽이기 위해 철저히 준비하던 이에야스가 오이치의 설득 만으로 노부나가 습격 계획을 포기한 개연성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https://www.instagram.com/reel/CvDfv9lPF5f/?igshid=MzRlODBiNWFlZA== |#]] 드라마인 만큼 어느 정도 각색이 되는 것이 당연하지만, 지나치게 현대적인 가족관, 츠키야마도노가 다케다나 이마가와 등 다른 세력들과 일종의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는 장면이나 오이치와 이에야스의 인연, 아네가와 전투에서 아자이와 오다 사이에서 갈등하다 히데요시의 위협 사격으로 오다에 가담하는 이에야스 등 실제 역사와 지나치게 괴리되는 요소들이 많이 존재해 악평을 받았다. 또한 오다 노부나가를 게이처럼 표현하거나 이에야스의 측실이 레즈비언으로 등장하는 등 대부분의 보수적인 NHK 대하드라마 시청자의 정서에 정반대되는 요소들도 등장했다. 노부나가와 이에야스의 배우가 쟈니스 소속이라서 동성애 코드를 넣었냐는 추측도 존재했다. 일본의 연예스포츠지들은 NHK가 쟈니스 팬들을 잡으려고 기존 대하드라마 팬들을 버리는 악수를 뒀다고 평가하고 있다. 다만 전국시대의 성적 가치관은 [[와카슈도]]에서 알 수 있듯이 오히려 이쪽이 고증에 맞는 것[* 당시에는 동성애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을 별종 취급하는 풍토가 있었는데 전국시대에는 대표적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있다. 히데요시가 최고 권력자가 되고 나서도 남색을 밝히지 않자 가신들이 히데요시에게 "제발 좀 남자도 좋아하시라"고 간언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 지금처럼 일본에서 동성애를 좋아하는 사람이 성소수자 내지는 오타쿠 취급을 받게 된 것은 [[일본 제국]] 성립 이후로 일본인들의 가치관이 급변하면서부터였다.]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기존의 역사와 괴리가 큰 점이 지적받고 있어 고증을 위해 이런 요소를 넣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엄밀히 말하면 게이스럽다가 아니라 오카마스럽다는 말이 맞고 당연히 오다 노부나가의 원래 성격과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와카슈도는 사실상 여자 대신 (여자 역을 하는)어린 소년을 성인 남성의 침실에 들이는 것이므로 실제로는 일반적인 동성애와는 차이가 있다.] 그나마 외적 고증에 있어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드라마)|드라마 도쿠가와 이에야스]] 때보다 발전했다. 특히 드라마 도쿠가와 이에야스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갑주가 전국시대 초중기에나 실전용이었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활약했던 전국시대 말기 및 에도 시대 초기에는 의장용이었던 마루도구소쿠로 묘사된 것과 달리 본작에서는 고증에 맞게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갑주가 당세구족으로 묘사되었다. == 기타 == *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단독 주인공으로 하는 대하드라마는 198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드라마)|도쿠가와 이에야스]] 이후 40년 만이다. 2000년 대하드라마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에도 아들 [[도쿠가와 히데타다]], 손자 [[도쿠가와 이에미츠]]와 주인공이 되기도 했었다. * [[2022년]]에 방영된 [[가마쿠라도노의 13인]] 최종회 도입부에 본작의 주인공인 이에야스가 [[1564년]] [[미카와]]에서 [[가마쿠라 시대]]의 역사서 [[아즈마카가미]](吾妻鏡)를 읽는 장면으로 특별출연 하였다. 