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서포트 카드, top2=필살기 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554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에볼루션 버스트, 일어판명칭=エヴォリューション・バースト, 영어판명칭=Evolution Burst,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사이버 드래곤"이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의 카드 1장을 선택하고 파괴한다.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사이버 드래곤"은 공격할 수 없다.)] [[멸망의 폭렬질풍탄]]처럼, [[사이버 드래곤]]의 공격명을 그대로 카드로 만든 [[필살기 카드]] 중 하나이다. 사이버 드래곤이 범용성이 높고 소환하기도 쉬운 카드인데다 이름을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하는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 [[사이버 드래곤 츠바이]], [[사이버 드래곤 코어]], [[사이버 드래곤 드라이]], 사이버 드래곤 퓌어, 사이버 드래곤 헤르츠, [[사이버 드래곤 지거]], 사이버 드래곤 넥스테아도 있기 때문에 필살기 카드류 중에는 가장 발동하기 간편하긴 하나, 안타깝게도 그걸 고려한 건지 효과는 제일 약한 편이다. 카드 한장을 제한 없이 파괴하는 것은 좋지만 발동한 턴에 이 카드를 발동하기 위한 대상이 된 카드는 물론 아예 "사이버 드래곤"이 이름인 카드는 공격을 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이 카드를 발동하기 위해 사이버 드래곤이라 이름 붙은 대용품을 사용해도, 그 카드는 물론 진짜 어태커인 사이버 드래곤의 공격 또한 틀어막힌다는 것. 맹세 효과이기 때문에 공격한 뒤 메인 페이즈 2에 발동하는 것도 불가능. 따라서 그냥 '범용성 높은 [[비트 다운]] 요원'으로서 사이버 드래곤을 투입한 덱에서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일.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로 사이버 몬스터의 서치가 상당히 쉬워졌다 해도, 대상 지정 자체를 막는 몬스터나 효과 파괴 내성이 있는 몬스터는 넘쳐나기 때문에 매우 현 환경에서는 매우 비효율적이다. 차라리 [[사이버 드래곤 노바]]-[[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의 소환을 위해 랭크 5 엑시즈 소환을 위한 카드를 넣는 게 더욱 실용적이다. 그래도 쓰고 싶다면 이 카드의 발동 후 남아 있는 사이버 드래곤을 사이버 드래곤 노바-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로 바꿔먹거나, 정 안되면 [[사이버 트윈 드래곤]]이나 [[사이버 엔드 드래곤]]을 써서라도 필드에 남은 사이버 드래곤을 치우는 게 최선일 듯하다. 이후 [[사이버 엔드 드래곤]]의 필살기 카드인 [[이터널 에볼루션 버스트]]랑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의 필살기 카드인 [[에볼루션 리절트 버스트]]도 추가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숨겨진 세력]] || HA01-KR030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 터미널]] -싱크로 각성!!- || DT01-JP045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기광룡 습뢰]]- || SD26-JP020 || [[노멀]] || 일본 || || || [[숨겨진 세력|Hidden Arsenal]] || HA01-EN030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 DT01-EN045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