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0460 , #0659D6)" {{{#F7F7F7 ''' 에르만노 올미의 주요 수상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cannespalmedor.png|width=150]] || ||<-5> [[칸 영화제/황금종려상|{{{#e5d85c '''황금종려상'''}}}]] || || ''' 제30회 [br] ([[1977년]]) ''' || {{{+1 → }}} || ''' 제31회 [br] ([[1978년]]) ''' || {{{+1 → }}} || ''' 제32회 [br] ([[1979년]]) ''' || || [[타비아니 형제|비토리오 타비아니, 파올로 타비아니]] [br](빠드레 빠드로네) || {{{+1 → }}} || '''에르만노 올미 [br] ([[나막신 나무]])''' || {{{+1 → }}} || [[폴커 슐뢴도르프]] /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br] ([[양철북]]) / ([[지옥의 묵시록]]) || ||<-5> || ---- ||<-5>
{{{#e5d85c ''' 역대 [[베니스 영화제|{{{#e5d85c 베니스 영화제}}}]] ''' }}} || ||<-5> [[파일:goldenlion.png|width=180]] || ||<-5> [[베니스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E5D85C '''황금사자상'''}}}]] || || ''' 제44회 [br] ([[1987년]]) ''' || {{{+1 → }}} || ''' 제45회 [br] ([[1988년]]) ''' || {{{+1 → }}} || ''' 제46회 [br] ([[1989년]]) ''' || || [[루이 말]] [br] (굿바이 칠드런) || {{{+1 → }}} || '''에르만노 올미 [br] ([[거룩한 술꾼의 전설]])''' || {{{+1 → }}} || [[허우샤오셴]] [br] ([[비정성시]]) || ||<-5> || ---- ||<-5> {{{#e5d85c ''' 역대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e5d85c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 ||<-5> [[파일:David di Donatello logo.png|width=300]] || ||<-5> {{{#e5d85c ''' 감독상 ''' }}} || || ''' 제6회 [br] ([[1961년]]) ''' || {{{+1 → }}} || ''' 제7회 [br] ([[1962년]]) ''' || {{{+1 → }}} || ''' 제8회 [br] ([[1963년]]) ''' ||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br] (밤) || {{{+1 → }}} || '''에르만노 올미[br] (직업)''' || {{{+1 → }}} || [[비토리오 데 시카]][br] (알토나의 감금자) || || ''' 제33회 [br] ([[1988년]]) ''' || {{{+1 → }}} || ''' 제34회 [br] ([[1989년]]) ''' || {{{+1 → }}} || ''' 제34회 [br] ([[1990년]]) ''' ||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br] ([[마지막 황제]]) || {{{+1 → }}} || '''에르만노 올미[br] ([[거룩한 술꾼의 전설]])''' || {{{+1 → }}} || 마리오 모니첼리[br] (어두운 질병) || || ''' 제46회 [br] ([[2001년]]) ''' || {{{+1 → }}} || ''' 제47회 [br] ([[2002년]]) ''' || {{{+1 → }}} || ''' 제48회 [br] ([[2003년]]) ''' || || 가브리엘 무치노[br] (라스트 키스) || {{{+1 → }}} || '''에르만노 올미[br] (무기의 기능)''' || {{{+1 → }}} || 푸피 아바티[br] (마음은 어디에나) || ||<-5> || ---- }}} || ||<-2>