실제로 이에야스가 오다와라 정벌 이후의 일이긴 하지만 아즈마카가미의 호조본을 보유하고 매우 아꼈던 것을 생각하면 매우 적절한 연결.[[https://youtu.be/YW5A-b-WnXY|#]] * 드라마의 제목이 제목인만큼 이에야스와 가신단의 회의 장면에서 가신단끼리 여러 의견을 주고받다가 마지막에는 모두가 이에야스를 바라보며 결정을 촉구하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 금요일 11시 20분 채널J 한국어 자막본에서는 NHK 본방송에 나오는 오프닝이 생략되어 방영된다. 이는 채널J에서 방영된 [[료마전]]도 마찬가지.[* [[가마쿠라도노의 13인]]은 오프닝 생략없이 풀버전으로 보여준다.] * NHK 본방송에 나오는 오프닝 영상은 시간이 지날때마다 바뀐다. 1화부터 17화 까지의 오프닝은 유소년 에서 청소년 까지의 이에야스를 그리는 초기를 추상적으로 표현하고,18화부터 34화까지의 오프닝은 인간의 욕심 등에 농락되어 갈등하는 이에야스를 그리는 중반기를 표현한다. 35화부터 최종화 까지는 난세를 넘어 천하인이 된 이에야스의 눈에는 백성,마을 지켜보는 후지산을 표현했다고 한다.[[https://youtu.be/gypYvQd2_XI?si=kYcrTOMKdniAZ3g4|#]] * 일본 전국시대 배경 사극을 찍는 남성 배우들의 [[딜레마]]기도 한 사카야키(月代)[* 전근대 일본 성인 남성의 헤어스타일 중 하나로, 챠센마게 또는 [[촌마게]]를 할 때에 이마부터 정수리까지 면도하는 것을 뜻한다.]가 초~중반에는 나오지 않아[* 여담으로 사카야키는 아니지만, 역대 [[NHK 대하드라마]] 중 작중 담당 배역이 [[출가]]를 하게되자 실제로 머리를 완전 삭발한 배우는 있다. 21세기를 기준으로 하면 [[오카다 준이치]]([[쿠로다 칸베에]] 역)와 [[마츠야마 켄이치]]([[타이라노 키요모리]] 역).--둘 다 공교롭게도 이 작품에 출연하게 됐다--] 사실상 포기한... 줄 알았으나, 이후 사카야키를 한 노부나가의 모습이 공개되었고, 26화부터는 이에야스를 포함하여 미카와 가신들이 단체로 사카야키를 하고 나온다. * 초반부터 [[미카타가하라 전투]] 전까지는 약소 세력 다이묘다운 묘사로 지휘관급 무장들도 제대로 된 투구를 쓰지 않고 나오거나 아시가루 같은 하급 무사들은 다이묘 소속 정식 무사인지 산적인지 헷갈릴 정도로 빈약한 무장과 거지꼴을 보여주었다. 특히 [[사카키바라 야스마사]]의 갑주가 특히 거지꼴이었다. 도쿠가와 가문의 문장인 접시꽃 깃발도 거친 삼베같은 천에 대충 그려 넣은걸로 묘사 되었으며 제대로 된 무구와 깃발을 갖춘 화랴했던 이마가와, 오다, 다케다 가문과 비교될 정도로 궁색한 모습이었으나 미카타카하라 전투 직전을 기점으로 가신들도 이제 제대로 된 투구와 갑옷을 착용하기 시작했다. 거기에 평상시 입은 옷 또한 초반부엔 무늬가 없는 거의 누더기에 가까운 옷들을 입었지만 시간이 지나서 점점 세력이 커짐과 동시에 그의 가신단 또한 평상시 옷들이 이전보다 깔끔하고 다양한 무늬가 그려진 옷들을 착용하게 되었다. * 한국에서는 NHK 월드 프리미엄으로도 송출되지만, [[채널 J]]에서 판권을 구입하여 2023년 1월 27일부터 한국어 자막본으로 방영중이다.[[https://channelj.co.kr/program/view/?drama&bsID=42&pro=429|#]] * [[전국 3영걸]]이 이 드라마의 주요한 등장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각각 노부나가의 정실 부인 [[노히메]], 히데요시의 군사 [[구로다 간베에]] 등이 과감하게 등장인물 목록에서 빠졌다.[* [[군사 간베에]]에서는 수시로 간베에와 이에야스가 마주하는 장면들이 나오지만 그 것은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특유의 주인공 보정이라 봐야할 것이다.] 