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에위니아)] [include(틀:2006년 태풍)] || [[2006년|{{{#FFF '''2006년'''}}}]] [[태풍|{{{#FFF '''태풍'''}}}]] || || 제2호 [[즐라왓#s-3]] → '''제3호 에위니아''' → 제4호 [[빌리스#s-3]] || ||<-3> '''{{{+5 {{{#!html 2006년 제3호 태풍 에위니아}}}}}}''' || ||<#3594D3> {{{#ffffff 위성사진}}} ||<-2>[[파일:Ewiniar200607070210Z.jp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2>[[파일:Ewiniar2006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 2006년 7월 1일 3시 ~ 2006년 7월 10일 21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2> [[북마리아나 제도]], [[대만]], [[일본]] [[류큐 제도]], '''[[대한민국]]''', [[북한]], [[러시아]] [[프리모리예 지방]], [[사할린 섬]] || || {{{#white 태풍 등급}}} ||<-2><:> {{{#000 '''4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2> '''중형(직경 75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30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67 m/s''' || || 10분 평균 || '''51 m/s''' || [목차] [clearfix] == 생성과 소멸 == [[미국]] [[괌]] 남서쪽 약 1,01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북서쪽으로 이동하며 발달하여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중심기압 930hPa, SSHS 기준 4등급의 슈퍼태풍으로 최성기를 맞고 쭉 약화되다 오키나와, 제주 동쪽 해상을 거쳐 7월 10일 12시쯤 [[전라남도]] [[진도군]]에 10분 평균 풍속 26m/s로 상륙하여 서해안을 따라 [[대한민국]]을 관통하였다. 그리고 같은 날 21시 [[강원도]] [[횡성군]]과 [[홍천군]] 사이에서 소멸했다. == 피해 == || 당시 상황을 알 수 있는 뉴스 자료 [[https://imnews.imbc.com/replay/2006/nwdesk/article/1991129_29291.html|MBC]]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1184197|KBS]]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tvh&oid=055&aid=0000074868|SBS]]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tvh&oid=001&aid=0001905298|연합뉴스]] || 정부는 심상치 않음을 느꼈는지 태풍 상륙 하루 전부터 전국에 '''국가 위기 경보'''를 내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tvh&oid=214&aid=0000010296|#]] 상륙 당시 남부 지방에 200mm 이상의 집중호우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사망자 9명에 약 1,000세대의 이재민이 발생하였으며, 7월 18일 [[경상도]]와 [[경남]] 남해안 일부 지역[* [[진주시]], [[의령군]],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합천군]], [[경주시]], [[울주군]], [[완도군]]]에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되었다. '''문제는 에위니아가 상륙한 후에 벌어진 집중호우였다.''' 에위니아가 상륙했을 때 태풍에 대한 대비만 했지, 그 뒤에 폭우가 중부 지역을 강타할 줄은 상상을 못했다. 에위니아로 인해 대기가 불안정해져 비가 자주 내렸는데 결국에는 7월 12일부터 7월 16일까지 이어지는 역대급 장마로 중부 지방에서는 200mm~300mm나 되는 비가 내려서 50명 넘게 사망하고 시가지 침수, 하천 범람, 산사태를 경험하게 되었고 재산피해액은 늘어나서 약 '''1조 8천억 원(역대 3위)'''이라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참고로 역대 1위는 [[루사(태풍)|루사]]로 5조 천억 원의 재산피해를 입었고 2위는 [[매미(태풍)|매미]]이며 4조 2천억 원의 재산피해를 입혔다.] 