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에우스테놉테론}}}[br]Eusthenopteron}}}''' || ||<-2> [[파일:에우스테놉테론.jpg|width=100%]] || ||<#F93> '''학명''' || ''' ''Eusthenopteron'' '''[br]Whiteaves, 1881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육기어강^^Sarcopterygii^^|| || [[생물 분류 단계#강|{{{#000 '''아강'''}}}]] ||사지형어아강^^Tetrapodomorph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오스테올레피스목^^Osteolepiformes^^||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트리스티코프테루스과^^Tristichopte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에우스테놉테론속^^''Eusthenopteron''^^'''||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에우스테놉테론 포오르디(''E. foordi'')^^{{{-1 [[모식종]]}}}^^[br]Whiteaves, 1881 * †에우스테놉테론 웬유코위(''E. wenjukowi'')[br]Rohon, 1889 * †에우스테놉테론 사베소데르베르기(''E. savesoderberghi'')[br]Save-Soderbergh, 1932 * †에우스테놉테론 트라쿠아이리(''E. traquairi'')[br]Westoll, 1937 * †에우스테놉테론 파를로비엔시스(''E. farloviensis'')[br]White, 1961 * †에우스테놉테론 오브루케비(''E. obruchevi'')[br]Vorobyeva, 1977 * †에우스테놉테론 옌킨시(''E. jenkinsi'')[br]Downs ''et al.'', 2018|| || [[파일:에우스테놉테론 복원도.jpg|width=1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3억 8500만 년 전 [[고생대]] [[데본기]]에 나타난 고대 어류. 발견 직후 현재까지도 사지형어류와 초기사지동물진화의 아이콘으로 엄청난 네임드를 자랑한다. 보통 육지를 오르내리던 물고기로 알려져있지만 실제로는 연구에 따르면 엄밀히 말해, 그냥 수생 동물이었다고 한다. == 특징 == || [[파일:에우스테놉테론 화석.jpg|width=600]] || || 에우스테놉테론의 화석 || 몸길이는 모식종이 1.5m, 옌킨시종의 경우 2.1m 정도로 추정되는 꽤나 큰 어류였다. 초기 사지동물의 것과 공유되는 여러 독특한 특성들이 보인다. [[이크티오스테가]]와 [[아칸토스테가]]에게서 보이는 두개골 천정골의 패턴이 비슷하다. 또한 다른 사지형어류들과는 달리[* 현재 살아있는 [[폐어]]와 [[실러캔스]]는 제외] 비강을 가지고 있다. [[이빨]]은 다른 [[어류]]의 돌기 형태의 이빨이 아닌 애나멜 물질로 감싸인 모습을 띄고 있다. 다만 두개골이 두개골내관절을 따라 길게 붙어 있는 두 개의 부위로 나누어져 있어 다른 대부분의 육기어류들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근연종으로 [[히네리아]]가 있으며 히네리아보다는 작았지만 입을 벌린 복원도를 보면 이빨이 상당히 날카로운 편인데다 에우스테놉테론 자체의 덩치도 있다보니 이 녀석도 생태계에서 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대중 매체 출연 == EBS [[다큐멘터리]] [[생명 40억년의 비밀]]의 3번째 에피소드에서 해양생물이 육지로 올라가는 진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에 등장한다. 극중 한 마리는 작은 물고기를 잡았지만 곧 [[둔클레오스테우스]]에게 잡아먹힌다. [[벼랑 위의 포뇨]]에서 다른 고대 어류와 함께 잠깐 등장한 적이 있다. [[에덴의 우리]]에서는 야라이가 잡아온 물고기로 나온다. [각주] [[분류:트리스티코프테루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