대표적으로 이 둘의 경우 이에야스와 크게 접점이 없는 인물이기 때문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 노히메의 경우 사망연도가 불확실한 경우도 있는 듯 하다. 2023년에 이 드라마의 극본가인 코사와 료타가 노부나가와 노히메 부부를 소재로 만든 '레전드 앤 버터플라이'를 집필하기도 했으나 흥행에는 실패했다.] 간베에는 나가마사가 등장하기도 하고 워낙 굵직한 업적을 남겼는지라 언급 정도는 되겠지만 노히메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공교롭게도 노히메를 등장시키지 않음으로서 작중 노부나가의 동성애적 면모가 더욱 부각되었다.] 또한 이외에도 [[마에다 토시이에]]는 노부나가 때에는 등장하지 않다가 히데요시 정권 때 원로로서 등장할 예정인데다가[* 다만 이 인물은 의외로 다른 드라마에서도 분량이 적은 경우가 종종 있어왔다. [[공명의 갈림길]]에서는 히데요시 말년 시점에 카메오로서 한 장면만 등장하며, [[군사 칸베에]]와 [[사나다마루(드라마)]]에서는 히데요시 생전 코빼기도 안 비추더니 히데요시 사후에 잠깐 등장하고 퇴장하며, [[기린이 온다]]에서는 젊은 시절 모습만 잠깐 등장한다. 실제 인물이 거물급이었던 것과는 별개로 히데요시의 측근이자 이에야스의 대항자 포지션 모두 [[이시다 미츠나리]]와 겹치다보니 분량이 대폭 줄어드는 듯 하다.] [[니와 나가히데]]와 [[이케다 츠네오키]]는 [[기요스 회의]] 즈음에서야 등장하고, 정작 그 회의의 핵심 인물이었던 [[오다 노부타카]]는 아예 등장하지 않으며[* 이 드라마에서 노부타카는 노부나가의 손자 산보시와 놀고있었다.] [[다케다 신겐]]의 가신으로는 [[오부 마사카게]]와 아나야마 바이세츠 두 사람만 등장하는 등, 실제 역사에서는 비중있던 인물이라도 이야기 전개에 있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거나 불필요하면 가차없이 배제된다. 사실 이 작품 뿐만 아니라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특성상 실제 역사에서 얼마나 중요한 인물이든, 주요 인물과 가까운 인물이었던 간에 이야기 전개에 불필요하면 없는 사람 취급하거나 언급만 시키는 케이스는 종종 있어왔기 때문에 특별한 케이스는 아니다. 예를 들어 [[독안룡 마사무네]]의 경우에는 주요 배경이 [[도호쿠]]에 위치한 오우(奥羽)[* 무쓰국(陸奥国)의 별칭인 오슈(奥州)와 데와국(出羽国)의 별칭인 우슈(羽州)를 통틀어 일컫던 용어]이기 때문에 '''[[오다 노부나가]]가 등장하지 않는다.''' 히데요시와 마사무네가 극중에서 대면한 것도 오다와라 정벌부터이다.[* 거꾸로 [[사나다마루(드라마)|사나다마루]]에서도 이 무렵부터 마사무네가 등장한다.] * 하타지루시(旗印)[* 센고쿠 시대 무장의 군기(軍旗)], 문막(門幕), 진막(陣幕)같은 곳에 쓰이는 도요토미 히데요시 가문의 가몬(家紋) 디자인은 [[:파일:하타지루시1.jpg|군사 간베에]], [[:파일:하타지루시2.jpg|토시이에와 마츠]], [[:파일:하타지루시3.jpg|천지인]], [[:파일:기린이 온다 쿠로다 칸베에.jpg|기린이 온다]], [[:파일:하타지루시4.jpg|사나다마루]] 등의 미디어 매체와 [[https://ja.wikipedia.org/wiki/%E8%B1%8A%E8%87%A3%E7%A7%80%E5%90%89#/media/%E3%83%95%E3%82%A1%E3%82%A4%E3%83%AB:Takamatsumizuseme.jpg|다카마츠성 수공 축제의 그림(高松城水攻築堤の図)]]과 같이 고시치키리몬(五七桐紋)에 붉은색 바탕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해당 작품에서는 33화 기준으로 하타지루시에 고시치키리몬을 내걸고는 있지만 붉은색이 아닌 [[:파일:20230820s00041000315000p_view.webp|노란색]]을 내걸고 있다. 37화부터 히데요시가 전국을 사실상 통일하면서 도요토미 정권이 본격 출범되고 그에 