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유희왕/레벨)][include(틀:유희왕/OCG/테마)] [목차] == 개요 == [[유희왕/OCG]]의 카드군. [[사이버 다크의 격돌]]에서 [[다크 루시어스]]와 함께 등장한 [[유희왕/레벨|레벨]] 몬스터로 일본어로 '매혹의 여왕'이라고 쓰고 '얼루어 퀸'이라고 읽는다. 한국에서는 루비 쪽을 읽어서 "얼루어 퀸"으로 정발되었다. LV3, LV5, LV7 3종류가 존재하며, 전부 어둠 속성 / 마법사족에 상대 몬스터를 장착하는 [[기동효과|기동 효과]]와 그 장착한 몬스터를 대신 파괴하는 [[지속효과|지속 효과]]를 가지고 있다. LV3과 LV5는 장착 카드로 삼을 수 있는 상대 몬스터 레벨에 제한이 있으며, LV5와 LV7은 이 효과를 얻기 위한 조건을 채울 필요가 있다. LV5와 LV7은 소환 제한이 없긴 하지만, 능력치가 낮은데다 자기 효과로 레벨업하지 않으면 효과를 쓸 수 없다는 난감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암드 드래곤]]이나 [[호루스의 흑염룡]] 같은 [[유희왕/레벨|레벨]] 몬스터의 일종이지만, 그 처참한 성능 때문에 같이 등장한 [[다크 루시어스]]와 함께 인기는 정말 없다. 레벨 몬스터가 이미 시대에 뒤떨어진 구시대의 유물이 된 상황에서 그 잉여로움은 정말 독보적이다. 레벨이 올라갈수록 복장의 노출도가 증가하고 머리카락이 길어지는 것이 특징. [[파일:Allure_Queen.png|width=100%]] [[유희왕 VRAINS]] 104화에서는 [[퀸(유희왕)|퀸]]이 [[아이(유희왕)|아이]]와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원작/DM의 [[사일런트 스워드맨]], [[사일런트 매지션]]과 GX의 [[암드 드래곤]], [[호루스의 흑염룡]] 이후 세 시리즈를 건너뛰고 등장한 LV 몬스터이다.[* 미OCG화까지 포함하면 5D's의 [[질 드 랜스보|마스크드 나이트]]가 있다.] 링크 버전인 '골든 얼루어 퀸'과 다른 전용 마법 카드까지 써가며 집을 지었지만, 아이의 [[@이그니스터]]의 데뷔전 제물이 되고 말았다. 퀸은 단 1턴 만에 메인 덱 얼루어 퀸 몬스터랑 얼루어 퀸 전용 마법 카드를 전부 전개했는데, 전개 과정은 묘사되지 않았으나 오리지널 카드들의 텍스트를 통해 유추해 볼 수는 있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3 === ==== 얼루어 퀸 LV3 ==== [[파일:魅惑の女王 LV3.jpg]] || 한글판 명칭 ||<-4>'''얼루어 퀸 LV3'''|| || 일어판 명칭 ||<-4>'''[ruby(魅惑の女王, ruby=アリュール・クィーン)] [ruby(LV, ruby=レベル)]3'''|| || 영어판 명칭 ||<-4>'''Allure Queen LV3'''||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500 || 500 || ||<-5>1턴에 1번만 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상대 필드 위의 레벨 3 이하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할 수 있다(이 효과로 장착할 수 있는 장착 카드는 1장까지).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장착한 몬스터를 파괴한다. 자신 턴의 스텐바이 페이즈시, 이 효과로 장착 카드를 장착한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얼루어 퀸 LV5" 1장을 패 또는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얼루어 퀸의 1단계 형태. 레벨 3 이하의 상대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취급해 장착할 수 있는 [[기동효과|기동 효과]]와 전투로 파괴될 경우에 '''자신 효과로 장착하고 있는 몬스터'''를 대신 파괴하는 [[지속효과|지속 효과]], 얼루어 퀸 LV5로 레벨업시키는 [[유발효과|유발 효과]]를 가졌다. 얼루어 퀸 LV5로 레벨업시키기 위해 자신 효과로 조건에 맞는 몬스터를 장착하고, 그대로 다음 자신 스텐바이 페이즈까지 유지시켜야 한다. 이 카드 1종류만 사용한다고 가정해도 상대의 덱에 의존하는 효과이기 때문에 효과 사용조차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레벨을 다른 카드 효과로 조작하거나 자기 몬스터를 상대 필드로 옮기는 등의 번거로운 준비를 거쳐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수고해서 내보내는 얼루어 퀸 LV7의 처참한 활용도를 고려하면 실용성은 전무하여 팬 덱이 아닌 이상 사용할 일이 없다는 것이 현실. === 레벨 5 === ==== 얼루어 퀸 LV5 ==== [[파일:魅惑の女王 LV5.jpg]] || 한글판 명칭 ||<-4>'''얼루어 퀸 LV5'''|| || 일어판 명칭 ||<-4>'''[ruby(魅惑の女王, ruby=アリュール・クィーン)] [ruby(LV, ruby=レベル)]5'''|| || 영어판 명칭 ||<-4>'''Allure Queen LV5'''||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000 || 1000 || ||<-5>"얼루어 퀸 LV3"의 효과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 1턴에 1번만 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상대 필드 위의 레벨 5 이하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할 수 있다(이 효과로 장착할 수 있는 장착 카드는 1장까지).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장착한 몬스터를 파괴한다. 