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릭 서캠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외국인 선수)] ---- ||
'''에릭 서캠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42번}}}''' || || [[에스밀 로저스|로저스]] [br] (2015~2016.6.) || {{{+1 →}}} || '''{{{#FFFFFF 서캠프 [br] (2016.7~2016.10)}}}''' || {{{+1 →}}} || [[카를로스 비야누에바|비야누에바]] [br] (2017)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저스 서산 캠프.jpg|width=100%]]}}} || ||<-2> '''{{{+1 에릭 마이클 서캠프}}} [br] Eric Michael Surkamp''' || || '''생년월일''' ||[[1987년]] [[7월 16일]] ([age(1987-07-16)]세)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출신지'''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 || || '''학력'''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신체''' ||198cm, 95kg || || '''프로입단''' ||2008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77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 '''소속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11, 2013) [br] [[시카고 화이트삭스]](2014) [br] [[LA 다저스]](2015) [br] [[오클랜드 애슬레틱스]](2016) [br] [[한화 이글스]](2016)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6년 [[한화 이글스]]가 부상으로 [[에스밀 로저스]]를 [[웨이버 공시]]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영입한 좌완 [[투수]]였다. == [[KBO 리그]] 진출 이전 == 2008년 신인 드래프트 6라운드에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입단하자마자 AA리그를 초토화시키고 메이저로 콜업되었으나 몇 번의 선발 등판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 뒤 [[토미 존 수술]]을 받았고, 예전의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채 한국으로 오게 되었다. 2016년 한화로 오기 전까지만 해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서 뛰고 있었던 '''현역 메이저리거'''다. 오클랜드에서 웨이버 공시됐고, 텍사스 레인저스가 서캠프를 데려갔다. 이적 후 마이너리그 트리플A 라운드락 익스프레스로 내려갔다. 그 후 원래 [[LG 트윈스]]에서 영입 설이 돌았으나,[* LG 트윈스는 코프랜드를 방출하고 좌완 [[데이비드 허프]]를 영입한다. ~~서캠프 거르고 [[데이비드 허프|허프]]! 트윈스의 신의 한 수!~~] 결국 한화와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3&aid=0007337611|총액 45만 달러에 계약했다.]] 구단간 합의에 따라 이적료는 밝히지 않는다고 한다. 그동안 외국인 투수 영입설이 어느 구단이던 나올 때마다 높은 확률로 언급되던 투수였으나 본인이 메이저리그 도전을 위해 계속 영입 제의를 거부한 걸로 알려졌다. == [[한화 이글스]] 시절 == 7월 14일 전반기 마지막 경기이자 LG 3연전 마지막 경기에 선발로 등판하여 초반 영점을 찾느라 볼질(...)을 하며 불안한 피칭을 하였으나, 곧 여러 구질을 보며주며 4이닝까지 상대 타선을 잘 틀어막았다. 그러나 5회 연속 안타를 맞으며 무너져 아웃카운트 하나를 겨우 잡으며 1점을 내줬다. 4.1이닝까지 소화한 상태에서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에게 마운드를 넘겨주어 승리 요건을 만들지 못하였고 '키 큰 [[미치 탈보트|탈보트]]', '백인 [[정우람]]', '마에스트리와 [[에스밀 로저스|로저스]]를 오고 가는 ~~재미있는~~ 투수' 등의 평가를 들었다. 