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유희왕 ZEXAL 바리안 칠황의 덱)] [include(틀:벡터 덱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유희왕 ZEXAL에서 [[벡터(유희왕)|벡터]]가 사용하는 카드군으로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OCG화되었다. 벡터가 ZEXAL의 등장인물 중에서는 상당한 인기 캐릭터이며 세컨드 시즌부터 메인 악역으로 활약했기에 비교적 듀얼 횟수도 많지만, 정작 매 듀얼마다 마법이나 함정 카드로 엑시즈 몬스터를 소환하는 변칙적인 플레이가 대부분인 덕분에 엄브럴 덱이라고 부르기도 미안할 정도로 정작 엄브럴 카드는 거의 등장하지 못했다. OCG에서도 사정은 비슷해서 엄브럴 카드를 주축으로 덱을 만들기는 어렵다. 일부 카드는 [[듀얼링크스]]에서도 등장했지만 사용처는 거의 없는 편. 메인 덱 몬스터들은 악마족/어둠 속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엄브럴 고스트를 제외한 3장은 [[인벨즈]]처럼 수비력이 0이다. 이름의 어원은 Umbra(엄브라). 그림자 중에서도 빛을 전혀 받지 못해 아주 깜깜한 그림자를 뜻한다. 때문에 어원을 반영하면 엄브럴보다는 엄브'''랄'''이 조금 더 원래 의미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영문판에서는 Umbral을 그대로 내면 영어판 이름이 '''Umbral Soul'''인 [[샤인 스피릿|다크니스 소울]]이 엄브럴에 포함돼버리기 때문에 뒤에 Horror가 붙었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엄브럴 윌 오 더 위스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51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엄브럴 월 오 더 위스프, 일어판명칭=アンブラル・ウィル・オ・ザ・ウィスプ, 영어판명칭=Umbral Horror Wil o' the Wisp,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효과1=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 / 묘지의 "엄브럴"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은 선택한 몬스터의 레벨과 같아진다. 또한\, 필드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파괴한 몬스터를 파괴한다.)] 소환에 성공하면 필드나 묘지의 엄브럴과 같은 레벨로 만들 수 있는 카드. 언폼의 효과로 다른 엄브럴과 함께 소환하면 소환되자마자 레벨이 4가 되어 엑시즈로 이을수 있다. 전투로 파괴되면 그 몬스터를 파괴시킬 수 있긴 하지만 앞면 공격표시일 때 가능하므로 데미지를 줄이는 카드를 병용하지 않으면 손실이 크다. 거기다 상대 몬스터 하나를 선택하는 게 아니라 이 카드를 파괴한 몬스터를 파괴하는 것이기에 상대가 바보가 아닌 이상 자신의 에이스로 앞면 공격표시로 버티고 있는 이 카드를 공격할리 없으니 두 번째 효과는 그냥 덤이라고 보는 게 좋다. [[스피릿 베리어]]를 발동하고 자기 턴에 닥돌하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별로 좋지는 않은 방법. === 레벨 2 === ==== 엄브럴 고스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12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엄브럴 고스트, 일어판명칭=アンブラル・ゴースト, 영어판명칭=Umbral Horror Ghost,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2, 공격력=200, 수비력=200,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이 카드와 레벨 4 이하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 자신은 일반 소환 / 세트할 수 없다. "엄브럴 고스트"의 효과는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벡터가 [[메라그]]와 [[도르베]]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 [[프라이멀 오리진]]에서 OCG화되면서 효과가 조금 바뀌었다. 원작에서는 소환이 엄브럴 고스트로 한정되어있던 것이 4 레벨 이하의 악마족 몬스터로 넓혀짐과 동시에 1턴에 1번과 일반 소환 / 세트 불가라는 디메리트가 생겼다. 다른 엄브럴들과는 다르게 공격력도 수비력도 0이 아닌데다 레벨 변환 효과가 없는데도 원래 레벨이 4가 아닌 탓에 다른 엄브랄 카드에 비해 엄브럴 덱에서 쓰기 힘들다. 그러나 소환 가능한 범위가 악마족 / 레벨 4 이하 라는 굉장히 넓은 범위이기 때문에, 악마족을 주로 사용하는 덱 전반에서 사용할 여지가 존재한다. 