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0,#eee {{{+2 '''에트루리아어'''}}}[br]{{{-2 Etruscan langua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dioma_etrusco.png|width=100%]]}}} || ||<-2> '''유형''' ||[[굴절어]] || ||<-2> '''서자방향''' ||우횡서 (오른쪽부터 [[가로쓰기]])[* [[좌우교대서법]](부스트로페돈)으로 쓴 것도 남아 있다.][* 웹에서 '고 이탈리아 문자'라고도 불리는 [[https://en.wikipedia.org/wiki/Old_Italic_scripts|그리스-에트루리아 글자꼴]] 버전의 [[에트루리아]] 문자를 쓸 때에는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로 사용한다.] || ||<-2>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 || ||<-2> '''주요 사용 지역''' ||[[사어|없음(사멸)]] || ||<-2> '''사멸''' ||기원전 20년경 || ||<-2> '''계통''' ||[[고립어(비교언어학)|고립어]] 또는 티레니아어족[* 비교언어학적으로는 [[고립어(비교언어학)|고립어]]로 분류되나, 레트어, 렘노스어와 함께 티레니아어족을 이룬다는 설이 있다.] || ||<|3>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000,#eee '''ISO'''}}}]] '''639-1''' ||- || || [[국제표준화기구|{{{#000,#eee '''ISO'''}}}]] '''639-2''' ||- || || [[국제표준화기구|{{{#000,#eee '''ISO'''}}}]] '''639-3''' ||ett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FRNnovB6l2o)] '''에트루리아어(Etruria語)'''는 고대 [[에트루리아]]에서 에트루리아인들이 사용했던 [[언어 관련 정보|언어]]다. == 특징 == ||<-2> [[파일:Linguistic_Landscape_of_Central_Italy.png|width=100%]] || ||<-2> [[고대 로마]]의 팽창 직전 [[이탈리아 반도]] 중부의 언어 분포 || || '''{{{#fff,#191919 파랑}}}''' ||인도유럽어족 라틴팔리스크어군 || || '''{{{#fff,#191919 초록}}}''' ||인도유럽어족 오스크움브리아어군 || || '''{{{#000 노랑}}}''' ||'''에트루리아어''' || [[에트루리아]] 문자로 된 [[금석문]] 등으로 [[https://www.ancient.eu/Etruscan_Language/|편린]]을 접할 수 있지만 [[해독]]은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문자는 [[그리스 문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거니와[* 고대부터 이탈리아 반도와 고대 그리스는 교류, 교역이 [[이탈리아-그리스 관계|활발]]했다. [[에트루리아]]는 고대 그리스의 문명과 교류가 많았고 에트루리아어는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한 에트루리아 문자로 표기됐다.] [[로마자|라틴 문자]]의 직계 조상이므로 일단 소리내어 읽기는 어느 정도 쉽게 할 수 있지만 에트루리아어는 현대에 존재하지 않는 어족(티레니아어족)에 속하기 때문에 일부 어휘를 제외하고는 현전하는 에트루리아어 명문이 무슨 뜻인지는 [[언어학]]적인 추측만 할 수 있을 따름이다. [[페니키아어]]와 비교할 수 있는 명판이 있으나 이 또한 에트루리아어 해석에 큰 도움은 되지 않는다. [[고대 로마]]에서는 에트루리아어를 연구했지만 해당 자료들이 오랜 세월이 지나며 소실된 관계로 [[미스터리 관련 정보|알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 각종 금석문에는 [[라틴어]]에 있는 일부 어휘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로써 라틴어가 에트루리아어 단어를 외래어로 많이 받아들였고 양 민족집단 간에 문화적 교류와 통혼이 활발했음을 알 수 있으며 고유명사와 기수법이 알려졌고 [[음운]]이 [[고전 그리스어|그리스어]]에 비해 적었다는 것까지 짐작할 수 있다. [[라틴어]]가 에트루리아어 단어를 외래어로 꽤 받아들였다. [[에트루리아]]가 [[고대 로마]]에게 정복된 후 에트루리아인들이 동화되면서 그들의 언어도 같이 소멸되었다. 따라서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시대에도 로마와 이탈리아에서 에트루리아의 역사나 문학을 연구하는 이들이나 현지인조차 에트루리아어를 완벽한 수준으로 구사하는 일이 별로 없었을 정도였다. 에트루리아어가 완전히 소멸하기 전까지 [[고대 로마]] 시대 [[에트루리아]] 역사를 연구하는 이들과 일부 현지인 중 극소수 로마 사람들이 구사하기도 했다. 