따라 고시치키리몬의 색상도 [[:파일:ieyasu-2-700x465.jpg|붉은색]]으로 바뀌었다. * 주연 [[마츠모토 준]]의 소속사와 관련된 논란인 [[쟈니 키타가와 연습생 성착취 파문]]으로 인해 NHK의 이나바 노부오 회장이 "쟈니스 사무소 소속 탤런트에 신규 출연의뢰 당분간 안 한다"고 밝히면서 본작 이후로는 당분간 쟈니스 소속 연예인의 섭외가 다소 힘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https://www3.nhk.or.jp/nhkworld/ko/news/443559/|#]] * 38회 예고에서 우키타 가문의 전함이 바다에서 포격을 받는 장면이 나왔다. 이로서 [[임진왜란]] 당시 해전이 짧게나마 직접적으로 묘사될 것으로 보였으나[* 작 중 나온 [[안택선]]에 [[용]]머리가 달려있어 [[거북선]]으로 착각한 한국인 시청자들도 있었다.] 실제로 해전 장면이 나오지는 않았다. 다만 최근의 트렌드대로 히데요시의 조선 침공이 민생을 도탄에 빠뜨린 어리석은 선택이라는 점은 계속 언급되며 이에야스가 히데요시에게 그걸 지적하는 장면도 나온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 2023년 10월 11일 일본 주간지 [[주간문춘]]에서는 [[마츠모토 준]]이 [[오카다 준이치]] 등 다른 배우들의 출연분에 간섭하거나 대본을 고치고 스텝진들에게 갑질을 시전했다는 보도가 나와서 논란이 있었다. 이 보도에서는 마츠모토에 의한 '각본개악'의 상세 외에, 마츠모토가 스태프들을 가혹한 말로 갑질하는 장면, [[오카다 준이치]]의 출연을 꺼려 했던 경위[* 마츠모토 준은 '쟈니스 대하'처럼 생각되면 득이 없기 때문이라며 오카다의 출연에 난색을 표했고 후지시마 쥬리 케이코 쟈니스 전 사장 등이 필사적으로 설득해 출연했지만 마츠모토 준은 오카다 준이치가 튀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고 NHK 프로듀서는 마츠모토 준의 의향을 헤아려 오카다 준이치의 출연 장면을 줄였다는 내용이다.], [[아리무라 카스미]]와의 "시즈오카 투어"를 둘러싼 파문 등, 마츠모토가 '어떡할래 이에야스'의 현장에서 일으킨 수많은 문제를 6페이지에 걸쳐 보도하고 있다.[[https://bunshun.jp/articles/-/66346|#]] 이 보도에 따르면 (NHK는 부정하고 있지만) 마츠모토가 대본을 자주 고치고 연출을 자주 변경해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마츠시게 유타카]]로부터 '코사와씨의 각본 그대로 재밌으니까 이상하게 고치지 마라'라는 핀잔을 들은 적도 있지만 이후에도 개악은 계속되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문춘의 10월 22일 보도에 따르면 마츠모토 준이 해당 작품에 출연이 내정되어 있던 후배 [[Snow Man]]의 멤버 [[미야다테 료타]]의 기용에 난색을 표시해 출연이 무산되었다는 내용도 나왔다.[[https://bunshun.jp/articles/-/66470|#]][* 쟈니스 탤런트 캐스팅의 최종 결정권자는 기본적으로 후지시마 쥬리 케이코지만, 마츠모토 준 클래스의 톱스타가 되면 그의 뜻이 존중되기도 한다는데 미야다테 료타는 쥬리와 대립 관계에 있던 [[타키자와 히데아키|타키자와파]]였고 쥬리는 미야다테 료타와 거의 접점이 없기도 해서 마츠모토 준에게 반론할 만한 마음이 없었다고 한다. 주간문춘은 NHK에 취재해 마츠모토 준이 미야다테 료타의 출연을 거부해 기용을 취소한 것은 사실인지 확인했는데 NHK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정했으며 스마일업(구 쟈니스 사무소) 측은 최종 각본, 연출 방향의 모든 결정은 제작 총괄에 맡기고 있다고 답변했다 한다.] [각주] [[분류:NHK 대하드라마 시리즈]][[분류:2023년 드라마]][[분류:센고쿠 시대/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