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함경북도]][[분류:1952년 설치된 행정구역]] [include(틀:함경북도의 시군)] {{{+1 漁郞郡 / Ŏrang County }}} ||<-2> {{{+2 어랑군}}} [br] 漁郞郡 / Ŏrang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1,340㎢. || || 광역시도 || [[함경북도]] || || 시간대 || UTC+9 || || 인구 || 87,757명 (2008) || ||<-3><:>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어랑군)] || [목차] == 개요 == [[함경북도]]의 군. 면적 1,340㎢. 어랑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그냥 [[어부|고기 잡는 사람]]이 많다고 해서 어랑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 참 심플한 네이밍센스지만 [[여진족|여진]]어로 '[[호수]]'를 뜻하는 말이라는 설도 있다. 그리고, [[신고산타령]]의 후렴구에 나오는 '어랑 어랑 어허야~' 가 바로 어랑군을 의미한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당시 [[경성군]]에서 주남면, 주북면(현 어랑읍), 어랑면, 어대진읍을 떼 와서 신설한 군이다. 어째서 어대진이 아닌 어랑에서 따 왔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아무래도 [[평라선]]이 어대진읍을 통과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을 것이다. ([[어대진역]]이 있긴 하지만 어대진읍에서 상당히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군을 크게 보면 ㄴ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어랑군을 이루고 있는 면 중에서 가장 큰 면이었던 주남면의 경계선이 그렇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군의 경계선이 그렇게 그려지게 된 것. 게다가 군의 동서 길이는 71km인데 남북 길이는 19km밖에 안 된다. 전형적인 동해안의 행정구역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군인데, 서쪽으로 갈수록 교통편도 매우 불편하고 사람이 살기도 아주 어렵다. 특히나 이 군은 다른 군보다도 심한 편인데, 이는 군 서쪽 경계선에 궤산봉(机山峰, '''2,277m'''), 투구봉('''2,335m'''), 설령(雪嶺, '''2,272m'''), 궤상봉(櫃上峰, '''2,335m'''), 괘상봉(掛上峰, '''2,139m'''), [[만탑산]](萬塔山, '''2,208m''') 등이 주루룩 서 있기 때문. 간단하게 말하면 '''해발 2,000m가 넘는 산들이 굴비 엮이듯이 줄줄이 늘어서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군의 중심지는 모조리 동쪽으로 극도로 치우쳐 있다. 게다가 모든 '''리'''의 중심지도 동쪽에 집결되어 있다. (군이 아니라 리 단위인데도 그렇다!) 가로 15km 세로 15km 정도의 작은 사각형에 모든 마을이 다 들어갈 정도니 서쪽이 얼마나 상황이 열악한지는 불 보듯 뻔한 상황. 교통편 역시 그 험한 산세 때문인지 철도고 도로고 예외없이 동쪽을 스쳐 지나가는 것이 전부이다. 주요 하천은 어랑천·주남천·주북천이다. 이 하천들은 앞서 언급된 서부에 있는 험준한 함경산맥에서 발원하는데 어랑천 하류는 명간천과 합류하여 함경북도 동해안에서 가장 큰 평야를 이룬다. 동해안에는 장연호·무계호 등의 자연호수가 있다. 여담으로 [[함경북도]]에서 [[청진시]], [[회령시]]에 이어서 3번째로 큰 행정구역이다. 군 중에서는 가장 넓은 것. [[청진공항]]이 이 군 어랑읍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어랑역에서 서쪽으로 약 400m 떨어진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는데, 1935년 개장한 이래로 광복되기까지는 이 공항의 이름이 다름아닌 어랑 비행장이었기 때문. == 인근 행정구역 == || [[연사군]] |||| [[경성군]] ||<|3><:> [[동해|동 해]] || ||<|2><:> [[백암군]] |||| '''어랑군''' || || [[길주군]] || [[명간군]] || {{{#f6f6d8 ■}}} [[함경북도]] 소속 {{{#f6d8d8 ■}}} [[량강도]] 소속  == 교통편 == ||<:> 철도 || [[평라선]] || [[봉강역]]{{{#ffffff }}} [[어대진역]]{{{#ffffff }}} [[어랑역]]  || || 도로 || [[7번 국도]] || [[온성군]] - [[경성군]] - 두남리 - 어랑읍 - 룡평리 - 지방리 - 팔경대리 - 수남리 - [br] 량견리 - [[명간군]] - ... - [[부산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1읍 1구 20리로 이루어져 있다. 상세한 관할 구역의 모습은 이 [[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17382427|링크]]를 참조. 구체적인 읍, 로동자구, 리의 경계를 모두 북한에서 공개했다. |||| 어랑군의 행정구역 || || 읍 || 어랑읍 || || 로동자구 || 어대진구{{{#ffffff }}}  || || 리 || 두남리{{{#ffffff }}} 량견리{{{#ffffff }}} 룡연리{{{#ffffff }}} 룡전리{{{#ffffff }}} 룡평리{{{#ffffff }}} 무계리{{{#ffffff }}} 봉강리{{{#ffffff }}} 부암리{{{#ffffff }}}[br] 부평리{{{#ffffff }}} 삼광리{{{#ffffff }}} 소요리{{{#ffffff }}} 수남리{{{#ffffff }}} 운곡리{{{#ffffff }}} 이엄리{{{#ffffff }}} 이향리{{{#ffffff }}} 지방리{{{#ffffff }}}[br] 칠향리{{{#ffffff }}} 팔경대리{{{#ffffff }}}화룡리{{{#ffffff }}} 회문리{{{#ffffff }}} || === 행정 구역의 변화 === 기록 순서는 구 시/군 - 구 읍/면 - 현재의 읍/동/리/로동자구 순서. 현 읍/동/리/로동자구의 중심 위치가 어딘지에 따라서 서술하였다. * 구 경성군 지역 * 주북면 * 어랑읍 * 두남리 * 용연리 * 부암리 * 운곡리 * 화룡리 * 회문리 * 어대진읍 * 어대진로동자구 * 어랑면 * 용평리 * 무계리 * 봉강리 * 수남리 * 이엄리 * 지방리 * 팔경대리 * 주남면 * 용전리 * 부평리 * 삼향리 * 소요리 * 이향리 * 칠향리 * 구 명천군 지역 * 동면 * 양견리 == 출신 인물 == * [[이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