'''{{{+5 에르만노 올미}}}''' '''{{{#!html Ermanno Olmi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manno_Olmi.jpg|width=100%]]}}}|| ||<|2> '''출생''' ||[[1931년]] [[7월 24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베르가모]]|| ||<|2> '''사망''' ||[[2018년]] [[5월 7일]],,(향년 86세),, /|| ||[[이탈리아]] [[베네토]]주 비첸차 아시아고||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촬영감독, 편집 감독|| || '''활동''' ||[[1953년|1953년 -]] [[2018년]]||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각본가. 사회적 불평등이나 종교적 테마가 돋보이는 작품들을 주로 만들었다. == 생애 및 작품 활동 == 1931년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베르가모]]에 있는 [[가톨릭]]교 집안에서 태어난 후 3살 때 부모님을 따라 [[밀라노]]로 이주해 성장했다. 16살 때 우편부로 일하면서 처음에는 건축에 흥미를 느끼기도 하였으나, [[로베르토 로셀리니]]의 영화들을 보고 영감을 받아 영화감독의 꿈을 꾸게 되었다. 이후 예술 학교에 다니고 수업을 들으면서 동시에 부모님이 일하고 있는 회사 에디슨-볼타에게 다큐멘터리 부문을 신설하도록 건의했고, 이후 해당 부문의 책임자가 되어 약 40여 편의 기업 다큐멘터리를 감독하며 첫 작품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1959년, 올미는 계속해서 기업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던 도중 수력발전 댐에 대한 기업 다큐멘터리 제작을 시작하게 되고, 이 기획에 드라마를 넣고 살을 추가하면서 첫 장편 <멈춰 선 시간>을 완성해 장편 극영화 연출을 시작한다. 1961년에는 산업사회의 순응주의적 요구와 자기실현 욕구의 충돌을 그린 두번째 장편 <직업>으로 이탈리아의 권위있는 영화상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에서 감독상을 수상하고, <약혼녀>로 [[칸 영화제]]에 초청받는 등 비평가들로부터 국제적인 인정을 받게 되며 커리어가 순항하기 시작한다. 북부 이탈리아 시실리의 공장으로 가는 한 노동자와 남겨진 그의 약혼녀와의 관계를 담은 1963년작 <약혼녀>부터 밀라노에서의 삶을 찍은 1975년작 <환경>까지 고루 호평받은 올미는, 고향 [[베르가모]]에서 촬영하며 1900년경 농촌 가족의 삶을 다큐멘터리처럼 포착해낸 1977년작 <[[나막신 나무]]>를 완성하고 이 작품이 칸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며 전성기를 구가하게 된다. 1980년대부터는 국영위성방송인 [[라디오 텔레비전 이탈리아|RAI]]의 지원으로 다큐멘터리 작업을 계속하면서 1982년에 바사노델그라파에 영화학교 이포테시 시네마(Ipotesi Cinema)를 설립하는 등 영향력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1988년에는 <[[거룩한 술꾼의 전설]]>로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며 본인의 확고한 위치를 증명해내었다. 2008년 [[제65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그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2018년 [[이탈리아]] [[베네토]]주 비첸차 아시아고에서 향년 86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작품 스타일 == 느릿한 롱테이크가 주요 특징 중 하나로, 다큐멘터리로 경력을 시작하면서도 [[로베르토 로셀리니]]에게 영향을 받아 [[네오 리얼리즘]] 사조의 요소들인 '실제 장소에서 자연광으로 촬영', '비전문배우 기용', '카메라 기교의 절제' 등이 작품 속에 나타나기 때문에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와 함께 후기 네오 리얼리즘의 대표주자로 불리기도 했다. 노동자라는 계층과 이탈리아 농촌과 농민들의 목가적이고 생생한 풍경에도 관심이 있어, 해당 소재를 자주 다룬 [[타비아니 형제]]와도 조금씩 겹치는 요소들이 존재한다. 또한 독실한 가톨릭교도 집안에서 자라 성장한만큼 [[가톨릭]]적인 색채가 매우 짙으며[* 그래서인지 [[요한 13세]] 전기 영화를 감독하기도 했다.], 휴머니즘 가득한 작풍을 선보이는 감독이다. 