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드윈 리오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Dodgers_WS_Champ_Logo.pn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20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0}}}]]''' ||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43번}}}''' || || [[팻 벤디티]][br](2018) || {{{+1 →}}} || '''{{{#005A9C,#62BCFF 에드윈 리오스[br](2019~2022)}}}''' || {{{+1 →}}} || [[노아 신더가드]][br](2023) || ||<-5> '''{{{#FFFFFF [[시카고 컵스|{{{#FFFFFF 시카고 컵스}}}]] 등번호 30번}}}''' || || [[알렉 밀스]][br](2019~2022) || {{{+1 →}}} || '''{{{#FFF 에드윈 리오스[br](2023)}}}''' || {{{+1 →}}} || [[크레이그 카운셀]][br](2024~)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컵스에드윈리오스.jpg|width=100%]]}}} || ||<-2> '''{{{+2 에드윈 리오스}}}[br]Edwin Ríos''' || || '''본명''' ||에드윈 가브리엘 리오스[br]Edwin Gabriel Ríos || ||<|2> '''출생''' ||[[1994년]] [[4월 21일]] ([age(1994-04-21)]세) || ||카구아스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width=25]] [[푸에르토리코]]) || || '''학력''' ||오세컬라 고등학교 - [[플로리다 국제대학교]] || || '''신체''' ||190cm / 99kg || || '''포지션''' ||[[1루수]], [[3루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92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9~2022)[br][[시카고 컵스]] (2023)|| [목차] [clearfix] == 개요 == [[푸에르토리코]] 국적의 [[내야수]].[* 주 포지션은 [[1루수]]이며, [[3루수]]도 소화 가능하다.] == 선수 경력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dwin_Rios.jpg|width=100%]]}}} ||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6라운드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지명됐다. 2018 시즌에 40인 명단에 올랐지만, 빅리그 데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이너 시절 성적을 살펴보면, 하위 리그에서부터 트리플A까지 꾸준한 성적을 기록 중이다. 본격적으로 출전하기 시작한 2016년부터 2018년을 제외한 매 시즌 20홈런 이상을 기록하면서 펀치력을 보여주고 있다. 타율을 비롯한 비율스탯도 준수한 편인데, 마이너 통산 OPS는 .887을 기록 중이다.[* 2019년 9월 콜업 직전 기준] 다만 마이너리그 통산 볼삼비가 0.24개로 선구안이 매우 처참한 것이 흠. ==== 2019 시즌 ==== 6월 27일 메이저리그에 콜업됐다. 그리고 콜업된 날 투수 타석 때 대타로 나오면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결과는 아웃. 29일 콜로라도 전에서 2안타 1타점을 기록하면서 빅리그 첫 안타와 타점을 기록했다. 이후 7월 7일 경기에서도 안타를 기록하면서 .267/.421/.467의 괜찮은 비율 스탯을 기록 중이었으나, 7월 8일에 다시 마이너로 내려가고 만다. 8월 6일에 다시 콜업되었다. 8월 14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경기에서 4회 솔로 홈런을 때려내며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고, 6회 1사 1루에서 또 한번 홈런을 기록하며 멀티 홈런 경기를 만들었다. 이에 다음 3경기에서도 연속 선발출전하였으나, 9타수 1안타로 침묵했고, 다시 마이너로 내려가고 만다. 9월 10일 확장로스터 기간 때 다시 콜업되었다. 그리고 13일 [[뉴욕 메츠]] 전에 대타로 나와 투런 홈런을 때려내며 본인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9월 18일 [[탬파베이 레이스]] 전에서는 1타점 적시타를 기록하였다. 마이너에서 그랬던 것처럼 빅리그에서도 삼진은 많이 당하고 있지만, 9월 18일 기준으로 49타석에서 볼넷을 8개나 기록 중이다. ==== 2020 시즌 ==== 개막전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다저스의 풍부한 내야 자원으로 인해 플래툰으로 나오고 있지만, 8월 12일 기준으로 11경기 22타수 6안타 3홈런 6타점 .273/.333/.727를 기록하며 준수한 경기력을 보이고 있다. 