그래서 [[아우구스투스]]의 친혈육으로 역사가 리비우스의 제자이기도 했던 [[로마 제국]] 4대 황제 [[클라우디우스 1세|클라우디우스]]는 젊은 시절 로마사, 에트루리아사, 카르타고사 등의 권위자로서 [[사어]]가 된 지 오래인 에트루리아어, 카르타고어([[페니키아어]])를 거의 완벽하게 구사해 에트루리아 금석문 등을 완벽하게 해석하고 다른 로마인들의 골동품 가품 여부도 판단했다고 한다. 그러나 [[클라우디우스 1세|클라우디우스]]가 에트루리아어를 연구했다는 기록만 있지 정작 그가 연구한 결과물, 또는 다른 [[고대 로마]]의 지식인들이 남긴 관련 자료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대의 언어학자들이 에트루리아어를 연구하려면 간신히 흔적처럼 남은 자료들을 바탕으로 장님 막대질하듯 가늠해야 한다. [[그리스 문자]] Γ(감마)의 발음은 [g]이고 그리스 문자에서 [k] 발음은 Κ(카파)로 나타내지만 그리스 문자를 받아들였던 에트루리아인들의 말에는 유성음 [g]와 무성음 [k]의 구분이 없었기에 Γ와 Κ가 같은 음가를 나타냈다.[* [[한국어]], [[중국어]]처럼 유성음이 아닌 [[유기음]]으로 구분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 에트루리아인으로부터 알파벳을 받아들인 [[고대 로마]]인들의 [[라틴어]]에는 [g]와 [k]의 구별이 있었기 때문에 유성음을 따로 표기하기 위해 획을 그어 G를 만들었고 [[C]]는 K와 함께 무성음 [k]를 나타낼 때만 쓰이게 되었다. [[Q]] 역시 [[그리스 문자]]인 [[Ϙ]](코파, /kʷ/)를 수입했지만 QV의 이중문자(digraph) 형태[* 당시에는 u, v, w의 구분이나 대소문자 구분 없이 모두 V로 표기했다.]로 k와 w를 합친 자음을 나타내는 용도로만 썼다. 그냥 [[C]]나 K를 쓰면 안 되나 싶지만, K는 원칙적으로 A 앞에만 쓰였고[* 이마저도 KALENDAE를 제외하면 음가가 같은 [[C]]에 통합됐다. [[에트루리아]]에서 알파벳을 받아들인 [[라틴어]]에서 K를 보기 힘든 이유 중 하나다.] QV와 CV는 각각 /kw/, /ku/로 따로 구분되는 발음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B%88%84%EC%B0%A8%EB%85%B8|미누차노]]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의 코무네(시)로 미누차노 협곡이 있는데 방언이 [[https://archive.ph/TuDy9|특이한 편]]이다. 토스카나가 과거에 [[에트루리아]]의 영역이었는데 산맥의 영향으로 고립된 에트루리아어의 [[기층이론|영향을 받은 게 아니냐는 말이 있다.]] === 계통 === [[파일:1280px-Tyrsenian_languages.svg.png]] 계통이 밝혀지지 않은 [[고립어(비교언어학)|고립어]]로, [[인도유럽어족]] 계통 언어들이 [[고유럽 제어|유입되기 전부터 쓰였던 토착민들의 언어]]다. 에트루리아어의 계통이 확실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라이티아어(Rhaetic),[* 알프스 동부에서 쓰였다. 연두색칠 된 지역이 [[고대 로마]] 시대에 라이티아(R{h}aetia) [[속주]]였다. 그래서 현대 국가와 상관없는 역사적 맥락의 지명으로 쓰인다.] 레트어[* 이 지도에는 없다. 오늘날의 스위스 일대에서 사용된 [[고유럽 제어|비 인도유럽어족 계열 언어]]다.], 렘노스어(Lemnian)[* 그리스의 렘노스 섬에서 쓰인 [[고유럽 제어|비 인도유럽어족 계열 언어]]다.]와 함께 티레니아어족(Tyrsenian languages)에 속한다고 보기도 하는데 이 중 렘노스어는 에트루리아의 아나톨리아 기원설을 얘기할 때 종종 거론된다. 일단 에트루리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은 아니다.[* 렘노스어와 같은 어족으로 분류하는 이유가 음성학적 분석과 일부 단어가 에트루리아어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렘노스어도 에트루리아어와 마찬가지로 읽을 수는 있으나 완전한 번역은 없다. 렘노스어가 새겨진 유물은 단 2점만 알려졌다.] 렘노스어, 리구리아어, [[후르리-우라르투어족]], 원시 인도유럽어 등을 포함하는 [[https://en.wikipedia.org/wiki/Alarodian_languages|대알라로디아어족]]에 속한다는 설도 있지만 정설로 자리잡지는 못했다. == 단어 == [[https://en.wiktionary.org/wiki/Appendix:Etruscan_word_list|단어 모음]], [[http://www.etruskisch.de/pgs/vc.htm|어휘 모음]], [[https://etruscans1.tripod.com/Language/EtruscanIntro.html|용어집]], [[https://glosbe.com/en/ett|영어 - 에트루리아어 사전]][* 에트루리아어 [[단어]]가 얼마 없는 특성상 모든 단어를 알 수는 없다.] 