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크 웹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ffff '''{{{+1 어메이징 메리}}}''' (2017)[br]''Gifte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1_08_16__59b1fb90bbdba.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코미디]] || || '''감독''' ||[[마크 웹]][* [[500일의 썸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실사영화 시리즈]]의 감독으로 유명하다.] || || '''각본''' ||톰 플린 || || '''제작''' ||카렌 룬더[br]앤디 코엔 || || '''출연''' ||[[크리스 에반스]], [[맥케나 그레이스]] 외 || || '''음악''' ||롭 시몬센 || || '''제작사''' ||TSG 엔터테인먼트[br]FilmNation EntertainmentGrade[br]A Entertainment[br]Day Day Films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서치라이트 픽처스|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세기 폭스 코리아]] || || '''스트리밍'''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7년]] [[4월 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10월 4일]] || || '''상영 시간''' ||101분 || || '''제작비''' ||'''70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24,801,212''' (최종) || || '''월드 박스오피스''' ||'''$43,069,254''' (최종)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4,777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 상영 등급}}}]]''' ||{{{#ffffff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7년]] 개봉한 [[미국 영화]]. [[대한민국]]에서는 [[2017년]] [[10월 4일]]에 개봉하였다. == 예고편 == [youtube(m43lgdvyqZg)] == 시놉시스 == >이제 막 초등학교에 갈 나이가 된 메리는 [[플로리다]]에서 선박을 수리하며 살아가는 외삼촌 프랭크와 고양이 프레드와 살고 있다. 조카바라기인 삼촌과 엄마처럼 챙겨주는 이웃 로버타 아줌마 사이에서 자란 메리는 지금껏 홈스쿨링을 통해 배워왔지만 삼촌은 평범한 나이 또래의 생활을 배워오라며 반 억지로 학교로 입학시켜 버린다. 그리고 이를 지켜보던 로버타는 "데려가려 할지도 모른다"라며 걱정스런 모습을 보이는데.... > >등교 첫날 수학 수업시간, 메리는 아이들에게 덧셈을 가르치던 담임 선생 보니에게 따분한 수업이라고 불평하고, 3자리 수의 곱셈의 답과 그 답의 제곱근까지 암산으로 계산하는 천재적인 능력을 보여준다. 메리를 데리러 온 프랭크는 유야무야 얼버무리지만... > >구글 검색창에 메리와 프랭크의 성(姓)을 검색해본 보니는 메리의 부모에 대한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된다. >바로 천재적인 수학자의 딸이라는 것! == 등장인물 == * [[크리스 에반스]] - 프랭크 애들러 역 * [[맥케나 그레이스]] - 메리 애들러 역 * 린지 덩컨 - 에블린 애들러 역 * [[제니 슬레이트]] - 보니 스티븐슨 역 * [[옥타비아 스펜서]] - 로버타 테일러 역 * 글렌 플러머 - 그렉 컬린 역 * 엘리자베스 마블 - 글로리아 데이비스 역 * 존 스크라로프 - 시모어 샹크랜드 역 * 조나 샤오 - 리후안 역 * 줄리 앤 엠메리 - 팻 골딩 역 * 키어 오도널 - 브래들리 폴라드 역 * 마이아 모스-파이프 - 아만다 디본스 역 * 브로디 로즈 - 리키 하먼 역 * 조 크레스트 - 케빈 라센 역 * 존 M. 잭슨 - 에드워드 니콜스 판사 역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gifted, critic=60, user=7.5)]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gifted_2017, tomato=73, popcorn=85)] [include(틀:평가/IMDb, code=tt4481414, user=7.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gifted-2017, user=3.7)]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93vGe, user=3.7)]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43469, expert=, audience=9.08, user=9.23)]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04484, user=8.3)] == 흥행 == === 대한민국 === 꽤나 좋은 흥행 성적표를 받았다고 한다. 단 우리나라에선 아쉽지만 큰 흥행을 거두지는 못했다. 상영관이 놀라울 정도로 극소수였고, 네이버 영화 평점에서도 상영관에 대한 불만이 많다. 한국 영화 [[남한산성(영화)|남한산성]]이 하루전에 개봉한 영향도 크다. === 북미 === 미국의 가정 환경에 대한 고찰을 할 수 있는 영화라서 그런지 미국인들의 공감을 얻었다. 미국은 극장보단 주로 IPTV같은 가정에서 영화를 가족끼리 시청하는 데 어메이징 메리는 그런 미국 환경에 가족영화로서 자리잡은 듯 하다. 어메이징 메리에선 천재 아이에 대한 [[양육권]] 분쟁을 화두로 잡는데 미국에선 흔한 소송중 하나가 양육권 분쟁이다. == 여담 == * 수학도나 과학도 입장에서 봤을 때는 다소 불편한(??) 장면이 여러 개 있다. [각주] [[분류:2017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서치라이트 픽처스]][[분류:미국의 독립영화]][[분류:마크 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