자신 턴의 스텐바이 페이즈시, 이 효과로 장착 카드를 장착한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얼루어 퀸 LV7" 1장을 패 또는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얼루어 퀸의 2단계 형태. 레벨 5 이하의 상대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삼는 [[기동효과]]와 얼루어 퀸 LV7로 레벨업시키는 [[유발효과]]를 가졌다. 얼루어 퀸 LV3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지 않으면 효과를 일절 쓸 수 없는 것은 물론, 얼루어 퀸 LV7로 레벨업시키기 위해 다시 상대 몬스터를 장착하고, 그대로 다음 자신 스텐바이 페이즈까지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도 힘도 많이 든다. 능력치가 낮아 특수 소환하기 쉬우므로 [[카오스 엔드 마스터]]나 [[킬러 토마토]] 등으로 리크루트할 수 있지만, 레벨 5 중에서는 자체 소환 효과를 가진 몬스터가 다수 존재하는 데다, 마법사족으로 한정해도 [[태양의 신관]]이 있기 때문에 채용의 여지는 희박하다. 일러스트 자체는 얼루어 퀸 시리즈 중에 가장 반응이 좋은 편인지, [[픽시브]] 등지에서 팬아트 지분도 가장 많다. 과거의 2차 창작에선 적의 몬스터를 주워오는 어둠 속성 마법사족 몬스터라 그런지 [[령사|암령사 달크]]와도 종종 엮인 적 있다. === 레벨 7 === ==== 얼루어 퀸 LV7 ==== || [[파일:魅惑の女王 LV7.jpg|width=100%]] || [[파일:AllureQueenLV7-CDIP-EN-UR-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4>'''얼루어 퀸 LV7'''|| || 일어판 명칭 ||<-4>'''[ruby(魅惑の女王, ruby=アリュール・クィーン)] [ruby(LV, ruby=レベル)]7'''|| || 영어판 명칭 ||<-4>'''Allure Queen LV7'''||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500 || 1500 || ||<-5>"얼루어 퀸 LV5"의 효과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 1턴에 1번만 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할 수 있다(이 효과로 장착할 수 있는 장착 카드는 1장까지).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장착한 몬스터를 파괴한다.|| 얼루어 퀸의 최종 단계 형태. 상대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삼는 [[기동효과]]를 가졌다. 많은 [[유희왕/레벨|레벨]] 최상급 몬스터와는 달리, 특수 소환 몬스터가 아닌 통상 소환 몬스터. 하지만, 몬스터 효과는 얼루어 퀸 LV5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며, 얼루어 퀸 LV5는 얼루어 퀸 LV3에서 진화한 경우에만 진화 조건을 채울 수 있다. 즉,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때까지 얼루어 퀸 LV3에서 2턴씩이나 거쳐가며 얼루어 퀸을 장착 카드와 함께 지킬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이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장착해 봤자 얻는 것은 전투 파괴 대상뿐이며 능력치도 오르지 않는다. 몬스터 효과를 얻기 위한 수고에 비해 돌아오는 효율은 전혀 좋다고 할 수 없으니, 실전에 써먹을 만한 몬스터는 아니다. 거기다가 효과 파괴 내성이 없는 것도 치명적. [[작렬 장갑]],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반란 용병 부대]] 같은 카드에는 그냥 털린다. 일러스트는 그럭저럭 괜찮은데, 레벨이 오를수록 어째 점점 더 [[아줌마]]가 되어가는 듯한 느낌이 든다는 의견도 있다. 사실 이 카드 시리즈보다 한참 전에 나왔지만 아직도 채용률이 높은 [[새크리파이스(유희왕)|외눈박이 상위 호환]]과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그의 진화체]]가 나와 있는 상태여서 그 입지는 더더욱 작아지고 있다. 소환 제약이 없는 점을 살려 효과는 그냥 포기하고 [[엑시즈 소환]]을 위해 레벨 7에 공격력 / 수비력이 낮다는 쪽을 노리려고 해도, 레벨 7에 공격력 / 수비력이 더 낮고 나름대로 쓸만한 효과마저 있는 [[메탈화 마법반사장갑|메탈화 기생생물들]]이 있는 시점에서 글러먹었다. 마법사족으로 차별화해 보려 해도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도 가능하고 공격력 / 수비력은 아예 깔끔하게 0인 [[킹 미스트]]가 버티고 있고, 어둠 속성으로 보아도 [[스플릿 데먼 로즈]]가 떡하니 있다. || [[파일:AllureQueenLV7-TF04-JP-VG.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AllureQueenLV7-TF04-EN-VG.jp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해외 발매판 일러스트에서는 치마 길이가 늘어나 롱 스커트가 된 것도 모자라 검은 속치마까지 입은 것으로 수정되었다. 다만 국내 발매판 얼티밋 레어 사양의 경우에는 인쇄 오류인지 내수판 일러스트의 실루엣을 확인할 수 있다.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이미 레벨 몬스터가 시대에 뒤떨어져있지만 OCG화된다면 그나마 얼루어 퀸 시리즈에 숨통이 트일 카드들. === 골든 얼루어 퀸 === [[파일:GoldenAllureQueen-JP-Anime-VR.