로마 신화에서 로물루스가 [[고대 로마|로마]]를 세울 때 자기 이름을 따서 Roma(로마)라고 명명하는데 로물루스 또는 로마가 에트루리아어로 '가슴이 강한 자'를 뜻하는 '[[루마|𐌓𐌖𐌌𐌀(ruma, 루마)]]'에서 왔다는 [[https://en.wikipedia.org/wiki/Rome#Etymology|설]]이 있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110201032012000001|기사]] || 유래가 된 고대 그리스어 단어 || 뜻 || 에트루리아 단어 || || ανατηθημενος ||([[돛]]의) 활대 || *antithemna 또는 antemna[* [[라틴어]]로는 antenna가 되었고 [[영어]] 단어로는 [[안테나|antenna(안테나)]]([[더듬이]]; 학술적으로)가 되었다.] || || Γανυμεδη || || catmite[* [[라틴어]]로는 catamitus가 되었다.] || || θριαμβος || || θriumpe[* [[라틴어]]로는 triumphus가 되었고 [[영어]] 단어로는 triumph(승리)가 되었다.] || || πρόσωπον || [[가면]] || 𐌘𐌄𐌓𐌔𐌖(φersu)[* [[라틴어]]로는 [[페르소나|persona]]가 되었고 [[영어]] 단어로는 person([[사람]])이 되었다.] || [[고전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아 들어온 단어가 있다. [[https://blog.naver.com/virapasas/221341344007|링크]] === 에트루리아어에서 유래한 [[라틴어]] 단어 === || 라틴어 단어 || 뜻 || || aevum || [[나이]] || || alea || [[주사위]] || || bura || [[https://books.google.co.kr/books?id=Vm28AwAAQBAJ&pg=PA26&lpg=PA26&dq=voltur+Etruscan&source=bl&ots=G6KWZMk5D3&sig=ACfU3U23uobmnVLIBo1vPb0d6WFKebamng&hl=ko&sa=X&ved=2ahUKEwjy4-vr45X4AhXjQPUHHWhSC9EQ6AF6BAglEAM#v=onepage&q=voltur%20Etruscan&f=false|plough beam]] || || burrus || [[머리카락/빨간색|적발(빨간 머리)]] || || caelum/cælum || [[하늘]] || || caepa || [[양파]] || || calceus || [[신발]] || || calpar || 와인 항아리 || || caseus || [[치즈]] || || catena || [[사슬]] || || cera || [[왁스]] || || coleus || [[고환]] || || cortina || [[커튼]] || || crapula || [[숙취]] || || culina || [[부엌]] || || elementum || [[문자]] || || fascinum || 남근상, [[음경|남근]] || || fenestra || [[창문]] || || formica || [[개미]] || || ganeo || || || genista || [[빗자루]] || || gubernio || || || histrio || [[배우]] || || idus || || || laena || 겨울 망토 → [[양모]] || || lamina || 칼날 || || lanius || 도살자 || || ludis || [[공연]] || || malva || [[아욱]] || || [[망고(동음이의어)|mango]] || 노예상 || || mitulus || [[홍합]] || || mundus || [[세계]], [[세상]] || || pallium || || || puteus || [[우물]] || || sporta || [[바구니]] || || spurius || [[사생아]] || || taberna || [[여관]], [[가게]] || || tapete || [[식탁보]] || || tellus || [[땅]], 지구 || || titulus || [[레이블]] || || tútŭlus/tutulus || [[원뿔]][* 여성이 썼던 테 없는 모자의 이름이 되기도 했는데 [[고대 로마]]에서는 신학교에서 쓴 [[원뿔|원추형]]의 모자가 되었다.] || || urceus || [[항아리]], [[물병]] || || velox || || 에트루리아어가 [[라틴어]]를 거쳐 변형되어 [[스페인어]]로 들어온 [[단어]]가 몇몇 있다. [[https://mappingignorance.org/2023/01/30/why-we-are-all-etruscans/|링크]] [[영어]] 단어는 후술하듯이 따로 다룬다. ==== 에트루리아어를 통한 [[라틴어]]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 ==== || 유래가 된 단어 || 뜻 || 영어 단어 || || aprilis(aprilius) || || [[에이프릴|April(에이프릴)]] || || autumnus || || autumn(가을) || || atrium || || atrium(아트리움)(중앙 홀) || || balteus || [[띠]] || [[벨트|belt(벨트)]]([[허리띠]]) || || caerimonia || || ceremony(serəmoʊni, 세러모니, 세레모니, 세리머니)(격식, 의식) || || cappa || [[망토]] || [[망토|Cape(망토)]] || || cisterna || || cistern || || columna || [[기둥]] || column || || damnun || 손상, 피해 || [[대미지|damage(대미지)]] || || fasēna/fasena || [[모래]] || [[아레나|arena(아레나)]] || || littera || [[문자]] || letter || || lucerna[* 에트루리아어 접미사인 -erna가 붙었는데 출처에 [[https://en.wiktionary.org/wiki/lucerna#Latin|논란]]이 있다.] || 등잔 || [[랜턴|lantern(랜턴)]] || || lux || [[빛]] || [[럭스|lux(럭스)]](빛의 조명도) || || merx || [[상품]] || market(마켓)(시장) || || miles || [[군인]] || [[밀리터리|military(밀리터리)]] || || munth || [[땅]] || mundane(세속적인) || || numerus || [[수]] || [[넘버|number]] || || nummus || [[동전]] || numismatic || || obscenus || || ominous || || palatus || [[입천장]] || palate || || phersu || [[가면]] || person(사람) || || populus || 군대의 구성원 || people(사람들) || || pulcher || || pretty || || rite || || ritual || || satnal || [[사람]] || satellite(위성) || || sentina || || sewer || || socius || [[동반자]] || society || || tuba || || [[트럼펫|trumpet(트럼펫)]] || || turris || || [[타워|tower(탑)]]([[탑]]) || || urna || || urn || || vagina || [[칼집]] || vagina([[질(신체)|질]]) || || verna || 토착노예 || vernacular([[방언|방언(사투리)]]) || || voltur || [[독수리]] || [[벌처|vulture(벌처)]] || 에트루리아어가 [[라틴어]]를 거쳐 변형되어 [[영어]]로 들어온 [[단어]]가 몇몇 있다.[* Ostler, Nicholas (2009). Ad Infinitum: A Biography of Latin and the World It Created. London: HarperPress, 2009, pp. 323 ff.]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English_words_of_Etruscan_origin|링크]] 몇 개는 에트루리아어로 복원이 안 되어 라틴어 또는 기타 이탈리아 고어로 표기한다. [[https://blog.naver.com/virapasas/221341344007|링크]], [[https://blog.naver.com/cheguebara/222082396027|링크 2]] 그리스에서 온 이름 중 남자 이름은 [[문법적 성|남성형]] 접미사 e를, 여성은 여성형 접미사 ai나 ei를 붙인다. 예를 들어서 헤라클레스(Heracles)는 Hercle이 된다. [[https://www.worldhistory.org/Etruscan_Language/|링크]] 헬레네(Helene)는 Elinai(-ei), 페르세포네(Persephone)는 Eersipnai(-ei)가 된다. [[고대 로마]]처럼 완전히 [[에트루리아]]식 이름이라면 여성형 접미사는 때때로 i, ia, irne 등을 붙인다. 복수형은 ar를 붙인다. 예를 들어서 아들을 뜻하는 clan은 clanar, 신(神)을 뜻하는 ais는 aisar라는 식이다. [[https://crewsproject.wordpress.com/2019/08/29/learning-etruscan/|링크]] == 문자 == 에트루리아어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D%8A%B8%EB%A3%A8%EB%A6%AC%EC%95%84_%EB%AC%B8%EC%9E%90|에트루리아 문자]]를 사용했다. 에트루리아 문자로 된 금석문은 [[https://www.ancient.eu/Etruscan_Language/|존재]]한다. 에트루리아 문자는 [[그리스 문자]]의 [[https://factsanddetails.com/world/cat56/sub407/entry-6243.html|영향]]을 받았다 보니 로마자와 그리스 문자와 비슷한 것들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라틴어, version=1731, title2=C, version2=376, title3=Q, version3=354)] [[분류:사어]][[분류:개별 언어]][[분류:고립어(비교언어학)]][[분류:유럽의 언어]][[분류:고유럽 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