한반도에 태풍이 직접 상륙한 것은 [[2003년]] 태풍 '매미' 이후 3년 만의 일인지라 피해가 막심했으며[* 메기와 나비도 있었지만 6년간의 태풍 중에서 그나마 피해가 덜한 태풍이었다.],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 이후 3번째로 전국 시, 도, 군, 구 25만 6천여 명의 공무원들이 '''비상 근무 체제'''에 들어갔다. 에위니아는 직접 큰 피해 내는 것보다 대기를 불안정하게 해서 이후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중부 지방에 집중호우가 내리게 하고 피해를 입은 상태로 가져오게 했다는 것은 독특한 태풍이라 할 수 있다. === 인명 피해 === ==== 9일 ==== * 9일 새벽 0시 30분쯤,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병포리 31번 국도에서 포항시 장기면 정모(31)씨가 운전하던 [[현대 그랜저]] 승용차가 15m 하천으로 떨어져 정씨가 숨졌다. * 새벽 3시 40분께 부산 사하구 괴정동 낙동로에서 [[기아 로체]]가 빗길에 미끄러지면서 도로 옆 화단을 들이받아 김모(25)씨가 숨졌다 * 아침 6시께,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 새마을육교 앞 도로에서 [[뉴 EF 쏘나타]], [[기아 옵티마|옵티마]] 택시 2대 등 택시 3대가 충돌해 승객 이모(25)씨가 숨졌다. * 오전 7시 55분께 경북 경산시 하양읍 남하리 국군통합병원 앞 4번 국도에서는 대구에서 포항 방향으로 달리던 [[쌍용 코란도/2세대|코란도]] 승용차가 가드레일을 들이받은 뒤 5m 언덕 아래 철로변으로 추락해 열차와 재차 추돌해 운전자 유모(26)씨가 차에서 튕겨나와 숨졌다. * 오전 8시께 양산시 남부동 아파트 신축현장에서 근로자 권모(57)씨가 웅덩이에 빠져 엎드려 숨진 채 발견됐다. * 오전 충남 홍성군 광리 교차로 근처에서 37살 임모 씨가 몰던 [[현대 그랜저]]와 맞은 편에서 오던 [[현대 스타렉스|스타렉스]]가 충돌해 임 씨와 임 씨 어머니가 숨지고, 11명이 다쳤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140382&plink=OLDURL&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 오전 10시 54분께에는 창녕군 장마면 신구리 신구천 인근 농로에서 전모(54)씨가 물빼기 작업을 위해 양수기를 설치하려다 불어난 물에 휩쓸려 실종됐다가 6시간 여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 낮 12시 30분께 경북 청도군 매전면 송원리농산물직판장 앞 복개도로에서 김모(여.87)씨가 호우로 불어난 물에 휩쓸려 10여m를 떠내려가 숨졌다. * 낮 12시31분께 창녕군 계성면 봉산리 최모(72)씨의 축사에서 최씨가 쓰러져 있는 것을 주민이 발견, 병원으로 옮겼으나 숨졌다. * 오후 1시께는 경북 칠곡군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면 부산기점 160㎞ 지점 갓길에 서 있던 김모(29)씨가 [[쌍용 렉스턴/1세대|쌍용 렉스턴]] 승용차에 치여 그 자리에서 숨졌다. 이 사고로 렉스턴 승용차가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고속도로 옆 20m 아래로 굴러 떨어지면서 운전자 문모(47)씨도 그 자리에서 숨졌다. * 오후 2시10분쯤 경북 칠곡군 가산면 중앙고속도로 부산기점 132㎞ 지점에서 아진고속 소속 버스가 빗길에 미끄러지면서 10여m 아래 하천으로 떨어졌다. 이 사고로 승객 김모(69.여), 홍모(여.46)씨가 숨지고 10여명이 중경상을 입어 치료 중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0214303|#]] * 오후 2시50분께 경북 상주시 모동면 백화산 입구 계곡에서 대구 모 산악회 회원인 이모(42.여)씨와 권모(62)씨 등 2명이 불어난 물에 휩쓸려 이씨가 숨지고 권씨가 실종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352207|#1]] ==== 10일 ==== * 새벽 3시, 울주군 범서읍 척과리에서 성모(여.55)씨가 은을암 방향으로 이동하던 중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가 17일 사망한 채 발견됐다.[[https://www.nocutnews.co.kr/news/171553?c1=225&c2=240|#]] * 5시 반 쯤에는 부산시 대저동 공항삼거리에서 청소차가 빗길에 미끄러지면서 교각을 들이 받아 인부 2명이 숨졌다. * 오전 7시 17분께 진주시 상대동 강변도로에서 시내버스(운전사 정모.52)가 중앙선을 넘어 4m 아래 남강으로 추락했다.