시즌 최종 36경기 76타수 19안타 8홈런 25타점 .250/.338/.634/.972의 성적을 남겼다. 샘플은 적지만 9.5타수 당 1개의 홈런을 때려내며 장타율이 6할을 넘어가는 괴력을 선보였다. 이후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2020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NLWC]] 로스터에 포함됐지만 별다른 활약은 없었고, 샌디에이고와의 [[2020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NLDS]]에서는 부상 여파로 엔트리에 들지 못했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NLCS]]에서는 부상을 회복하고 로스터에 합류했다. 그리고 NLCS 3차전에서 8번 타자로 선발 출전했고, 첫 타석 초구를 홈런으로 만들며 [[작 피더슨]]과 함께 백투백 홈런을 완성. 팀의 15-3 대승에 기여했다. NLCS 4차전에서는 3회초 팀에 선취점을 선사하는 솔로 홈런을 때리며 이틀 연속 홈런을 가동했다. 7회초에도 1사 만루 상황에서 희생 플라이를 기록. 하지만 팀은 이날 리오스의 2타점이 득점의 전부였고, 결국 2-10으로 완패하며 1승 3패로 벼랑에 몰렸다. 이후 별다른 활약은 없었지만, 팀은 5,6,7차전을 모두 승리하며 역스윕에 성공. 극적으로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다.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2020년 월드 시리즈|WS]]에서는 단 두 타석 만을 소화하며 무안타에 그쳤다. WS 6차전에서는 팀의 주전 3루수 [[저스틴 터너]]가 7회 알 수 없는 사유[* 경기 종료 후, 터너가 [[코로나 19]]에 감염된 사실이 전해졌다.]로 교체되자 대수비로 출전했고, 팀의 32년 만의 WS 우승 확정 순간 그라운드에서 동료들과 함께 승리의 기쁨을 누렸다. ==== 2021 시즌 ==== 4월 6일, 앞서 시즌 1호 투런 홈런을 때려낸 [[맥스 먼시]]에 이어 본인도 시즌 1호 홈런을 때려내며 백투백 홈런을 완성했다. ==== 2022 시즌 ==== 시즌 종료 후 구단이 그를 논텐더로 정리하면서 FA 신분이 되었다. === [[시카고 컵스]] === 2023년 2월 17일, 컵스와 1년 1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18경기 28타수 2안타를 기록한 뒤 7월 30일 마이너로 권리가 이관되었다. 시즌 후 FA 신분이 되었다. ==== 2023 시즌 ====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20년 월드 시리즈|2020]])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에드윈 리오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9 ||<|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28 || 56 || 13 || 2 || 1 || 4 || 10 || 8 || 0 || 9 || 21 || .277 || .393 || .617 || 1.010 || 0.4 || 0.4 || || 2020 || 32 || 83 || 19 || 6 || 0 || 8 || 13 || 17 || 0 || 4 || 18 || .250 || .301 || .645 || .946 || 0.6 || 0.6 || || 2021 || 25 || 60 || 4 || 0 || 0 || 1 || 4 || 1 || 0 || 7 || 18 || .078 || .217 || .137 || .354 || -0.5 || -0.8 || || 2022 || 27 || 92 || 21 || 1 || 0 || 7 || 12 || 17 || 0 || 5 || 36 || .244 || .293 || .500 || .793 || 0.1 || 0.1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시카고 컵스|CHC]] || 18 || 34 || 2 || 1 || 0 || 1 || 3 || 2 || 0 || 5 || 16 || .071 || .235 || .214 || .450 || -0.3 || -0.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 [br] (5시즌)''' || 130 || 325 || 59 || 10 || 1 || 21 || 42 || 45 || 0 || 30 || 109 || .205 || .292 || .465 || .758 || 0.4 || 0.1 || [각주] [[분류:푸에르토리코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카과스 출신 인물]][[분류:플로리다 국제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시카고 컵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