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골든 얼루어 퀸'''|| || 일어판 명칭 ||<-4>'''[ruby(金色の魅惑の女王, ruby=ゴールデン・アリュール・クィーン)]'''|| || 영어판 명칭 ||<-4>'''Golden Allure Queen'''|| ||<-5> [[링크 소환|링크]] / 효과 몬스터 || || 링크 || 속성 || 종족 || 공격력 || 링크 마커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2500 || [include(틀:유희왕 링크 마커, 좌상=OFF, 상=OFF, 우상=OFF, 좌=ON, 우=ON, 좌하=OFF, 하=ON, 우하=OFF)] || ||<-5>마법사족 몬스터 3장[br]①: 링크 소환한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링크 앞의 "얼루어 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br]②: 1턴에 1번, 필드 존에 "얼루어 팰리스"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의 "얼루어 퀸"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또는 상대의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이 턴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그 후,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얼루어 퀸 최초의 엑스트라 덱 몬스터로, [[유희왕 VRAINS]] 104화에서 [[SOL 테크놀로지]]의 최고 간부인 [[퀸(유희왕)|퀸]]이 [[아이(유희왕)|아이]]와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한 링크 몬스터. 기존의 얼루어 퀸의 몬스터를 장착하는 효과가 링크 앞의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리는 효과로 바뀐 것이 특징. 물론 링크 3이니 공격력 / 효과는 준수한 편이지만, 레벨을 가진 얼루어 퀸이 그랬듯 정규 소환되어야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를 쓸 수 있고, 몬스터 파괴 효과 역시 얼루어 팰리스의 존재하에만 가능하니,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상태로 소환되었다면 사실상 공격력 2500의 일반 몬스터일 뿐이다. === 얼루어 팰리스 === || 한글판 명칭 ||'''얼루어 팰리스'''|| || 일어판 명칭 ||'''[ruby(魅惑の宮殿, ruby=アリュール・パレス)]'''|| || 영어판 명칭 ||'''Allure Palace'''|| ||<-2> 필드 마법 || ||<-2>①: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얼루어 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500 올리고, 그 몬스터 자신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하는 효과는,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도 있다.[br]②: 자신 필드에 "얼루어 퀸"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그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몬스터 1장을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사실상 답이 없던 얼루어 퀸들을 덱으로나마 굴릴 수 있게 하려면 이 카드가 필수일 것이다.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몬스터를 소환하면 다음 자신의 턴이 돌아올 때까지 손 놓고 있던 얼루어 퀸들을 소환한 즉시 진화시킬 수 있으며, 진화 조건도 알아서 채워주는데다 만약 조건에 맞는 몬스터가 이미 상대 필드에 있다면 효과를 발동하지 않고 그 몬스터를 잡아먹어도 되니 최적의 상황에서는 상대 몬스터를 3장까지 제거하면서 최종 진화체를 필드에 놓을 수 있게 된다. 물론 그런 상황이 흔히 오지는 않겠지만. === 얼루어 댄스 === || 한글판 명칭 ||'''얼루어 댄스'''|| || 일어판 명칭 ||'''[ruby(魅惑の舞, ruby=アリュール・ダンス)]'''|| || 영어판 명칭 ||'''Allure Dance'''|| ||<-2> 지속 마법 || ||<-2>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br]①: 필드의 "얼루어 퀸"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의 효과로 장착하고 있는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br]②: 자신 필드에 "얼루어 퀸"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공격 가능한 몬스터는 공격해야 하며, 공격 대상은 자신이 고른다.[br]③: "얼루어 퀸" 몬스터의 효과로 장착된 자신 필드의 장착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얼루어 퀸" 몬스터를 가능한 한 특수 소환한다(같은 레벨은 1장까지).|| 얼루어 퀸에게 [[사이버 다크 드래곤]]에 준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마법 카드. 안타까운 것은 같은 팩에 수록된 [[사이버 다크]]는 그 효과로 장착한 드래곤족을 묘지로 보냈더라도, 새 지원 카드인 사이버다크 인페르노로, 다른 사이버 다크로 체인지해 다시 장착하거나, [[사이버 다크니스 드래곤]]의 경우 특수 소환에만 성공하면 장착이 가능한 반면, 현시점의 얼루어 퀸은 몬스터의 재장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그대로 갖고 있다. == 관련 카드 == === [[여왕 친위대]] === 얼루어 퀸 몬스터를 보조하는 몬스터 카드.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