이 사고로 정모(16)군이 실종됐고 운전사 정씨와 승객 성모(63.여)씨 등 9명이 중경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 오전 11시 30분께 산청군 금서면 평촌리 논 배수로에서 이모(69.여)씨가 물꼬를 틀다 급류에 휩쓸려 실종된 것으로 뒤늦게 드러나 모두 8명이 사망 또는 실종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사망자 제외 집계.] * 10일 오전 11시 40분께 함양군 병곡면 마평리 논에서 양모(68.여)씨가 쓰러져 있는 것을 주민이 발견,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 낮 12시 35분께 거제시 옥포동 성모(47.여)씨의 집 뒤편 절개지에서 흘러내린 토사에 의해 담이 무너지면서 성씨를 덮쳐 성씨가 부상당했다. * 낮 12시 40분께는 칠곡군 석적면 포남리 경부고속도로 하행선 부산기점 160km 지점에서 갓길에 서 있던 김모씨(30)의 [[현대 싼타페]] 승용차를 문모씨(48)의 [[현대 테라칸]]이 들이받아 운전자 2명 모두 숨졌다. * 10일 오후 1시께 청암면 모모씨(여.64)가 강풍으로 부러진 감나무 가지를 계곡에 버리러 갔다가 급류에 휘말려 실종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129818|#]] * 10일 오후 2시30분께 부산시 북구 만덕동 디지털도서관 위쪽 산에서 토사와 물 수십t이 순식간에 도로 쪽으로 쏟아져 내렸다.이를 본 어머니 박모(36.여)씨가 건너편에 있던 아들(9)을 구하려고 도로를 건너다 물과 토사에 휩쓸리면서 부근에 주차된 차량에 부딪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후에 박씨는 부산시의 태풍피해 집계에서 누락된것이 밝혀져 논란이 있기도 했다.[[https://www.nocutnews.co.kr/news/169992?c1=225&c2=229|#1]][[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15&oid=214&aid=0000010689|#2]] * 오후 2시 40분 쯤엔 경북 성주군 가천면 화죽리의 하천가에서 왕모(13)군이 하천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140780&plink=OLDURL&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 오후 3시, 울진 기성면 다천리 마을 앞에서 '''[[싱크홀|길이 내려 앉으면서]](!!!)''' 주행하던 차가 추락해 운전자 배모(56)씨와 부인 이모씨가 다쳤다.[[http://news.imaeil.com/page/view/2006071410553687341|#]] ==== 11일 ==== * 오전 5시 20분쯤 대구 북구 조야동 김해 김씨 재실 앞 개천 옆에서 이 동네 김모(75·여) 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길가던 김 씨가 불어난 개천에 빠져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 ==== 12일 ==== * 오전 7시30분께 남양주시 별내면사무소 3거리에서 배수작업을 하던 환경미화원 이모(48)씨가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 * 오후 3시 10분께 경기도 양주시 백석면 백석중학교에서 1㎞ 가량 떨어진 하나로마트 앞에서 도랑을 건너던 학생 박소연(14)양과 재범(13)군 남매가 불어난 도랑물에 휩쓸려 실종되고 함께있던 김모(여.14)양은 부상을 입었다. * 오후 4시 20분께 일산동구 장항동 농수로 다리를 건너던 이모(29)씨가 불어난 물에 발을 헛디뎌 다리 아래로 추락해 숨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130562|#1]] ==== 13일 ==== * 오전 11시 10분께 남양주시 별내면 용암천에서 실종된 환경미화원을 수색중이던 이모(48.