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펜듈럼(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링크 몬스터 카드. == 설명 == [include(틀:유희왕/OCG/각 소환법 보조 링크 몬스터)]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엑시드 더 펜듈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奇跡の魔導剣士(エクシード・ザ・ペンデュラム), 영어판명칭=Exceed the Pendulum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3, link1=, link2=, link3 =,공격력=2000, 종족=마법사족, 소재=펜듈럼 몬스터를 포함하는 효과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인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 카드의 수 × 100 올린다., 효과3=③: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 2장의 펜듈럼 스케일로 펜듈럼 소환 가능한 레벨을 가지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자신의 패 / 묘지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등장한 펜듈럼 서포트 카드로, [[비욘드 더 펜듈럼]]의 진화체로 보인다. 일어판 카드명은 [[엔라이트멘트 파라딘|'기적의 마도검사'라 쓰고 '엑시드 더 펜듈럼'이라 읽는다.]] 소재 자체는 [[도레미코드#그랜도레미코드 쿨리아|그랜도레미코드 쿨리아]]와 같은 펜듈럼 몬스터를 포함한 몬스터 2체 이상. 즉 몬스터 하나는 반드시 펜듈럼 몬스터일 필요가 있다. 역시 펜듈럼 덱에서 자주 쓰는 콤보인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또한 이 조건을 만족시킨다. 마커도 쿨리아처럼 아래로 3장이므로, 엑스트라 덱에서 최대 카드 3장을 펜듈럼 소환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를 패에 넣는 효과. 이 카드를 소환할 때 펜듈럼 몬스터를 1장 이상은 소재로 쓰니 효과를 발동하지 못하는 경우는 없다. 이 카드를 뽑으면서 펜듈럼 소환을 하지 않았을 경우 펜듈럼 소환으로 이을 수 있으며 이미 펜듈럼 소환을 했어도 ③의 효과로 이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공격력을 올리는 지속효과. 오르는 폭은 낮아 큰 도움은 되지 않을 것이다. 일단 최대 7장을 꺼내놓을 수 있으니 이론상으론 최대 2700까진 오른다. ③의 효과는 패 / 묘지에서 펜듈럼 소환이 가능한 레벨을 가진 펜듈럼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는, 사실상 패 / 묘지에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펜듈럼 소환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효과이다. ①의 효과로 서치한 몬스터를 꺼내어 바로 링크 4로도 이을 수 있다. 묘지의 펜듈럼 몬스터 또한 소생할 수 있는데, 펜듈럼 몬스터는 기본적으로 묘지 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묘지의 펜듈럼 소생을 위해선 미리 패 / 덱에서 펜듈럼 몬스터를 덤핑하는 사전 준비를 해야 될 것이다. == 관련 카드 == === [[비욘드 더 펜듈럼]] ===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