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마우리스1.jpg|width=100%]]}}}|| ||<#666> '''{{{#FFF 이름}}}''' ||<(>'''Emil Maurice'''[br] 에밀 마우리스|| ||<|2><#666> '''{{{#FFF 출생}}}''' ||<(>[[1897년]] [[1월 19일]] || ||[[독일 제국]] 베스터무르 || ||<|2><#666> '''{{{#FFF 사망}}}''' ||<(>[[1972년]] [[2월 6일]] (향년 75세) || ||[[서독]] 뮌헨 || ||<#666> '''{{{#FFF 복무}}}''' ||<(>[[슈츠슈타펠]] (1932년 ~ 1945년) [br] [[루프트바페]] (1940년 ~ 1942년) || ||<#666> '''{{{#FFF 최종 계급}}}''' ||<(>[[슈투름압타일룽]] 최상급지도자 [br] [[슈츠슈타펠]] [[상급대령]] (상급지도자) || ||<#666> '''{{{#FFF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br] [[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우리스2.jpg|width=100%]]}}}|| || 왼쪽부터 '''[[아돌프 히틀러]], 에밀 마우리스, [[헤르만 크리벨]], [[루돌프 헤스]], [[프리드리히 베버]]'''이다. || [[나치 독일]]의 정치인, 1대 [[SA|돌격대]] 최상급지도자, [[슈츠슈타펠|친위대]] [[상급대령]]이다. == 생애 == === 초기 행적 === [[독일 제국]]의 베스터무르에서 태어난 마우리스는 실업학교를 졸업한 후 시계공으로 일하다가 횡령혐의로 전과기록을 남겼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부터 [[1919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육군으로 종군했다. === [[나치당]] 활동 === 전후 [[나치당]]에 입당해 [[아돌프 히틀러|히틀러]]의 운전수로 일하다가 [[1920년]]부터 [[1921년]]에 걸쳐 막 창설된 돌격대의 최초인 최고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1923년]]에 나치당 당수인 히틀러의 개인경호부대인 '''<아돌프 히틀러 호위대>'''가 창설되자 첫 대원이 되기도 했던 마우리스는 [[1923년]] [[11월 9일]]의 [[뮌헨 폭동]]에 참가했다가 봉기실패로 히틀러와 함께 란츠베르크 형무소에 투옥되었다. 형무소 내에서 히틀러와 가장 친하게 지냈던 그는 히틀러가 집필한 <[[나의 투쟁(자서전)|나의 투쟁]]>에서 그 이름이 나오는 몇 안되는 인물이기도 했다. [[1924년]] 말에 히틀러의 석방 후 히틀러의 보디가드 겸 운전수로 일한 마우리스는 [[1927년]]에 히틀러가 귀여워하던 조카인 안겔라 라우발을 좋아하다가 히틀러의 불쾌감을 사서 좌천되었다. === 친위대 입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밀 마우리스 소령.jpg|width=100%]]}}}|| || [[슈츠슈타펠|SS]][[소령]] 마우리스 || [[1932년]]에 친위대에 입대한 마우리스는 고참당원이었기에 친위대 국가지도자였던 [[하인리히 힘러]]에 이어 2번의 대원번호를 받았지만 특별히 중요한 직무는 받지 못했다. 친위대 상급대령이던 마우리스는 [[1933년]]에 히틀러가 정권을 잡은 후 [[뮌헨]] 시의 시의원을 지냈다. 힘러는 [[1935년]]에 마우리스가 결혼할 당시 가계조사를 벌여 마우리스에게 유대인의 피가 흐르고 있다고 주장하며 당과 친위대에서 그를 축출해야 한다고 히틀러에게 건의했지만 히틀러는 이를 거부했다. 이 일로 히틀러와 마우리스는 다시 관계가 회복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과 [[전범 재판]] === [[1940년]]부터 [[1942년]]까지 [[루프트바페|독일 공군]]에서 장교로 일한 마우리스는 전후 [[1948년]]에 [[전범 재판]]에 회부되어 4년의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 후 [[1972년]]에 [[뮌헨]]에서 사망했다. == 대중매체에서 == 하츠 오브 아이언 4의 MOD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 [[나치 독일]]의 식민지 [[마다가스카르]]의 총독으로 등장. 유대계의 피가 섞여 있으나 [[히틀러]]의 쉴드와 [[나치당]] 내에서도 무난했던 위치와 존재감 덕에 무탈하게 지냈던 역사와 다르게 여기선 유대계라는 이유로 마다가스카르로 좌천된 것으로 나온다. 이 때문에 실의에 빠져 하루하루를 보내며, 언젠가 독일로 돌아갈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지만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는 [[허수아비]] 기믹. 그러나 TNO의 설정 변경으로 마다가스카르가 독일령 식민지가 아닌 [[비시 프랑스]] 식민지가 되면서 없는 일이 되었다. [[히틀러가 되었다]]에선 겔리 라우발과 결혼해 자식도 3명이나 낳고 SS 제국지도자까지 진급했다. 계급상으론 [[힘러]]와 동급이나 실질적인 권한은 없는 명예직으로 [[뮌헨]]에서 소일거리나 하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분류:1897년 출생]][[분류:1972년 사망]][[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제국군/군인]][[분류:독일 국방군/인물]][[분류:독일의 정치인]][[분류:나치당원]][[분류:슈투름압타일룽/인물]][[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유대계 독일인]][[분류: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