남양주 해병전우회 지회장)씨가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가다 119구조대에 구조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https://www.nocutnews.co.kr/news/170541?c1=191&c2=200|#]] ==== 15일 ==== * 오전 9시 30분, 폭우를 피해 대피하던 이모(45)씨가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 * 오전 10시, 봉평면 흥정리 흥정계곡에서는 중장비 기사 이모(28)씨가 급류에 빠져 실종됐다. * 오전 10시 05분, 인제 덕신리에서 부대로 복귀하던 신용훈(39)육군 소령이 게곡물에 휩쓸려 순직했다. * 오전 10시 30분, 인제 북면 어두원리 명당골에서 이모(여.59)씨가 토사에 휩쓸려 실종되었다. * 오전 10시 40분께 인제 기린면 북리에서 천모(85)씨가 논물을 보던 중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 * 오전 11시쯤 인제군 남면 신남리 선착장 근처에서 폭우로 주택이 무너지면서 이 집에 살던 60대 여성이 숨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15&oid=052&aid=0000122536|#]] * 오전 11시 10분께 인제군 남면 부평리 박모(78.여)씨가 폭우를 피해 대피하다 흘러내리는 토사에 휩쓸려 숨졌다. 이때, 인제군 남면 부평리의 다른 마을에서는 백모(76.여)씨가 폭우에 휩쓸려 사망했다. * 오전 11시 30분, 인제 기린면 북면3리에서 산사태가 발생해 박모(여.70)씨 집을 덮쳐 박씨가 실종되었다. * 낮 12시쯤 평창군 진부면 송정2리 백 모(63)씨, 오모(여.61) 부부가 산사태에 매몰돼 숨졌다. * 비슷한 시간, 평창 도암면 용산리 모 팬션 앞에서 김모(57)씨가 밭에 나갔다 실종되었다. * 낮 12시 5분께 인제군 남면 남전리에서 폭우로 산사태가 발생, 집안에 있던 심모(87)씨와 아내 조모(여.89), 아들(67) 등 일가족 3명이 집과 함께 휩쓸려 내려가 실종됐다. 딸(66)은 집 밖에 있어서 참사를 면했다. * 15일 오후 1시께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의 박모(32)씨 집이 산사태로 매몰돼 박씨와 김모(41)씨 등 2명이 숨졌다 * 오후 2시30분께 참깨밭의 유실을 막기 위해 물막이를 하던 장모씨(76.여)가 산사태로 실종됐다. *오후 3시께는 인제군 덕산리 김모(85)씨가 밭일을 보던 중 토사에 휩쓸려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 오전 10시, 평창군 송정1리에서는 남모(70)씨가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 * 오후 5시 37분쯤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한1리 영일만항 방파제에서 이모씨(40)가 피를 흘린 채 숨져 있는 것을 다른 낚시꾼이 발견해 신고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143&aid=0000033084|#]] * 오후 7시 05분, 인제군 북면 한계3리에 사는 주민 이모(78)씨, 전모(51), 최모(여.67), 전모(여.55), 최모(36)등 5명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 * 오후 7시 10분, 인제읍 고사리에서 이 모(44)씨, 인제군 기린면에서 심모(61)씨가 실종됐다. * 오후 7시 30분께 연천군 중면 필승교에서 시신이 강물에 떠내려갔다는 군부대의 신고에 따라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112&aid=0000043942|#]] * 오후 10시, 인제 귀둔리 원진계쉼터 인근에서 갈모(여.48)씨가 대피 도중 범람한 계곡물에 쓸려 떠밀려가 실종됐다. * 오후 10시 05분, 인제 남면 동아실에서 대피하던 김모(여.46)씨가 불어난 계곡에 휩쓸려 실종됐다. ==== 16일 ==== * 새벽 6시, 강원 영월군 허 모씨 집이 폭우로 무너져 잠자고 있던 허모(53)씨와 염모(여.47)씨 등 두명이 숨졌다. * 오전 7시께 가평군 설악면 엄수리 김모(여.60) 씨의 2층짜리 집 뒷산에서 산사태가 발생, 토사가 1층을 뒤덮어 집 안에 있던 김씨가 사망했고 2층에 살던 노씨(여.77) 등 일가족 3명이 찰과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다. * 오전 7시 30분, 인제읍 덕산리에서 밭에 쏟아지던 물을 막기위해 나간 이 모 씨(45)가 실종됐다. * 같은 시간, 장수대 야영장에서 계곡이 범람해 차를 타고 이동중이던 부부가 갑자기 불어난 하천과 계곡 물에 휩쓸려 실종됐다. * 오전 9시께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동아교 부근 탄천에서는 30대로 보이는 여성이 익사체로 발견됐다. * 오후 2시 17분, 인제 인제읍 하추리 하천에서 신원미상의 여성이 실족해 사망했다. * 오후 4시께 제천시 한수면 송계 계곡의 고무서리 산장 부근 간이다리를 건너던 강모(55)씨가 불어난 계곡물에 휩쓸려 실종됐다. * 오후 7시, 인제 인제읍 귀둔리에서 폭우에 대피하던 황모(53)씨가 실종됐다. * 오후 7시 05분, 인제 북면 한계3리 민박촌에서 