송창식의 폭투와 [[송광민]]의 플라이 포구 실패로 점수가 난 것은 아쉬운 부분. 7월 20일 kt전 첫번째 경기에서 선발로 등판하여 1이닝과 2이닝 모두 삼자범퇴로 처리하는 등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5회에 1실점을 하기는 했지만 그 후로 6이닝을 꾸역꾸역 막으며 최종적으로 6이닝 4볼넷 5삼진 4피안타 1실점 퀄리티 스타트로 두번째 선발 등판을 마무리 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팀 타선이 터지지않으며 kbo 첫승은 다음기회로 넘어가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피칭을 보여줬지만 6이닝에서 볼넷2개를 내주는 모습을 보여주며 체력적인 부분에서는 약간의 의구심을 남기게 된 경기였다. 7월 31일 두산전에서 난타를 당하며 2이닝 9피안타 6실점 강판. 8월 6일 [[NC 다이노스]]전에서는 1회부터 5실점을 했다. 8월 8일 [[김성근]] 감독의 '장점을 하나도 찾을 수가 없다'는 악평과 함께 ~~이름 따라 [[서산시|서산]]캠프~~ ~~상대팀에겐 힐링캠프~~ [[서산전용연습구장|서산 야구장]]에서 훈련을 받았다. 8월 12일 롯데전에 선발등판했으나 역시 4.1이닝 3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되는데는 실패했다. 8월 18일 LG전 선발투수로 등판해 1이닝 4피안타 2실점하고 교체됐다. 팀은 [[우규민]]과 [[이준형(야구선수)|이준형]]을 공략하면서 5-8로 역전승. 8월 19일 결국 1군 말소됐다. 대체 선수는 [[이성열(1984)|이성열]]. 8월 23일 상무와의 2군 경기에서 타석에 선 내야수 [[박지규]]에게 헤드샷을 날려 퇴장당했다. 머리에 공을 맞은 박지규는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2군에서도 민폐~~ 9월 1일 확대 앤트리를 맞이하여 불펜투수 보직을 승락하고 1군에 콜업되었다. 그 후 추격조로 올라오면서 그나마 밥값을 하려 노력 중. 8일 KT전에 4번째 투수로 등판해서 시즌 첫승을 챙겼다. 당시 패전투수는 [[홍성용]]. 불펜전환 이후 7.1이닝 동안 8개의 삼진을 잡으면서 2자책점만을 내주며 서서히 적응해 나가고 있다. 필승조가 아닌 추격조로써 임팩트는 없지만 일단 나오면 실점없이 1~2이닝을 안정적으로 막아준다는 점이 인상적인 부분이다. 다만 내년 재계약을 노리려면 선발로써 제모습을 찾아주거나 마무리로 전향을 해야하는데 일단 [[정우람]]이라는 팀내 주전 마무리가 버티고 있으므로 선발전환 전까지는 아직까지는 전망이 불투명한 상태. 9월 11일 선발인 [[파비오 카스티요]]가 5실점으로 조기강판 후 다음 투수로 나와 1.2이닝동안 3개의 삼진을 뽑아내며 다음 이닝 [[김회성]]의 역전 만루홈런에 힘입어 시즌 2승째를 챙겼다. 참 신기한건 1달전에 마운드에서 만난 [[메릴 켈리]]를 상대로 승리투수가 됐다. 9월 13일 7회 무사 1루 상황에서 선발투수 [[이태양]]의 구원투수로 등판, 1.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비록 무삼진 2안타를 맞아 불안불안했지만 결과적으로 위기관리능력을 발휘해 실점은 받지 않았다. 하마터면 또 다시 승리투수가 될 뻔... 김성근 감독도 경기 이후 [[박정진]]과 함께위기를 잘 막았다고 칭찬했다.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11&aid=0000650179|링크]] 9월 14일 다시 구원투수로 등판하였으나 솔로 홈런을 허용하는 등 '''블론세이브'''를 기록하며 부진했고 구원투수로 등판한 [[장민재]]의 분식회계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 9월 25일 SK전에서 처음부터 1이닝 3피안타(1피홈런) 4자책 1K로 거하게 얻어맞고 강판됐다. 10월 5일 kt전에서 송은범[* '''공 4개로 3타자를 모두 범타 처리하는''' 의문의 활약을 선보였다.]의 뒤를 이어 3이닝을 무사히 막아 세이브 1개를 기록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GUHbEWHJk7M)] 키 198cm에 95kg라는 훌륭한 체격을 갖춰서 체격만 보면 강속구 투수일 것 같지만, 수술의 여파인지 구속은 그리 빠르지는 않다. 140km/h 중반의 패스트볼과 투심, 커터, 커브, 체인지업 등 다양한 변화구와 좋은 제구력으로 승부를 보는 피네스 피쳐. 또한 좌완선발로서 공을 숨기는 디셉션 동작이 좋다. 크로스 동작과 왼팔이 뒤로 뻗는 동작을 보면 마치 [[매디슨 범가너]] 혹은 LG 트윈스에서 뛰었던 [[벤자민 주키치]]를 보는 듯 하다. 범가너 만큼의 구위가 없지만. ~~이제 한화는 [[송은범|송은범가너]]와 짝퉁 범가너를 갖게 되었다.~~ 다만 빠르지 않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MLB기준이지 한국리그에서 140대 중반은 좌완임을 감안하면 빠른 편에 속하며 게다가 나이까지 젊어 한화 입단 전부터 KBO 여러 팀이 탐내던 투수였고 마이너리그 실적도 매우 우수하며 실제로 [[셰인 유먼]]이나 [[밴헤켄]] 등 구속은 빠르지 않지만 제구력이 좋은 좌완선발들이 KBO에서 성공을 거둔 사례가 여러 차례 있어 미국에서나 한국에서나 공통적으로 KBO에 가면 크게 성공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었'''다. 실패의 가장 큰 요인은 공인구 적응 문제. 진흙을 바르지 않아 미국과 그립감이 다른 KBO 공인구에 도저히 적응을 하지 못했다고 하며 실제로 주무기인 너클커브를 끝까지 제대로 던지지 못하였고 가진 실력을 다 보여주지 못하였다. 결국 용병은 실력만큼이나 적응력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준 좋은 사례로 남게 되었다. == 기타 == * [[이대호]]의 '''메이저리그 첫 홈런'''의 [[허용투수]]였다. 