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03년 출생]][[분류:1960년 사망]][[분류:독일의 정치인]][[분류:나치당원]][[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브래드포드 출신 인물]] [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include(틀: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친위대 상급집단지도자[br]{{{+2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br]Ernst Wilhelm Bohle''' ||||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볼레1.jpg|width=100%]]}}}|||| || {{{#FFF 이름}}} ||<(>'''Ernst Wilhelm Hans Bohle'''[br] 에른스트 빌헬름 한스 볼레 || || {{{#FFF 출생}}} ||<(>[[1903년]] [[7월 28일]] [br] [[영국]] 브래드포드 || || {{{#FFF 사망}}} ||<(>[[1960년]] [[11월 9일]] (향년 57세) [br] [[서독]] 뒤셀도르프 || || {{{#FFF 복무}}} ||<(>[[슈츠슈타펠]] || || {{{#FFF 최종계급}}} ||<(>[[슈츠슈타펠]] [[대장(계급)|대장]] (상급집단지도자)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볼레.jpg|width=100%]] || || [[슈츠슈타펠|SS]][[중장]]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나치 독일]]의 정치인, 대관구 지휘자, [[슈츠슈타펠|친위대]] 대장이다. == 초기 행적 == [[1903년]] 볼레는 영국 [[브래드포드]]에서 이민한 독일인 대학 교수 헤르만 볼레의 아들로 태어났다. 3년 후 남아프리카의 케이프타운으로 이주하였고, 유년시절을 그곳에서 보냈다. [[1920년]]이 되자 고국인 독일로 가서 쾰른, 베를린 대학에서 정치학, 경영학을 1923년에 베를린 경제학 학교를 졸업하였다. [[1924년]]부터 라인란트주와 함부르크에서 여러 기업체와 무역상사의 직원이나 지점장으로 취직했으며, [[1927년]]에는 [[크라이슬러]] 직원으로 고용되었다. == [[나치당]] 행적 == [[1930년]]에는 크라이슬러를 나와 함부르크에서 이집트 영사관 통역관, 개인 자동차 회사를 차려 사업을 키우던 중 [[1931년]]에 [[나치당]]이 새로 설립한 외국조직부의 초대 부장인 [[한스 닐란트]] 박사와 외국조직부를 세운 [[그레고어 슈트라서]]의 조수로 근무하게 되었고, [[1932년]]에 정식으로 [[나치당]]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친위대에도 입대하여 바로 [[소장(계급)|소장]][* 여단지도자] 계급을 받았다. || [[파일:에른스트 빌헬름 볼레.jpg|width=100%]] || || 대관구 지휘자 볼레 || [[1933년]] 닐란트 박사가 사임하고, 볼레는 외국조직부의 부장에 올랐으며, 당 계급은 대관구 지휘자가 되었다. 그리고 [[루돌프 헤스]]의 보좌관이 되었고, 제국의회에도 당선되었다. 외국 조직부는 독일 이외에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나치당 조직원들을 모으는 부서였다.[* 부서 설립 전에도 파라과이를 시작으로 외국의 [[나치즘]] 찬동자들을 모았다. 그 세력 범위는 매우 넓었고, 가까운 [[오스트리아]]를 비롯하여, [[프랑스]], [[영국]] 등 전 유럽에도 세력을 퍼뜨렸고, 더 나아가 [[남미]], [[아프리카]], [[북미]]에도 나치즘과 관련 사상의 지지자들을 끌어들였다.] || [[파일:볼레2.jpg|width=100%]] || [[파일:볼레3.jpg|width=100%]] || || 왼쪽 사진은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 오른쪽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외무부 장관 및 [[슈츠슈타펠|SS]][[대장(계급)|대장]]과 찍은 사진이다. || [[1937년]]에는 외무부 국무비서에 올랐고, [[1943년]]에 친위대 [[대장(계급)|대장]][* 상급집단지도자]까지 승진하였다. || [[파일:볼레4.png|width=100%]] || || [[슈츠슈타펠|SS]][[대장(계급)|대장]] 볼레 || 그리고 더욱이 외국 당원들을 모아 외국의 나치들을 만들었다. 이 나치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직접적으로 독일의 편에 붙지는 않았지만, 간접적으로 나치와의 교역과 협력을 추구하였다.[* 심지어 나치 독일의 적국인 연합국인 나라에서도 외국조직부가 퍼뜨린 나치들이 있으며, 이들은 훗날 2차 대전이 끝나자 신 나치들이 독일이 아닌 다른 나라들에서 아주 많이 출현하게된 그 뿌리를 심게되었다.] == 전후 재판과 행적 == || [[파일:볼레5.jpg|width=100%]] || || [[파일:볼레6.jpg|width=100%]] || || 법정에서의 볼레 || 전쟁이 끝나고, 볼레는 뉘른베르크 하위 재판인 [[뉘른베르크 빌헬름 가 재판]]에서 5년 형을 선고받았으나 [[1949년]]에 석방되었다. 그후 [[함부르크]]에서 무역상을 지내다가 [[1960년]]에 [[뒤셀도르프]]에서 향년 57세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