전모(51), 이모(45)씨와 신원미상 3명 등 5명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되었다. * 오후 7시 10분, 이모(37)씨가 몰던 [[기아 아벨라]] 승용차가 인제-현리 사이 도로에서 폭우에 휩쓸려 실종됐다. * 오후 7시 30분, 인제 덕적리 마을 기도원에서 4명이 급류에 휩쓸려 사망했다. * 오후 8시, 평창군 상월오개1리에서 은모(여.49)씨의 주택이 산사태로 붕괴되어 48시간만에 구조되었으나 이미 사망한채였다. * 비슷한 시간, 1시간 30분간 매몰된 집에 갇혀있던 조모(여.77)씨가 부상을 입은채 주민들에게 극적으로 구조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81&aid=0000097189|#1]] * 오후 11시께, 전북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 앞 하천에서 이모(24)씨가 급류에 휘말려 떠내려갔다. ==== 17일 ==== * 오전 11시, 전국에서 폭우로만 53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359196|#]][* 에위니아로 인한 인명피해를 합산하면(교통사고 미포함) 최소 63명의 사망.실종자가 발생했다고 집계될 수 있다.] * 오후 9시, 실종신고되었던 3명의 생존이 확인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359626|#]] == 기록 == ||<|12> 순간최대풍속(m/s) || 제주 || 고산 33.8 성산 30.0 제주 27.2 서귀포 27.0 || || 전남 || '''완도 40.2''' 여수 38.4 진도(첨찰산) 35.3 흑산도 33.4 해남 32.2 장흥 28.2 고흥 25.1 광주 19.7 목포 18.7 순천 13.5 || || 전북 || 장수 21.7 군산 19.0 전주 16.2 부안 15.1 남원 14.5 임실 13.8 정읍 12.1 || || 충남 || 서산 21.5 천안 20.0 보령 19.6 대전 18.2 부여 17.5 금산 14.8 || || 충북 || 추풍령 20.6 충주 17.3 보은 17.2 청주 13.7 제천 13.0 || || 경기 || 백령도 18.6 인천, 수원 17.1 양평 17.0 동두천 15.8 서울 14.3 강화 12.8 파주 10.7 || || 강원 내륙 평지 || 영월 14.5 인제 13.8 원주 12.8 철원 12.0 춘천 10.2 홍천 10.1 || || 강원 동해안/산지 || 동해 21.5 대관령 16.6 강릉 14.3 속초 12.1 태백 11.8 || || 경북 서부 || 대구 19.9 안동 18.8 상주, 문경 15.6 의성 14.1 영주 13.1 구미 11.5 || || 경북 동부 || 울진 33.3 울릉 28.3 영덕 21.7 포항 19.3 영천 15.1 봉화 13.6 || || 경남 서부 || 남해 32.0 통영 29.1 산청 21.1 거창 13.8 합천 12.6 || || 경남 동부 || 창원 30.9 거제 27.7 부산 27.3 진주 25.1 울산 24.1 밀양 18.7 || |||| '''비공식 순간풍속 기록'''(AWS) || || 제주 || 마라도 41.1 || || 경상 || 부산 43.1 조선대 35.4 || || 전라 || '''해수서 45.6''' 고흥도화 37.3 || ||<|8> 강수량(mm)[* 7월 9일~10일 누적] || 제주/전남 || 여수 253.5 고흥 240.5 순천 167.5 장흥 158.5 제주 153.0 해남 120.0 성산 117.0 서귀포 114.0 완도 98.5 || || 전북 || 군산 117.0 남원 92.0 장수 87.5 임실 83.0 전주 56.5 || || 충청 || 추풍령 225.5 금산 151.5 제천 75.0 보은 63.0 대전 50.0 || || 강원 || 대관령 152.5 태백 115.0 속초 105.0 강릉 88.0 대관령 77.0 인제 75.0 영월 65.0 || || 경북 서부 || 대구 218.0 구미 213.0 상주 149.5 의성 148.0 영주 111.5 문경 106.0 안동 93.0 || || 경북 동부 || 영천 184.0 포항 164.0 영덕 158.0 울진 98.5 울릉 88.5 봉화 65.5 || || 경남 서부 || '''남해 378.0''' 산청 353.5 진주 286.5 합천 252.0 거창 223.5 통영 203.0 || || 경남 동부 || 거제 295.5 창원 270.5 울산 240.0 부산 226.0 밀양 201.5 || [[분류:2006년 태풍]][[분류:태풍/대한민국]][[분류:2006년/사건사고]][[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분류:대한민국의 재난]][[분류:슈퍼 태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