게다가 [[추신수]]와도 맞붙은 적이 있다. ~~한국에 오기 위해 팬들에게 눈도장을 찍은 거라 카더라~~ * 서캠프에 대해 소개해 놓은 기사에서는 "[[KBO 리그]]에서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투수이지만, 코칭 스태프의 [[살려조|기용방식]]이 관건"이라는 평을 내렸다. 게다가 "지금의 기용방식이라면 동캠프, 남캠프, 북캠프가 와도 안 된다"는 [[돌직구]]를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00838|날렸다]]. ~~[[NC 다이노스|NC]], [[한화 이글스|한화]]는 로테이션에 왼손 선발투수가 없다~~ 그 와중에 서캠프는 4일 로테이션도 문제없다는 인터뷰를 [[http://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17&aid=0002786818|했다.]] 지난번 카스티요도 그렇고 이런 [[살려조|황당한 투수 운용]]에 팬들은 기가 찰 노릇. * 이름 때문에 [[한화 이글스/2군|서산 캠프]] 드립, [[캠프 파이어]] 드립이 흥했다. 별명에 부응하듯 선발로 나올 동안 신나게 털렸고 2군에 내려간 뒤 추격조로 등판하면서도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결국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76&aid=0003002853|카스티요와 함께 퇴출 예정]]이라는 기사가 떴다. 60구만 던진다는 선언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감독과의 불화와 공인구 부적응으로 끝내 KBO와의 결별을 택한 듯. ~~외인 3인방의 표정이 정말로 행복해보였다 카더라~~ * 귀국 후 다시 ML로의 복귀를 시도하고 있지만, 중급의 투수였음에도 의문의 부진 끝에 퇴출된 탓에 팀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이 떴다. 에이전트들 사이에 기대치가 낮지 않던 투수가 부진하자 역시나 [[한화 이글스|팀]]의 [[김성근|투수운용]]에 [[살려조|문제]]가 있다는 소문이 해외 리그에 퍼졌다고(...). * 결국 팀을 구하지 못하고 최근 부동산 사업을 시작했다고 한다. == 통산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1 ||<|3>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6 || 26⅔ || 2 || 2 || 0 || 0 || 0.500 || 5.74 || 32 || 1 || 19 || 13 || 18 || 17 || 1.84 || || 2012 ||<-15>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등판 기록 없음 || || 2013 || 1 || 2⅔ || 0 || 1 || 0 || 0 || 0.000 || 23.63 || 9 || 2 || 2 || 0 || 7 || 7 || 3.3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4 || [[시카고 화이트삭스|CHW]] || 35 || 24⅓ || 2 || 0 || 0 || 0 || 1.000 || 4.81 || 22 || 3 || 14 || 20 || 14 || 13 || 1.44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5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1 || 3⅓ || 0 || 0 || 0 || 0 || - || 10.80 || 4 || 2 || 3 || 4 || 4 || 4 || 1.5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6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9 || 38⅔ || 0 || 5 || 0 || 0 || 0.000 || 6.98 ||55 || 8 || 26 || 22 || 32 || 30 || 1.97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6 || [[한화 이글스|한화]] || 17 || 41⅓ || 2 || 5 || 1 || 0 || 0.286 || 6.53 || 54 || 5 || 22 || 36 || 32 || 29 || 1.72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0275d8 MLB}}}]] 통산''' [br] (5시즌) || 52 || 95⅔ || 4 || 8 || 0 || 0 || 0.333 || 6.68 || 122 || 16 || 64 || 59 || 75 || 71 || 1.82 || ||<-2> '''[[KBO 리그|{{{#0275d8 KBO}}}]] 통산''' [br] (1시즌) || 17 || 41⅓ || 2 || 5 || 1 || 0 || 0.286 || 6.53 || 54 || 5 || 22 || 36 || 32 || 29 || 1.72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KBO)]]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신시내티 출신 인물]][[분류:1987년 출생]][[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