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튜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싱크론)]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601_1.jpg]] || 한글판 명칭 ||<-4>'''언논 싱크론'''|| || 일어판 명칭 ||<-4>'''アンノウン・シンクロン'''|| || 영어판 명칭 ||<-4>'''Unknown Synchron'''|| ||<-5> [[싱크로 소환/튜너|튜너]]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기계족]] || 0 || 0 || ||<-5>"언논 싱크론"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듀얼 중에 1번밖에 할 수 없다.[br]①: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후도 유세이]]가 [[안티노미]]와의 듀얼에서 불러낸 새로운 싱크론. [[익스트림 빅토리]]에서 등장. 능력치는 타고났다. 레벨 1이라 [[원 포 원]]에 대응하며 공격력 0의 기계족이라 [[기계 복제술]]에, 어둠속성이라 [[다크 버스트]], [[어둠의 유혹]] 등의 카드에도 대응. 거기다 [[싱크론]] 몬스터라 [[조율(유희왕)|조율]], [[액셀 싱크론]]의 효과도 받을 수 있는 둥... 효과는 [[사이버 드래곤]]과 같은 패 특수소환. 과거에는 위 카드들의 서포터를 다 받으면서도 자체 효과로 제법 빠르게 필드로 나왔던지라 [[퀵댄디]] 등의 [[싱크로 소환|싱크로]] 특화 덱에서 [[그로우업 벌브]] 다음으로 애용되던 카드였다. 하지만 [[제트 싱크론]] 같은 레벨 1 튜너 경쟁자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환경의 가속화로 사이버 드래곤 류의 특수소환이 그다지 빠른 소환법으로 취급받지 못하게 되다보니 엎친데 덮친 격 듀얼 중 1회 사용 제약까지 있는 이 카드는 자연스럽게 도태되고 말았다. 그래도 사용한다면 아직도 은근 나쁘지는 않다. 4축 엑시즈를 중심으로 돌리는, 이를테면 [[가제트(유희왕)|가제트]]같은 덱에서는 이 카드를 특수소환하고 [[양철 금붕어]]나 골드 가제트, 실버 가제트 등과 연계해 또다른 가제트를 소환하면 쉽게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소환할 수 있다. 그 외로도 제트 싱크론 때문에 조금 밀리는 감은 있으나 종족 등을 공유하는 싱크로덱([[디포머]], [[자동기계(유희왕)|자동기계]], [[스크랩(유희왕)|스크랩]] 등)에서 넣는 것도 나쁘지 않다. 제트 싱크론과 차별화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묘지 쌓기와 그다지 연이 없는 덱에 넣는 것이 그나마 합당할 것이다. 원작에서는 자신 효과로 특수 소환 후 [[샐비지 워리어]]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된 후에 [[엔젤 리프트]]의 효과로 부활, [[스타더스트 샤오롱]]과 함께 [[포뮬러 싱크론]]의 싱크로 소재가 된다. 1턴만에 [[슈팅 스타 드래곤]]을 부르게 한 강력한 녀석이었다. [[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튜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