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파일:エクシーズ・ヴェール.jpg]] || 한글판 명칭 ||||||||'''엑시즈 베일'''|| || 일어판 명칭 ||||||||'''エクシーズ・ヴェール'''|| || 영어판 명칭 ||||||||'''Xyz Veil'''|| |||||||||| 지속 함정 ||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서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엑시즈 소재를 가진 엑시즈 몬스터를 카드의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엑시즈 소환]] 도입 초기에 등장했던 엑시즈 몬스터 지원 카드. TCG판 [[제너레이션 포스]]의 Sneak Preview 이벤트 배포 카드이기도 하다.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은 꽤 많은 실용적인 카드들을 막아주기는 한다. 마법 / 함정은 물론이요 각종 몬스터 효과에 의한 제거도 대부분 원천적으로 봉쇄해주어 [[까칠까칠 간테츠]]나 [[발조기뢰 태엽마인]] 같은 건 매우 단단해진다. 강력한 내성을 지닌 [[시조의 수호자 티라스]]도 약점인 제외와 바운스를 대부분 막아낼 수 있다. 다만, 효과의 적용 범위가 '엑시즈 소재를 가진 엑시즈 몬스터'로 너무 좁다. 엑시즈 몬스터가 소재를 다 썼거나 엑시즈 소환 자체가 안 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이 카드는 마법 & 함정 존 하나를 차지하는 지속 함정인데 지속 함정이 제 역할을 하고 있을 수 있는 기간이 짧아서는 곤란하다. 게다가 더 골때리는 것은 저 효과가 '''상대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에게도 적용된다'''는 것. 기껏 이 카드를 발동해 놨는데 상대는 대상 지정 안하는 [[대지 분쇄]] 써서 내 몬스터를 날려먹고 자기 엑시즈 몬스터는 [[차원 유폐]]에서 지켜내면 아마 당장이라도 이 카드를 집어들고 찢어버리고 싶을 것이다.(…) 극단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카드는 유용하게 평가받고 잘 쓰이기 때문에 실제로 있을 수도 있는 일이다. 또한 이 카드가 존재하고 있으면 자신이건 상대건 엑시즈 소재가 남아 있는 몬스터에게는 '''[[RUM]]을 사용할 수 없다.''' RUM은 엑시즈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하기 때문. 그렇다고 발동을 안 해놓고 있다가 상대 효과에 체인해서 발동하자니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막을 뿐 효과를 막진 않기 때문에 이미 효과의 대상으로 지정된 상태에서는 체인해서 이 카드를 발동해봤자 소용이 없다. 비슷하게 몬스터를 효과로부터 지키는 카드로는 [[금지된 성창]], [[금지된 성의]]나 [[안전지대(유희왕)|안전지대]]도 있다. 이들은 엑시즈 몬스터 외의 다른 몬스터에게도 쓸 수 있으며 쓸데없이 상대 몬스터까지 보호해주지도 않는다. 엑시즈 몬스터 한정이더라도 아예 대상 지정 효과의 발동 자체를 무효로 하고 파괴해버리는 [[엑시즈 리플렉트]]가 더 쓰기 편하다. 일단 성창이나 성의와는 달리 공격력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은 좋으니 굳이 이 카드를 쓰겠다면 엑시즈 소환의 비중을 최대한 늘리거나 자기가 쓰는 카드도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카드 위주로 고르던가 해서 상대 몬스터를 보호해버리는 상황은 피하는 게 좋을 듯 하다. 일러스트에서는 이 카드가 나온 제너레이션 포스의 커버 몬스터였던 [[No.17 레비아단 드래곤]]이 보호를 받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엑스트라 팩]] 2012 || EXP5-KR011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2 || EP12-JP011 ||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br]Sneak Preview 이벤트 || GENF-ENSP1 || [[울트라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br]절판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00 || [[슈퍼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