때문에 이탈리아의 동세대 주요 감독들 중에서 작품 속 교회와의 갈등이 가장 적은 편에 속한다. 1970년대에 들어선 이후로는 [[마르코 벨로키오]]나 마르코 페레리, 에토레 스콜라 등 동세대 이탈리아 영화 감독들이 그렇듯 좌익 성향을 띈 사회적 논평이 영화속에 두드러지고, 다루는 인물들의 계급도 노동자층에서 중산층으로 조금씩 변화가 일어났으나 기본적으로는 휴머니즘을 느릿한 롱테이크로 담아낸 기조를 이어나가며 작품 활동을 이어나간 편이다. == 필모그래피 == || '''년도''' || '''제목''' || '''연출''' || '''각본''' || '''제작''' || '''비고''' || || 1959 || 멈춰 선 시간 [br] {{{-1 Il tempo si è fermato}}} || ○ || ○ || || {{{-1 장편 데뷔작}}} || || 1961 || 직업 [br] {{{-1 Il posto}}} || ○ || ○ || || || || 1963 || 약혼녀 [br] {{{-1 I fidanzati}}} || ○ || ○ || || {{{-1 제16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 || 1965 || 존이라 불리는 사나이 [br] {{{-1 E venne un uomo}}} || ○ || ○ || || || || 1967 || 젊은 사랑 이야기 [br] {{{-1 Racconti di giovani amori}}} || ○ || ○ || || || || 1968 || 어느 멋진 날 [br] {{{-1 Un certo giorno}}} || ○ || ○ || || || || 1971 || 여름 시절에 [br] {{{-1 Durante l'estate}}} || ○ || ○ || || || || 1973 || 환경 [br] {{{-1 La circostanza}}} || ○ || ○ || || || || 1978 || [[나막신 나무]][br] {{{-1 L'albero degli zoccoli}}} || ○ || ○ || || {{{-1 제31회 [[칸 영화제]] [[칸 영화제/황금종려상|황금종려상]] 수상}}} || || 1983 || 워킹, 워킹[br] {{{-1 Cammina, Cammina}}} || ○ || ○ || || || || 1987 || 장수하세요[br] {{{-1 Lunga vita alla signora!}}} || ○ || ○ || || {{{-1 제4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은사자상|은사자상]] 수상}}} || || 1988 || [[거룩한 술꾼의 전설]][br] {{{-1 La Leggenda Del Santo Bevitore}}} || ○ || ○ || || {{{-1 제45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황금사자상]] 수상}}} || || 1993 || 오래된 숲의 비밀[br] {{{-1 Il segreto del bosco vecchio}}} || ○ || ○ || || || || 1994 || 창세기: 창조와 홍수[br] {{{-1 Genesi: La creazione e il diluvio}}} || ○ || ○ || || || || 2001 || 무기의 기능[br] {{{-1 Il mestiere delle armi}}} || ○ || ○ || || {{{-1 [[제54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 || 2003 || 병풍 뒤의 노래[br] {{{-1 Cantando dietro i paraventi}}} || ○ || ○ || || || || 2007 || 백 개의 못[br] {{{-1 Centochiodi}}} || ○ || ○ || || || || 2011 || 판자촌[br] {{{-1 Il villaggio di cartone}}} || ○ || ○ || || || || 2014 || 초원은 돌아올 것이다[br] {{{-1 Torneranno i prati}}} || ○ || ○ || || || == 기타 == * 가족들도 영화 작업에 참여하는 영화인 집안이며 아들 파비오 올미는 촬영감독, 딸 엘리자베타 올미는 영화 제작자로서 활약하고 있다. * [[자크 리베트]]의 도끼에 손대지 마라, [[타비아니 형제]]의 [[레인보우: 나의 사랑]] 제작에 참여한 바 있다. * 현대 이탈리아 감독 중에선 [[알리체 로르바케르]]가 에르만노 올미에게 영향을 받은 편이다. [[분류:이탈리아 영화 감독]][[분류:1931년 출생]][[분류:2018년 사망]][[분류:베르가모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