가장 효율이 좋은건 말할것도 없이 레벨 2 악마족 카드군인 [[마리스보라스]]이다. 똑같이 레벨 2에 악마족인데다가 튜너에 악마족 제한도 없는 [[레드 레조네이터]]라는 사실상의 상위호환이 나와버렸다. 이쪽은 콜 레조네이터로 서치까지 쉽다. 그나마 이쪽은 어둠 속성이라는 점으로 차별화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라이멀 오리진]] || PRIO-JP01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 PRIO-JP01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 PRIO-EN01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레벨 4 === ==== 엄브럴 구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51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엄브럴 구울, 일어판명칭=アンブラル・グール, 영어판명칭=Umbral Horror Ghoul,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0, 효과1=1턴에 1번\, 이 카드의 공격력을 0으로 하고\, 패에서 공격력 0의 "엄브럴"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공격력을 변동시키는 대신 다른 엄브럴을 소환할수 있는 몬스터.단번에 랭크 4 엑시즈로 이을 수 있기에 엄브럴 덱이라면 3장 풀투입해야 할 카드이다. 원작의 효과는 1장이 아니고 패에 있는 공격력 0의 엄브럴 몬스터를 몇장이고 특수소환할 수 있었다 ==== 엄브럴 언폼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5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엄브럴 언폼, 일어판명칭=アンブラル・アンフォーム, 영어판명칭=Umbral Horror Unform,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4, 공격력=0, 수비력=0, 효과1=이 카드의 공격에 의해서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덱에서 "엄브럴"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엄브럴 언폼"의 효과는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일단 성공만 하면 덱에서 엄브럴 몬스터를 2장이나 소환할 수 있으므로 곧바로 엑시즈로 이을 수 있다. 문제는 '''직접 들이대서 자폭해야 한다'''는 것. 효과 발동 타이밍이 배틀 페이즈일 수밖에 없으니 속공성도 부족하다. 허나, 자폭 후에 상대방의 몬스터를 처리할 수단이 있다면 덱에서 엄브럴 구울을 2마리 소환해 빠른 비트를 전개할 수 있다.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5 === ==== [[C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엄브럴]] ==== 이름이 엄브럴이긴하나, 현재까지 밝혀진 카드 중엔 이 녀석을 서포트 할 수 있는 카드는 아직 없다. 일단 [[벡터(유희왕)|원작에서의 사용자]]는 같다. 항목 참조. == 함정 카드 == === 죄건의 법-신 키 로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60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죄건의 법-신 키 로우, 일어판명칭=罪鍵の法-シン・キー・ロウ, 영어판명칭=Corrupted Keys, 효과1=자신 필드 위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엄브럴 미라지 토큰"(악마족 / 어둠 속성 / 레벨1 / 공격력 ? / 수비력 0) 3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토큰의 공격력은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과 같아진다. 이 토큰은 직접 공격할 수 없고\,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서만 릴리스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가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때\,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토큰을 전부 파괴한다.)] 이름은 신(sin) - 죄(罪), 키(key) - 열쇠(鍵), 로우(law) - 법(法) 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신키로우는 신기루(mirage=미라지, 이 카드가 소환하는 토큰과 이름이 같다.)와 일본어 발음이 같다. 