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일본 고류 무술)] [목차] == 개요 == 막말 에도 3대 도장 (幕末江戸三大道場) [[일본]] [[에도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 사이인 [[막부]] 말기에 유명했다고 전해지는 [[에도]]의 3개 도장을 일컫는 명칭. == 역사 == 사실 이 명칭은 후대에 생긴 것으로, 당시 이 도장 검객들과 시합을 벌였던 마츠자키 나미시로(松崎浪四郎)란 검술가에 의해, 메이지 시대 이후부터 알려지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당시 시합 상대는 신도무념류의 사이토 신타로(斎藤新太郎)[* 초대 신도무념류 관장 사이토 야쿠로(斎藤彌九郎)의 장남, 후에 야쿠로의 이름을 이어받는다.], 경심명지류의 모모노이 슌조(桃井春蔵)[* 4대 관장인 모모노이 나오마사(桃井直正). 초대 관장의 이름인 '슌조(春蔵)'를 이어받고 이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우에다 우마노스케(上田馬之助)[* [[신센구미]] 조원으로 알려진 우에다 우마노스케와는 동성동명의 다른 인물이다. 메이지 이후 경찰이 되어 경시청류 제정에 기여한다.], 북진일도류의 치바 에이지로(千葉栄次郎)[* 초대 관장인 치바 슈사쿠(千葉周作)의 차남, 거의 무패를 자랑하는 메이지 시대 천재 검객]였으며, 시합 결과 신타로, 슌조한테는 이겼고 우마노스케와는 비겼으며 에이지로에겐 졌다고 한다. || 명칭 || 유파 || 도장명 || 유명 관장명 || || 힘(力)의 사이토 || [[신도무념류]](神道無念流 : 신토무넨류) || 연병관(練兵館 : 렌페이칸) || 2대 사이토 신타로(齋藤新太郎) || || 기술(技)의 치바 || [[북진일도류]](北辰一刀流 : 호쿠신잇토류) || 현무관(玄武館 : 겐부칸) || 초대 [[치바 슈사쿠]](千葉周作) || || 품격(位)[* 위는 기위(氣位)라고도 하며 자신감, 자존감으로 해석된다. 상대방이 함부로 할 수 없게 만드는 것으로, [[카리스마]]와 비슷하다. 검술에서는 검을 다룰 때 발하는 품위와 기백 등을 의미한다.]의 모모노이 || [[경심명지류]](鏡心明智流 : 쿄신메이치류)[* 경신명지류(鏡新明智流)라고도 불린다. 둘 다 일본어 발음은 같다.] || 사학관(士学館 : 시가쿠칸) || 4대 모모노이 슌조(桃井春蔵) || == 창작물에서 == [[겐키]]의 액션게임 검호 3에서 에도 3대 도장 루트가 구현되어있다. 다만 유파나 도장명이 아니라 사이토 도장, 치바 도장, 모모이 도장이라고 등장.[* 모모노이만 이름이 바뀌어 있고 위(位)의 모모노이가 아니라 기세의 모모이로 번역되어 있다. 위를 기세로 번역한 것은 적절한데, 어째서 이름이 바뀐 건지는 불명...] 고증에 따라 사이토 도장에서는 [[기도 다카요시|카츠라 코고로]]가, 치바 도장에서는 [[사카모토 료마]]가, 모모노이 도장에서는 [[다케치 즈이잔|다케치 한페이타]]가 사범으로 등장한다. 도장주는 치바 슈사쿠, 사이토 야쿠로, 모모노이 슌조. 특이하게도 사이토 도장 루트에서 신선조가 이어지는데, 천연이심류가 구현되지 않은 게임이니만큼 그나마 신선조 국장들과 연이 깊은 신도무념류 쪽으로 가닥을 잡은 듯하다. [[분류:에도 시대]][[분류:일본 고류 무술]][[분류:일본사/숫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