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3><:> {{{#FFFFFF {{{+3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br]Eridanus Cluster}}} || ||<-3> [[파일:eri.gif|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2><:> {{{#FFFFFF 별자리}}} || [[에리다누스자리]], [[화로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소속 은하 '''}}} || 200개 이상 || ||<-2> {{{#FFFFFF '''거리'''}}} || 약 7,500만 [[광년|{{{#3366aa 광년}}}]][br] 약 2,300만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명칭'''}}} || ||<-3> 화로자리 II 은하단, de Vaucouleurs Group 31 || [목차] == 개요 == {{{+1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은 [[에리다누스자리]]와 [[화로자리]] 경계부근에 약 7,500만 광년 떨어져 있는-[[은하단]]이다. == 상세 == 1933년에 로버트 호레이스라는 천문학자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이후 de Vaucouleurs이라는 천문학자가 1975년에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면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화로자리 은하단]], [[황새치자리 은하단]]과 함께 남부 초은하단을 이루며 두 은하단과는 먼 미래에 서로 합병단계를 거칠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는 대략 1,000만 광년으로 추정되며 SO형 [[타원은하]]가 다른 은하단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이 나이가 어리지만 다른 [[은하단]]과의 충돌이 꽤 오랜시간동안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은하단과는 달리 SO형 [[타원은하]]가 [[렌즈형은하]]나 다른 타원은하로 진화하기 전에 거치는 단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처녀자리 은하단]]과 같이 여기에도 하위 은하군이 존재한다. * NGC 1407 은하군: 은하단에서 가장 큰 은하군으로 NGC 1407을 중심으로 하는 은하군이다. * NGC 1395 은하군: NGC 1395를 중심으로 하는 은하군으로 에리다누스자리 은하군으로도 불린다. 다른 두 은하군과는 약간 떨어져 있으나 중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 NGC 1332 은하군: NGC 1332를 중심으로 하는 은하군으로 NGC 1395 은하군 남동쪽에 위치해 있다. * -- NGC 1255 은하군 -- : NGC 1255를 중심으로 하는 은하군으로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에 속해 있다고 추정되었지만 거리가 다른 은하군들과는 약간 차이가 나서 현재는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과 함께 남부 초은하단을 구성하는 은하군으로 정정되었다. 이외에도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에서 가장 유명한 은하인 [[NGC 1300]]과 [[NGC 1232]], NGC 1398이 있으나 이들은 은하단의 외곽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하위 은하군에는 속하지 않는다. 에리다누스자리 τ^^4^^와 에리다누스자리 τ^^5^^ 위쪽에 위치해 있으며 20도나 되는 지역에 퍼져 있다. == 관련 문서 == * [[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 [[처녀자리 은하단]] * [[NGC 1232]] * [[NGC 1407]] * [[NGC 1300]] [[분류:은하]][[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은하군/은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