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후한 말의 환관, rd1=엄준(후한))] [include(틀:오서)] [[파일:attachment/엄준/thumb_semi_statue.jpg]] 嚴畯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한]] 말과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오(삼국시대)|손오]]의 인물이며 자는 만재(曼才)로 서주 팽성국 출신. == [[삼국지(정사)|정사]] ==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빠져 시경, 서경, 삼례에 정통했으며, 또 설문해자를 좋아했다고 한다. 성격이 소박하고 솔직하고 순후하여 재능을 갖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도의로써 성실하게 충고해 그들을 돕는 능력이 있었으며, 전란을 피해 강동으로 와서 [[제갈근]], [[보즐]]과 친교를 맺다가 [[장소(삼국지)|장소]]가 엄준을 [[손권]]에게 천거해 기도위, 종사중랑이 된다. [[노숙(삼국지)|노숙]]이 죽자 손권은 엄준에게 노숙을 대신해 병사 1만 명을 지휘해 육구에서 주둔하도록 했다.[* 특이하게도 엄준은 평소에 손권이 노숙, 여범을 칭찬하면 그것이 노숙에 대해 과대평가라고 말하던 사람이었다.] 모두 적절한 선택이라고 생각했지만 엄준만은 이에 대해 >저의 본분은 책 읽는 사람으로서 군사에는 익숙하지 못합니다. 재능이 없으면서 그 자리를 차지하면 허물과 후회가 반드시 이를 것입니다. 라고 말하다가 감정이 격해져서 우는데, 손권은 결국 이 일을 없던 것으로 하면서 이 일로 인해 엄준은 겸양할 줄 아는 사람이라며 엄준의 평가는 더욱 높아졌다. 참고로 지림(志林)에 따르면 손권이 엄준이 말을 탈 수 있는지 시험했는데, 엄준은 말에 오르다 떨어졌다. 손권이 황제가 되자 위위로 임명되어 촉한에 사자로 갔는데, [[제갈량]]이 그를 매우 좋아했다고 한다. [[삼국지연의]]에서의 그의 장면을 알고 있다면 참 눈물이 나는 장면. 이렇게 잘 나가다가 광릉에서 은자로 이름높던 친구 [[유영(삼국지)|유영]]과 관련해서 면직을 당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영과 교분이 있던 엄준으로부터 유영에 대한 평을 들은 손권은 그를 초빙했지만 유영은 질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았다가 영릉태수로 있던 그의 동생 [[유략(영릉태수)|유략]]이 임지에서 죽자 유영은 장례식장으로 달려갔다. 이로 인해 손권은 그가 꾀병을 부렸음을 알게 되면서 황급히 체포해 심문하도록 명령하자 이에 엄준은 손권에게 사죄해 자신은 면직되지만 그로 인해 유영은 사면받았으며, 그 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엄준은 복직되어 상서령으로 임명되었다가 후에 죽었다. 비록 구경의 직위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봉록과 상을 축적하지 않고 모두 친척이나 친구, 인연이 있는 자에게 나누어 주었으므로 집은 항상 넉넉하지 못했으나 그로 인해 친구가 많아 [[배현]], [[장승(삼국지)|장승]]과 함께 관중([[관이오]]), 계로에 대해 논의하고 또 『효경전』, 『조수전』 같은 저서를 써서 남길 수 있었다. 한 번은 손권이 노숙의 재능을 등우에, [[여범]]의 재능을 오한에 견주었는데 엄준은 이 평가를 납득할 수 없다고 했다. 후에 손권이 건업으로 천도하고, 부장이나 대신들, 문무백관을 성대하게 모집하여 연회를 개최한 뒤 엄준에게 여범과 노숙이 이런 공을 세운 지금은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어보자 엄준은 자리에서 물러나며 말하기를 >신은 아직 그 취지를 이해할 수 없는데, 노숙과 여범이 총애를 받는 것은 두터우며, 실질 이상의 칭찬을 받았다고 합니다. 라고 대답한다. [[손등(삼국지)|손등]]은 죽기 전에 남긴 문서에서 엄준을 "나라를 위해 충성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체제에 통달했습니다."라고 평했고, [[주소(손오)|주소]]는 "그와 같이 완미함을 이룬 자는 없었다."고 평한다. [[진수(역사가)|진수]]는 "한 시대의 유림으로 엄준이 자신의 영달을 버리고 옛 친구를 구한 것 또한 뛰어난 것이 아닌가!"라고 평했다. == [[삼국지연의|연의]] == 딱 1회 등장하는 엑스트라이며 [[적벽대전]] 전초에 제갈량과 설전을 벌이는 문신들 중 하나다. 엄준이 제갈량에게 무슨 경전을 읽었냐고 물어봤다가 제갈량에게 "그딴 더러운 냄새나는 책 읽어서 뭐함 ㅉㅉ"이라는 말을 듣고 [[데꿀멍]]하는 멍청한 유생 역할로 나온다. 이것으로 등장 끝.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external/kongming.net/418-Yan-Jun.jpg]] ||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4.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전형적인 정치형 문관 능력치인데 정사에서 말에 오르다 떨어졌다는 기록 때문인지 무력이 심각하게 낮게 나온다. 