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얼터너티브 댄스의 대표곡들'''}}}}}}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c1GxjzHm5us,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7DLD1tYOnw,height=200)]}}} || || ''[[Blue Monday]]''[br][[뉴 오더]] (1983) || ''Fools Gold''[br][[스톤 로지스]] (198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NvUQka4wk0,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WDswiT87oo8,height=200)]}}} || || ''Loaded''[br][[프라이멀 스크림]] (1991) || ''[[Girls & Boys]]''[br][[블러(밴드)|블러]] (199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VEZNvqecdE,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7E0fVfectDo,height=200)]}}} || || ''[[All My Friends]]''[br][[LCD 사운드시스템]] (2007) || ''[[Reflektor]]''[br][[아케이드 파이어]] (2013) || }}}}}} || ||<-2><#ffffff> '''{{{+1 얼터너티브 댄스}}}[br]Alternative dance''' || ||<|2> '''기원''' ||^^'''장르'''^^ [[포스트 디스코]], [[얼터너티브 록]], [[인디 록]], [[뉴웨이브]], [[신스 팝]], [[포스트 펑크]], [[하우스(음악)|하우스]] || ||^^'''지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 '''등장 시기''' ||[[1980년대]] 중반 || || '''파생 장르''' ||뉴 레이브, 일렉트로크래쉬, 그래보 || || '''관련 장르''' ||[[매드체스터]], [[배기(음악)|배기]]|| || '''관련 장르''' ||[[일렉트로닉 락]], [[일렉트로니카]], [[인더스트리얼]], [[빅 비트]], [[칠웨이브]] || [목차][clearfix] == 개요 == '''Alternative Dance'''. 얼터너티브 록과 [[신스팝]], [[EDM]]등의 댄스 뮤직이 결합되어 나타난 장르이다. == 상세 == 인디 댄스(Indie Dance)라고도 하며, 모던 록, 얼터너티브, 인디 락, 브릿 팝 등에 영향을 받은 밴드사운드 기반의 [[댄스 뮤직]]이다. [[누 디스코]]와 유사한 점이 있으나, 인디 댄스는 보다 단순하고 밝거나 몽환적인 느낌을 만들며 그루브 감은 배제하는 것이 특징으로, 보다 청량하고 공간감을 강조하는 스타일의 편곡을 한다. 기타 역시 리듬기타로는 잘 사용하지 않고 패드처럼 리버브를 많이 주어 공간감을 만들어내거나, 아예 강하게 디스토션시켜서 사용한다. BPM은 여타 댄스뮤직과 비교하면 많이 느린 편으로, [[누 디스코]]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느린 편. 80년대 초 [[뉴 오더]]의 탄생과 기원을 함께하는데, 당시 [[조이 디비전]]의 음울한 사운드에서 탈피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포스트 펑크]]를 바탕으로 [[신스팝]], [[Hi-NRG]], [[디스코]], [[뉴웨이브(음악)|뉴 웨이브]]등이 결합된 사운드를 선보였으며, 이후에도 애시드 하우스를 받아들이거나 [[매드체스터]] 씬에 함께하면서 장르의 명맥을 이어갔다. 일렉트로닉과 록의 중간지대 장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어떤 성향이 강하냐에 따라서 EDM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고 밴드사운드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위에 언급한 뉴오더만 봐도 그렇다. 얼터너티브 댄스라는 장르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않지만 앨범에 따라 Hi-NRG나 하우스, 테크노와 같은 EDM에 가까운 사운드를 보여주기도 하고 반대로 리듬만 댄서블한 얼터너티브 록에 가까운 앨범도 있다.] == 아티스트 == * '''[[뉴 오더]]''' * '''일부 [[매드체스터]] 계열 밴드들''' * '''[[프라이멀 스크림]]''' * '''[[스톤 로지스]]''' * '''[[해피 먼데이즈]]''' * '''[[카사비안]]''' * '''[[포스터 더 피플|Foster the People]]''' * '''[[아케이드 파이어]]'''[* [[Reflektor|4집]]부터] * Lvther * '''Neon Trees''' * '''Puppet''' * Glude * Phantom Sage * Kontinuum [* [[NoCopyrightSounds]]에서 활동하며 주로 인디 댄스 곡을 내놓는 아티스트 그룹이다.] * [[JJD]] == 참고 곡 == * EMF - [[Unbelievable]] (1990) [youtube(PYEZfF6ncrY, width=400, height=300)] '''LVTHER - Dots (feat. Jenny Broke The Window)''' [youtube(zUTcLuxiN5w, width=400, height=300)] '''Foster The People - SHC''' [youtube(hgKDu5pp_fU, width=400, height=300)] '''[[Porter Robinson]] - Lionhearted''' [youtube(BB7R0ZY9w94, width=400, height=300)] '''Neon Trees - Sleeping With A Friend''' [youtube(c0duqEYVnRc, width=400, height=300)] '''Kontinuum - Lost (feat.Savoi)''' [youtube(gSNLBx4OxyQ, width=400, height=300)] '''Kontinuum - Aware''' [youtube(-xKKo7t72Tg, width=400, height=300)] '''[[Itro]] & Kontinuum - Alive''' [youtube(f2xGxd9xPYA, width=400, height=300)] '''[[JJD]] - Adventure''' [youtube(4BievZza57w, width=400, height=300)] '''Puppet & Foria - Bigger Picture''' [[분류:얼터너티브 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