엑시즈 몬스터 하나와 같은 공격력을 가진 토큰을 단번에 3장이나 전개할 수 있는 고효율의 카드. 이 효과로 소환한 토큰은 직접 공격이 불가능하고 어드밴스 소환 말고는 릴리스로 할 수 없지만 그 정도 디메리트는 가벼운 편. 미라주 토큰이란 이름 그대로 환영인 만큼 본체가 터지면 소환한 토큰도 다 터지기에 사용자의 컨트롤이 필요한 카드. 가장 쉬운 사용법은 [[No.39 유토피아]]나 [[세이크리드]] 엑시즈 몬스터, [[십이수(유희왕)|십이수]] 엑시즈 몬스터처럼 다른 엑시즈 몬스터를 겹쳐서 소환할 수 있는 소재 몬스터를 대상으로 지정하는 것. 상대가 견제하기 전에 먼저 겹치면 자괴 디메리트는 사라진다. [[RUM]]도 나쁘지 않은 선택지. 아니면 토큰이 자괴되기 전에 싱크로 소환이나 링크 소환의 소재로 삼던가. 특히 토큰이 레벨 1인 덕에, [[링크리보]]로 바꿔먹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지. [[가가가]]덱이나 [[암흑계]]덱에 투입할 시 [[No.22 프랑켄]]이 잘 나오는 편이기에 이 카드와 병용하면 공격력 4500짜리 몬스터가 4체나 전개되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 거기다 상대의 제거카드를 불란 건의 효과로 무효로 할 수 있기에 본체가 터지면 다 같이 우르르 터지는 약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있으며 효과를 쓴 후 수비표시가 되어 전투에 참전할 수 없게 된 불란 건 대신 토큰들이 상대 몬스터들을 싹 쓸어버리기에 프랑켄과의 상성도 나쁘지 않은 편. 또한, 직접 공격이외의 전투 데미지는 얼마든지 유효하며 어드밴스 소환의 릴리스로도 쓸수 있으니 [[삼환신]]등을 위한 제물로도 쉽게 쓸 수 있을 것이다.어드밴스 소환 이외의 릴리스 불가는 아무래도 [[덱 파괴 바이러스]]를 경계한 것인 듯. 범용 엑시즈인 [[No.39 유토피아]]만 소환해도 2500짜리 어둠속성이 3체나 생기니 당연한 결과다. 원작에선 직접 공격 불가나 릴리스 불가 같은 디메리트가 없었으나 전투로 인한 몬스터의 파괴를 무효로 하였을 시 그 몬스터를 대상으로 한다는 어려운 조건이 붙어있었다. 대신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이 변동하면 토큰도 같이 변동했다. 영문판에서는 [[Sin(유희왕)|Sin]]이라는 단어가 매우 거슬리기에 Corrupted Keys로 개명되었다. ==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 몬스터 카드 === ==== 엄브럴 골렘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UmbralHorrorGolem-JP-Anime-ZX.png]] || 한글판 명칭 ||||||||'''엄브럴 골렘(미확정)'''|| || 일어판 명칭 ||||||||'''アンブラル・ゴーレム'''|| || 영어판 명칭 ||||||||'''Umbral Horror Golem'''||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800 || 1600 ||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1번,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의 공격 대상이 되었을 때 그 공격을 무효로 할 수 있다.|| === 마법 카드 === ==== 엄브럴 데스 블러드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UmbralHorrorRetaliation-JP-Anime-ZX.png]] || 한글판 명칭 ||||||||'''엄브럴 데스 블러드'''(비공식)|| || 일어판 명칭 ||||||||'''アンブラル・デス・ブラッド'''|| || 영어판 명칭 ||||||||'''Umbral Horror Death Blood'''(비공식)|| |||||||||| 속공 마법 || ||||||||||자신 필드 위에 "엄브럴"이라는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었을 때, 상대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 엄브럴 리프레시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UmbralHorrorRefresh-JP-Anime-ZX.png]] || 한글판 명칭 ||||||||'''엄브럴 리프레시'''(비공식)|| || 일어판 명칭 ||||||||'''アンブラル・レフレッシュ'''|| || 영어판 명칭 ||||||||'''Umbral Horror Refresh'''(비공식)|| |||||||||| 일반 마법 ||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의 공격력이 변했을 때, 그 변화를 무효로 하고 그 수치만큼 라이프를 회복한다.|| 카드명이 엄브럴이 들어가지만 범용성 카드이다.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