서주 팽성국 출신이지만 출신지인 하비가 아닌 오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오로 이주했다는 고증이다. [[삼국지 4]]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9/무력 4/지력 72/정치력 84. 병법으로는 조영, 혼란, 매도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여러 저서를 쓴 덕에 그 중 하나인 효경전을 처음부터 아이템으로 갖고 나온다. 효과는 정치력 +2.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1'''/지력 70/정치력 84/매력 76. 특기는 혼란, 반박. 총 2개다. '''무력 1'''로 최하위를 자랑하는데,[* '''[[황호]], [[잠혼]]도 무력이 2다.'''] [[삼국지 갤러리]]에서는 다리 잘린 [[손빈]]처럼 엄준은 '''양팔이 잘려서 무력이 1'''(…)이라는 드립이 성행하기도 했다.[* 사실은 위에 언급된 낙마했다는 일화를 반영해서 무력을 낮게 준 것으로 보인다.] 손빈은 명사가 있어서 도적들을 설전으로 역관광을 시킬 수가 있지만, 엄준은 명사가 없으니 도적을 만나면 돈을 주자. 그리고 삼도에서는 '''엄준으로 [[여포(삼국지 시리즈)|여포]]를 이기는 도전이 있다.'''[[http://cafe.naver.com/sam10/261674|1]], [[http://cafe.naver.com/sam10/261736|4]](4편까지 있다.) 엄준이 '''무력 100'''으로 성장하고 일기토 특기를 배우려고 하는데, 여포가 수명이 다해서 231년에 죽었다.(...) 할 짓이 없어서 [[손권(삼국지 시리즈)|손권]]군을 떠나고 [[유비(삼국지 시리즈)|유비]]에게 일기토 특기 수련하다가 유비가 죽고 [[배드엔딩]]이 되었다. 그 외엔 정치가 84긴 하지만 특기라고 준 게 달랑 2개인지라(혼란, 반박) 취급이 여러모로 좋지 못하다. 여담으로 이번작까지만 해도 출신지인 하비에서 재야 무장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1]]에서는 무력이 '''2'''로 올랐다. 능력치는 통솔력 13/무력 2/지력 70/정치력 84/매력 72. 특기가 없어서 활용도가 떨어진 인재 중 하나. [[삼국지 12]] 일러스트는 왼손에 경전을 들고 오른손으로 그것을 가리키고 있는 장면인데 연의에서 [[제갈량(삼국지 시리즈)|제갈량]]과 설전 당시 마치 "이 경전을 읽어보았소?"라고 묻다가 제갈량이 "그딴 걸 읽어서 뭐에 쓸 것이오?"라고 대답을 들었던 모습으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솔력 28/무력 2/지력 71/정치력 84. 효경전 버프(지력+1)로 실질 지력은 72이며, 내정 요원이나 외교관(변설 소유) 정도의 역할이 적당하다. 여담으로 [[삼국지 9]] 이후 작품 중 통솔력이 제일 높다. [[삼국지 13]]에서는 전작의 일러스트, 능력치가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특기로 농업 5가 붙어있어 내정 요원으로 사용하면 된다. 교섭 계열 특기도 3~4 정도(설파 4, 교섭 3, 언변 3) 보유하고 있으나 그 외에는 활용처가 전무하다.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위병. 음성은 관리. 반[[동탁(삼국지 시리즈)|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는 소패에서,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건업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도겸(삼국지 시리즈)|도겸]]군이나 [[유요(삼국지 시리즈)|유요]]군으로 플레이 할 때 등용하면 내정요원으로 쓸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3, 무력 2, 지력 70, 정치 84, 매력 7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5,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논객, 학자,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4, 진형은 투석, 전법 역시 투석, 친애무장은 [[보즐/기타 창작물#s-2.1|보즐]], [[장승(삼국지)|장승]], [[제갈근/기타 창작물#s-2.1|제갈근]], 혐오무장은 없다. 전투 능력치가 낮은 문관답게 내정용으로 쓰인다. DLC로 등장한 성씨패란에서는 엄백호 세력에 소속되어 있으며 군주인 엄백호와 같은 성을 가진 무장 중에서 지력, 정치력이 제일 높다. === [[영걸전 시리즈]] === [[삼국지 영걸전]]에서도 보병계로 등장. [[만총]]과 포트레이트를 공유하고 있다. 서릉 전투와 이릉전투에서만 등장하며 존재감은 없다시피 하다. === [[삼국전투기]] === [[블리치]]의 [[콘(블리치)|콘]]으로 나온다. [각주] [[분류:손오의 인물]][[분류:손오의 인물]][[분류:몰년 미상]][[분류:쉬저우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